본 논문은 醫儒同道의 의미와 吳澄을 중심으로 하여 원대 성리학자의 이론적 구조 및 유의의 형성과정을 연구한 내용이다. 원대 성리학자 吳澄이 주창하고 儒醫들이 실천한 醫儒同道는 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醫儒同道의 의미와 吳澄을 중심으로 하여 원대 성리학자의 이론적 구조 및 유의의 형성과정을 연구한 내용이다. 원대 성리학자 吳澄이 주창하고 儒醫들이 실천한 醫儒同道는 유...
본 논문은 醫儒同道의 의미와 吳澄을 중심으로 하여 원대 성리학자의 이론적 구조 및 유의의 형성과정을 연구한 내용이다. 원대 성리학자 吳澄이 주창하고 儒醫들이 실천한 醫儒同道는 유학의 실천덕목인 仁과 孝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의유동도의 철학적 배경은 형이상하간의 합일적 세계관을 지향하는 원대 성리학에 있었다. 道器不相離나 理氣合一 등의 논의가 그것이며 吳澄 등 성리학자들의 心性에 대한 관심은 金元代 이후 儒醫들의 심성수양을 강조하는 의학으로 변모케 하였다.
또한 유의 의학은 節欲養性의 문제를 생리적 구조변화와 함께 분석하고자 하여 人心⋅道心이나 主靜의 유학적 수양방법으로 해결하는 면모를 보여 주었다. 특히 元代의 朱震亨은 성리학적 의학을 가장 잘 구현한 이로 君火⋅相火론이나 正心⋅收心⋅養心 등 유학의 전통적인 방법으로 의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노력을 경주하였다. 인간의 心身은 형기적 변화만으로 추적하지 못하는 면을 지니고 있다. 도교의학자들도 이 점에 대해 설명하기도 하였지만, 유학의 심성수양론과는 차이가 있다.
의학과 유학이 하나의 도임을 말하는 의유동도라는 기본적인 관점에서 유학이 의학윤리나 의학 이론에 끼친 영향은 도가⋅도교가 의학에 가져다 준 영향에 못지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주로 도가⋅도교가 氣化論을 근거로 하여 人身의 형기변화에 초점을 두고 의학의 이론적 기초가 되었다면, 儒學은 心性의 修養을 도모하는 과정에서 수용된 면이 많다. 그러나 儒學과 道敎 둘은 心身의 조화 내지는 중용의 치중화의 차원에서 보면 동정을 일관하는 차원에서 두 사상이 회통할 수 있는 여지를 지니게 된다. 즉 음양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의학과 도교 그리고 유학이 각각 역할을 분담하고 있는 형상으로 易學의 면에서 보면 儒⋅道⋅醫를 일원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논거가 생기는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陳元朋, "兩宋的 尙醫士人與儒醫" 臺灣大學出版委員會 1997
2 成昊俊, "論語와 儒醫의학의 상관성" 34 : 2003
3 "포은사상연구원" 1993
4 池俊鎬, "黃?哲學思想硏究" 2000
5 "君火?相火와 命門의 聯關性에 關한 硏究" 8 : 1994
1 陳元朋, "兩宋的 尙醫士人與儒醫" 臺灣大學出版委員會 1997
2 成昊俊, "論語와 儒醫의학의 상관성" 34 : 2003
3 "포은사상연구원" 1993
4 池俊鎬, "黃?哲學思想硏究" 2000
5 "君火?相火와 命門의 聯關性에 關한 硏究" 8 : 1994
식민지에서의 ‘개인’, ‘사회’, ‘민족’의 관념과 자유주의:안창호의 정치적 민족주의와 이광수의 문화적 민족주의
백남운과 자유주의:‘식민지 자유주의’에 대한 ‘조선적 맑스주의자’의 비판적 인식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5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6 | 1.189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