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교육과 교사의 본질적 의미에 대한 미학적 탐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 존재와 그의 성장에 부합되는 초등교육의 본질적 성격에 대한 재성찰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예술과 교육을 근원적으로 관련짓는 주요 미학적 관점들에 근거하여 초등교육과 교사의 의미를 탐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로, 인간 삶에서 미적 체험은 어떤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가라는 물음을 갖고서, 서양 고대와 근대와 현대의 주요 예술철학들 가운데 교육적으로 중요한 함의를 지닌 것으로 주목되는 플라톤의 모방으로서의 예술론, 쉴러의 자유로운 유희로서의 예술론, 듀이의 경험으로서의 예술론을 연구범위로 한정하여 각각의 특징적 관점들을 분석한다. 둘째로, 초등교육의 본질적 성격은 미적 체험과 어떤 근원적인 관련성을 지니는가라는 물음을 갖고서, 초등교육의 목적과 본질적 과제에 관하여 주요 미학적 관점들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탐구한다. 세 사상가의 특징적 견해로부터 도출된 결과로서, 선별된 예술작품을 통해 진리와 선을 사랑하는 마음의 텃밭을 가꾸도록 습관들이기, 개별 아동의 감각과 욕망의 도야를 통해 이성적 자유에 이르는 데 필수적인 유희충동 함양하기, 아름다움이 깃들이는 공동 활동을 통해 단위 경험을 의미 있게 완성해가는 힘 기르기를 제안한다. 셋째로, 초등교육의 본질적 성격에 부합하는 교육 실천을 위해 초등교사에게는 어떤 자질과 전문적 능력이 요구되는가라는 물음을 탐구한 결과로, 인문적 교양을 갖춘 절제 있는 이야기꾼, 유희적인 성향을 간직한 섬세한 예술가, 사회적 지성을 발달시킨 연극연출가를 비유적으로 제시한다. 이로써 초등교육과 교사에 관하여 기존의 교육과학적, 기술공학적 접근의 한계를 넘어서 교육철학적, 미학적 접근이 지닌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세 사상가 모두에 공통된 견해로서, 초등교육의 성격은 그 어느 시기의 교육과 다른 고유함이 있으며 가장 특별한 의미로 예술적 접근이 필요하다. 여기서 초등교육이 예술적으로 접근되어야 한다는 의미는, 플라톤의 시가교육론의 궁극적인 포괄적 지향성의 의미를 잘 헤아려 읽는다면, 예술작품을 소재로 한다거나 예술교과수업 비중이 커져야 한다는 축소된 의미로 파악되지 않아야 한다. 쉴러 미학에서 이성적 도덕적 상태 이전에 필수적인 미적 상태의 의미를 되새겨 읽을 때, 정밀한 과학적 이성이나 도구적인 기술적 이성이 지배적인 방식에 내포된 위험성을 일깨워준다. 또한 듀이의 예술철학 바탕에 놓인 민주적 사회적 가치 지향성을 주목해 읽는다면, 예술적 천재를 조기에 발굴하기 위한 기능 위주의 경쟁적 접근이 지닌 문제의 심각성을 재성찰케 한다. 한 마디로, 초등교육에서 추구되어야 할 예술적 성격은 초등교육의 목적과 내용과 방법 및 학교조직을 구상함에 있어 가능한 포괄적, 전체적, 통합적, 감각적, 그리고 무엇보다 인간적이고 민주적이라야 한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아동 존재와 그의 성장에 부합되는 초등교육의 본질적 성격에 대한 재성찰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예술과 교육을 근원적으로 관련짓는 주요 미학적 관점들에 근거하여 ...

      본 연구는 아동 존재와 그의 성장에 부합되는 초등교육의 본질적 성격에 대한 재성찰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예술과 교육을 근원적으로 관련짓는 주요 미학적 관점들에 근거하여 초등교육과 교사의 의미를 탐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로, 인간 삶에서 미적 체험은 어떤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가라는 물음을 갖고서, 서양 고대와 근대와 현대의 주요 예술철학들 가운데 교육적으로 중요한 함의를 지닌 것으로 주목되는 플라톤의 모방으로서의 예술론, 쉴러의 자유로운 유희로서의 예술론, 듀이의 경험으로서의 예술론을 연구범위로 한정하여 각각의 특징적 관점들을 분석한다. 둘째로, 초등교육의 본질적 성격은 미적 체험과 어떤 근원적인 관련성을 지니는가라는 물음을 갖고서, 초등교육의 목적과 본질적 과제에 관하여 주요 미학적 관점들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탐구한다. 세 사상가의 특징적 견해로부터 도출된 결과로서, 선별된 예술작품을 통해 진리와 선을 사랑하는 마음의 텃밭을 가꾸도록 습관들이기, 개별 아동의 감각과 욕망의 도야를 통해 이성적 자유에 이르는 데 필수적인 유희충동 함양하기, 아름다움이 깃들이는 공동 활동을 통해 단위 경험을 의미 있게 완성해가는 힘 기르기를 제안한다. 셋째로, 초등교육의 본질적 성격에 부합하는 교육 실천을 위해 초등교사에게는 어떤 자질과 전문적 능력이 요구되는가라는 물음을 탐구한 결과로, 인문적 교양을 갖춘 절제 있는 이야기꾼, 유희적인 성향을 간직한 섬세한 예술가, 사회적 지성을 발달시킨 연극연출가를 비유적으로 제시한다. 이로써 초등교육과 교사에 관하여 기존의 교육과학적, 기술공학적 접근의 한계를 넘어서 교육철학적, 미학적 접근이 지닌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세 사상가 모두에 공통된 견해로서, 초등교육의 성격은 그 어느 시기의 교육과 다른 고유함이 있으며 가장 특별한 의미로 예술적 접근이 필요하다. 여기서 초등교육이 예술적으로 접근되어야 한다는 의미는, 플라톤의 시가교육론의 궁극적인 포괄적 지향성의 의미를 잘 헤아려 읽는다면, 예술작품을 소재로 한다거나 예술교과수업 비중이 커져야 한다는 축소된 의미로 파악되지 않아야 한다. 쉴러 미학에서 이성적 도덕적 상태 이전에 필수적인 미적 상태의 의미를 되새겨 읽을 때, 정밀한 과학적 이성이나 도구적인 기술적 이성이 지배적인 방식에 내포된 위험성을 일깨워준다. 또한 듀이의 예술철학 바탕에 놓인 민주적 사회적 가치 지향성을 주목해 읽는다면, 예술적 천재를 조기에 발굴하기 위한 기능 위주의 경쟁적 접근이 지닌 문제의 심각성을 재성찰케 한다. 한 마디로, 초등교육에서 추구되어야 할 예술적 성격은 초등교육의 목적과 내용과 방법 및 학교조직을 구상함에 있어 가능한 포괄적, 전체적, 통합적, 감각적, 그리고 무엇보다 인간적이고 민주적이라야 한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flecting upon the problematic situations of elementary education as having been affected by uniform competitive social conditions in Korea, we need philosophical inquiry on the essential nature of education for children and their educative growth. With a view to new possibilities of aesthetic approach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 nature of elementary education and teacher, this study explores major philosophies of art which illuminate emphatically the intrinsic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education. For limiting the scope of inquiry, the aesthetic thoughts of Plato, Schiller and Dewey are analyzed as each representing pre-modern, modern and post-modern philosophies of art, respectively.

      As for the nature of art and its meaning for human life, Plato's thoughts suggest that the genuinely true art is to re-present not the sensible things but the ideal being and thereby cultivating the loving spirit of eros so as to desire and look after the immutable form of beauty. Schiller illuminates the educative significance of the aesthetic state as the very expression of and necessary condition for human characteristic freedom, which is to be attained by the so-called instinct of play as mediating between the sensual instinct and the formal instinct. For Dewey, art as experience is elaborated not only to characterize its liberating and uniting function in human communal life, but also to reveal critically the anesthetic compartmentalized condition of ordinary experience in capitalist society.

      Based upon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esthetic thoughts and educational ideas of Plato, Schiller and Dewey, it is shown that the educative significance of art and aesthetic experience are to be extended further in the earlier developmental stage of education for children. In concrete terms, the challenging tasks for elementary education to be implicated in these aesthetic perspectives are selective provision of perceptually good experience, conscious development of the instinct of play, and meaningful consummation of conjoint activities. Finally, it is proposed that the elementary teacher is to be educated as temperate story-teller with humanities orientation, sensitive artist with playful spirit, and constructive director with social intelligence.
      번역하기

      Reflecting upon the problematic situations of elementary education as having been affected by uniform competitive social conditions in Korea, we need philosophical inquiry on the essential nature of education for children and their educative growth. W...

      Reflecting upon the problematic situations of elementary education as having been affected by uniform competitive social conditions in Korea, we need philosophical inquiry on the essential nature of education for children and their educative growth. With a view to new possibilities of aesthetic approach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 nature of elementary education and teacher, this study explores major philosophies of art which illuminate emphatically the intrinsic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education. For limiting the scope of inquiry, the aesthetic thoughts of Plato, Schiller and Dewey are analyzed as each representing pre-modern, modern and post-modern philosophies of art, respectively.

      As for the nature of art and its meaning for human life, Plato's thoughts suggest that the genuinely true art is to re-present not the sensible things but the ideal being and thereby cultivating the loving spirit of eros so as to desire and look after the immutable form of beauty. Schiller illuminates the educative significance of the aesthetic state as the very expression of and necessary condition for human characteristic freedom, which is to be attained by the so-called instinct of play as mediating between the sensual instinct and the formal instinct. For Dewey, art as experience is elaborated not only to characterize its liberating and uniting function in human communal life, but also to reveal critically the anesthetic compartmentalized condition of ordinary experience in capitalist society.

      Based upon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esthetic thoughts and educational ideas of Plato, Schiller and Dewey, it is shown that the educative significance of art and aesthetic experience are to be extended further in the earlier developmental stage of education for children. In concrete terms, the challenging tasks for elementary education to be implicated in these aesthetic perspectives are selective provision of perceptually good experience, conscious development of the instinct of play, and meaningful consummation of conjoint activities. Finally, it is proposed that the elementary teacher is to be educated as temperate story-teller with humanities orientation, sensitive artist with playful spirit, and constructive director with social intelligenc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