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장론 관련 수사학 3분법의 수용과 그 한계 = The Acceptance of an Unique Rhetorical Trichotomy in Korean Writing Theory and Its Lim i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596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문적인 수사학 서적에는 등장하지 않는 3분법(비유법, 변화법, 강조법)이 해방 이후 문장론 서적에 일반화 되어 있다. 그리고 문학 연구의 결과를 기층적인 차원에서 보급하는 문학, 작문 서적에도 무비판적으로 이런 논의를 반복하고 있다. 그러나 그 기준이 상당히 모호한 까닭에 문장론 저서 간의 일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여러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런 현상은 이 분류법의 타당성 검토나 그것의 내포와 외연에 대한 합의가 아직까지 한 번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주관적이고도 습관적으로 3분법을 사용해 왔기 때문이다.
      본고는 국내외 문장론 관련 논저들을 검토하여 이런 3분법의 기원을 하토리 요시카(服部嘉香)의 『現代作文新講』(1933)에서 찾고 그것이 토야마 준(外山潤)이나 쿠메 마사오(久米正雄) 등에 의해 널리 파급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쿠메 마사오의 저서가 3분법의 보급에 많은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는 박태윤의 『현대문장신강』 (1948), 박목월 · 윤백의 『문장강화』(1953) 등이 3분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였으며, 이후 교육 현장에서는 박목월의 『신고 문장강화』(1961), 『문장의 기술』(1970)의 영향이 막대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고는 3분법이 지닌 단순명쾌함을 장점으로 인정하여 현재의 개념 정의를 더욱 명확하게 만드는 방향으로 수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즉 비유법, 변화법, 강조법은 기존의 전통 수사학의 무늬 분류 방식과 이의 변형인 뮤 그룹의 분류방식을 참조하면 하나의 설득력 있는 분류법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즉 비유법, 변화법은 각각 어의변환, 구성변환으로, 강조법은 논리변환으로 그 범위를 제한하면 현재의 3분법은 더 명쾌하고 단순한 분류방식으로 태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번역하기

      전문적인 수사학 서적에는 등장하지 않는 3분법(비유법, 변화법, 강조법)이 해방 이후 문장론 서적에 일반화 되어 있다. 그리고 문학 연구의 결과를 기층적인 차원에서 보급하는 문학, 작문 ...

      전문적인 수사학 서적에는 등장하지 않는 3분법(비유법, 변화법, 강조법)이 해방 이후 문장론 서적에 일반화 되어 있다. 그리고 문학 연구의 결과를 기층적인 차원에서 보급하는 문학, 작문 서적에도 무비판적으로 이런 논의를 반복하고 있다. 그러나 그 기준이 상당히 모호한 까닭에 문장론 저서 간의 일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여러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런 현상은 이 분류법의 타당성 검토나 그것의 내포와 외연에 대한 합의가 아직까지 한 번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주관적이고도 습관적으로 3분법을 사용해 왔기 때문이다.
      본고는 국내외 문장론 관련 논저들을 검토하여 이런 3분법의 기원을 하토리 요시카(服部嘉香)의 『現代作文新講』(1933)에서 찾고 그것이 토야마 준(外山潤)이나 쿠메 마사오(久米正雄) 등에 의해 널리 파급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쿠메 마사오의 저서가 3분법의 보급에 많은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는 박태윤의 『현대문장신강』 (1948), 박목월 · 윤백의 『문장강화』(1953) 등이 3분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였으며, 이후 교육 현장에서는 박목월의 『신고 문장강화』(1961), 『문장의 기술』(1970)의 영향이 막대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고는 3분법이 지닌 단순명쾌함을 장점으로 인정하여 현재의 개념 정의를 더욱 명확하게 만드는 방향으로 수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즉 비유법, 변화법, 강조법은 기존의 전통 수사학의 무늬 분류 방식과 이의 변형인 뮤 그룹의 분류방식을 참조하면 하나의 설득력 있는 분류법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즉 비유법, 변화법은 각각 어의변환, 구성변환으로, 강조법은 논리변환으로 그 범위를 제한하면 현재의 3분법은 더 명쾌하고 단순한 분류방식으로 태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unique rhetorical trichotomy, which is never seen in authorized rhetoric texts, is generalized in Korean writing theory. The trichotomy is method to classify a lot of figures into three large groups: figuring, changing and emphasizing. But it confused many scholars with an vague classifying criterion of that. In spite of this confusion, no one had an interest in the source and limitation of this classification.
      Upon investigation I found that the trichotomy had come from Hatori Yosika’s a composition book(1933) and Toyama Jun, Kume Masao had followed him. Especially Kume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process of diffusion of the trichotomy. In Korea, Park Mok-Wol, a famous poe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pread of the classification.
      In this paper, I suggest that we revise the trichotomy by removing it’s faults, vague definitions. By referring to classification of Group ?, we can make the trichotomy more useful concept. Then we must restrict figuring to metasememe, changing to metataxis, and emphasizing to metalogism.
      번역하기

      An unique rhetorical trichotomy, which is never seen in authorized rhetoric texts, is generalized in Korean writing theory. The trichotomy is method to classify a lot of figures into three large groups: figuring, changing and emphasizing. But it confu...

      An unique rhetorical trichotomy, which is never seen in authorized rhetoric texts, is generalized in Korean writing theory. The trichotomy is method to classify a lot of figures into three large groups: figuring, changing and emphasizing. But it confused many scholars with an vague classifying criterion of that. In spite of this confusion, no one had an interest in the source and limitation of this classification.
      Upon investigation I found that the trichotomy had come from Hatori Yosika’s a composition book(1933) and Toyama Jun, Kume Masao had followed him. Especially Kume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process of diffusion of the trichotomy. In Korea, Park Mok-Wol, a famous poe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pread of the classification.
      In this paper, I suggest that we revise the trichotomy by removing it’s faults, vague definitions. By referring to classification of Group ?, we can make the trichotomy more useful concept. Then we must restrict figuring to metasememe, changing to metataxis, and emphasizing to metalog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수사학 3분법의 기원
      • 3. 우리나라의 수용 상황과 전개
      • 4. 하토리식 3분법의 한계와 보완
      • 〈국문초록〉
      • 1. 서론
      • 2. 수사학 3분법의 기원
      • 3. 우리나라의 수용 상황과 전개
      • 4. 하토리식 3분법의 한계와 보완
      • 5. 결론
      • 〈참고문헌〉
      • 영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태윤, "현대문장신강" 교문사 1948

      2 조병화, "현대문장론" 열화당 1977

      3 박영준, "현대 문장강의" 선진문화사 1958

      4 한계전, "한국현대시론연구" 일지사 1983

      5 정명수, "표현력 교육의 수사학적 방법에 대한 연구" 서울대 사범대 1983

      6 Dubois, Jacques, "일반수사학" 한길사 1989

      7 박진숙, "우리말 문장과 문장론; 이태준 문장론의 형성과 근대적 글쓰기의 의미" 시학과 언어학회 135-165, 2003

      8 박목월, "신판 문장강화" 계몽사 1953

      9 박목월, "신고 문장강화" 계몽사 1961

      10 박현수, "시론" 예옥 2011

      1 박태윤, "현대문장신강" 교문사 1948

      2 조병화, "현대문장론" 열화당 1977

      3 박영준, "현대 문장강의" 선진문화사 1958

      4 한계전, "한국현대시론연구" 일지사 1983

      5 정명수, "표현력 교육의 수사학적 방법에 대한 연구" 서울대 사범대 1983

      6 Dubois, Jacques, "일반수사학" 한길사 1989

      7 박진숙, "우리말 문장과 문장론; 이태준 문장론의 형성과 근대적 글쓰기의 의미" 시학과 언어학회 135-165, 2003

      8 박목월, "신판 문장강화" 계몽사 1953

      9 박목월, "신고 문장강화" 계몽사 1961

      10 박현수, "시론" 예옥 2011

      11 양태종, "수사학 이야기" 동아대학교출판부 1999

      12 박항식, "수사학" 현대문학사 1976

      13 Reboul, Olivier, "수사학" 한길사 1999

      14 박성창, "수사학" 문학과지성사 2000

      15 황재문, "문학론·문장론·문학사론에서의 전통의 문제 ― 이광수·이태준·임화를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원 (43) : 7-33, 2011

      16 박목월, "문장의 기술" 현암사 1970

      17 김기림, "문장론신강" 민중서관 1950

      18 김봉군, "문장기술론" 삼영사 1980

      19 박목월, "문장강화" 계몽사 1953

      20 문덕수, "문장강의" 시문학사 1987

      21 박성창, "말을 가지고 어떻게 할 것인가(How to do things with words) - 김기림과 이태준의 문장론 비교" 한국현대문학회 (18) : 359-398, 2005

      22 김현성, "고등학교 작문 교과서 연구:검인정 교과서 15종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1999

      23 이재선, "개화기의 수사론, 한국근대문학연구" 서강대학교출판부 1969

      24 服部嘉香, "現代作文新講" 早稻田大學出版社 1933

      25 久米正雄, "文章の作り方" 新潮社 1937

      26 곽명숙, "『文章論新講』의 특징과 글쓰기 교육론"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8) : 185-201,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91 1.388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