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전하는 「가락국기」의 여러 자료 중 『삼국유사』가 가장 풍부한 서사를 가지는 것은 허황옥 서사가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많은 이들이 『삼국유사』 「가락국기」 건국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520520
2019
-
가락국기 ; 허황옥 서사 ; 신화적 상징 ; 변용 ; 모성 ; 통과의례 ; 리더십 ; Garakgukgi ; Heo Hwang-ok narrative ; Mythical symbol ; Transformation ; Leadership ; Maternal instinct ; Rite of passage
KCI등재
학술저널
115-145(3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전하는 「가락국기」의 여러 자료 중 『삼국유사』가 가장 풍부한 서사를 가지는 것은 허황옥 서사가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많은 이들이 『삼국유사』 「가락국기」 건국신...
현전하는 「가락국기」의 여러 자료 중 『삼국유사』가 가장 풍부한 서사를 가지는 것은 허황옥 서사가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많은 이들이 『삼국유사』 「가락국기」 건국신화의 문학성을 논의했으며 역사적 실재성을 탐색했다. 이는 수로와 허황옥의 실존에 대한 연구도 포함된다. 동화에서부터 역사적 독서물, 만화, 소설로 등장한 이 건국신화는 수로 중심의 서사였다. 이들 작품에 등장하는 수로는 가락국을 세운 건국신화의 역사적 주인공이므로 그의 서사는 일관되게 지속되었다. 그의 인물상이 변화되었더라도 큰 변화를 느끼기 힘들다. 반면에 신화의 허황옥 서사는 현대소설에서 여러 변화를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허황옥의 인물상의 변용을 찾아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가락국기」 신화에서 허황옥은 당당하고 진솔되며 백성을 사랑한 여성이었다. 신화에 나타난 그녀의 이러한 면모는 김 정의 현대소설에서 ‘라뜨나’라는 여성인물로 더 확장되어 나타난다. 그녀는 적극적이고 자원하는 보살핌의 소유자, 공동체에 헌신한 구체적 인물상으로 그려졌다. 또한 그녀는 경험 모성을 통해 이방인으로서의 낯섦을 해소하고, 역동적 리더십을 펼쳐 하늘의 계시를 이룬 통과의례자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라뜨나(허황옥)의 이러한 여성상이 오늘날 남녀 누구에게서나 발휘되어야 할 리더십을 제공한다고 바라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amkukyusa』 has the most narrative among the various materials of 「Garakgukgi」 passed down from previous generations because it contains the inherent narration of Heo Hwang-ok. So far, the literary nature of the birth myth of a nation, 「Gar...
『Samkukyusa』 has the most narrative among the various materials of 「Garakgukgi」 passed down from previous generations because it contains the inherent narration of Heo Hwang-ok. So far, the literary nature of the birth myth of a nation, 「Garakgukgi」, have been discussed widely, and historical reality explored. This includes the study of the existence of Soo-Ro and Heo Hwang-ok. The birth myth of a nation, which has appeared from fairy tales to historical readings, cartoons and novels, have been a narrative focused on Soo-Ro. As Soo-Ro in these studies is a historical protagonist in the birth myth of Garakguk, his narrative has been consistent. Even though his figure changed, the changes were in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Heo Hwang-ok narrative in the myth oversees many changes in the modern novels. Therefore, this investigated the transformation of the figures of Heo Hwang-ok and revealed its meaning.
In the myth, 「Garakgukgi」 in 『Samkukyusa』, Heo Hwang-ok was a proud, honest and loving woman. She was further branded a female character, ‘Ratna’, in Kim Jung’s modern novel, where was portrayed as a concrete figure who is active, dedicated to the community, and the owner of voluntary care. In addition, find her way as a stranger through maternal experience and exerting dynamic leadership, she revealed her characteristic as a person who is going through a rite of passage accomplishing the revelation of heaven. This study thus established that this female image of Ratna (Heo Hwang-ok) provides the leadership that should be exercised in both men and women today.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창식, "허황옥전승의 비교민속학적 가치" 비교민속학회 (49) : 11-43, 2012
2 김 정, "허황옥, 가야를 품다" 푸른책들 2012
3 김병모, "허황옥 루트 인도에서 가야까지" 역사의 아침 2008
4 서대석, "한국신화의 연구" 집문당 2001
5 김원희, "한국문학과 창조적 여성성" 푸른사상 15-33, 2013
6 정영자, "한국 여성주의 문학의 전개과정과 전망" 2 : 300-328, 1990
7 송효섭, "초월성의 기호학 - 『삼국유사』의 「가락국기」 읽기" 한국기호학회 81 (81): 11-33, 2000
8 김경민, "철의 아들 김수로" 눈과마음 2010
9 이광수, "인도에서 온 허황후, 그 만들어진 신화" 푸른역사 2017
10 김정호, "이야기문학과 여성연구" 민속원 2005
1 이창식, "허황옥전승의 비교민속학적 가치" 비교민속학회 (49) : 11-43, 2012
2 김 정, "허황옥, 가야를 품다" 푸른책들 2012
3 김병모, "허황옥 루트 인도에서 가야까지" 역사의 아침 2008
4 서대석, "한국신화의 연구" 집문당 2001
5 김원희, "한국문학과 창조적 여성성" 푸른사상 15-33, 2013
6 정영자, "한국 여성주의 문학의 전개과정과 전망" 2 : 300-328, 1990
7 송효섭, "초월성의 기호학 - 『삼국유사』의 「가락국기」 읽기" 한국기호학회 81 (81): 11-33, 2000
8 김경민, "철의 아들 김수로" 눈과마음 2010
9 이광수, "인도에서 온 허황후, 그 만들어진 신화" 푸른역사 2017
10 김정호, "이야기문학과 여성연구" 민속원 2005
11 송희복, "외국 소설 속에 그려진 김해의 여인: 허황옥과 백파선" 국제언어문학회 (38) : 37-56, 2017
12 일 연, "역주 삼국유사" 한국학술정보 2012
13 윤혜린, "여성주의 리더십, 새로운 길 찾기"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7
14 정대현, "여성주의 가치와 모성리더십"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5-61, 2005
15 양민석, "여성주의 가치와 모성리더십"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89-115, 2005
16 정지영, "여성주의 가치와 모성리더십"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49-169, 2005
17 김양희, "여성, 리더 그리고 여성 리더십" 삼성경제연구소 2018
18 박상란, "여성 신화의 원리" 한국문학연구소 (19) : 461-484, 1997
19 표정옥, "아름다움의 서사를 활용한 기이함과 신성성의 기호학적 소통 구조 연구 - 『삼국유사』속 여성의 기술을 중심으로 -" 한국기호학회 31 : 253-279, 2012
20 이봉일, "신화와 역사의 간극에 대한 한 연구-김수로왕 신화의 역사적 이해" 국제한인문학회 1 (1): 171-202, 2014
21 김진섭, "신화는 두껍다" 지성사 2018
22 고운기, "신화 리더십을 말하다" 현암사 2012
23 "세종실록지리지"
24 에드먼드 리치, "성서의 구조인류학" 한길사 2017
25 김광웅, "미즈 프레지던트; 왜 시대는 여성 리더를 원하는가" 21세기북스 2012
26 사라러딕, "모성적 사유" 철학과 현실사 2002
27 김병모, "김수로왕비 허황옥: 쌍어의 비밀" 조선일보사 1994
28 김병모, "김수로왕 연구" 한양대학교 민족학연구소 6 : 209-228, 1997
29 양민석, "글로벌 시민사회의 나눔 가치와 여성리더십" 한국학술정보 2012
30 "고려사"
31 김용환, "경남권 킬러 콘텐츠 소재 연구: 가야 설화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28 : 135-156, 2011
32 김태식, "가락국기 소재 허왕후 설화의 성격" 한국사연구회 102 : 1-46, 1998
33 조성숙, "「가락국기」 신화의 전승에 나타난 생태적 관점과 의미" 한국고전번역원 47 : 5-38, 2016
1970년대 호모 이코노미쿠스의 탄생과 과학기술의 문제 – 조세희 작품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6-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 ![]() |
2005-06-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4 | 0.73 | 1.266 | 0.19 |
재난관리 리더십과 재난대응 협업 (Disaster Management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for Disaster Response)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ernational Cooperation Team재난관리 리더십과 재난대응 협업 (Disaster Management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for Disaster Response)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ernational Cooperation Team리더십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
이화여자대학교 정예지리더십론
단국대학교 박재춘리더십과 커뮤니케이션
한국외국어대학교 설규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