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실내조경 소재개발을 위한 자생 상록양치류의 대량번식 3. 전엽체 유도와 발달에 미치는 배지의 무기물, 질소급원, 탄소원, 생장조절물질 및 배양조건의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887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자생 상록양치류의 대량번식의 체계를 위해 배양조건에 따른 전엽체 유도와 발달에 미치는 배지, 질소급원, 탄소원, 생장조절물질의 조합 및 배양조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엽체증식에 있어 적절한 배지는 4종 모두 MS배지가 전엽체의 증식에 가장 양호하였고, 질소량이 NH4+:NO3-이 20:40mM로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는데, 특히 큰봉의꼬리(Pteris cretica)에서는 NH4+:NO3-이 60:0보다 20:40mM에서 생체중이 1.48g으로 4.1배로 증가를 보여 가장 양호하였다. 탄소원인 sucrose 농도별로 전엽체의 증식에 큰 차이를 보였는데, 큰봉의꼬리(Pteris cretica)에 있어 3%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7.7배로 전엽체의 증식이 가장 양호하였고, 배지내의 NaH2PO4 100mg/L에서 더부살이고사리(Polystichum lepidocaulon)의 경우에 있어 가장 양호하였으며 전반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생장조절 물질에 대한 생육반응에 있어 골고사리와 버들참빗은 NAA 0.1mg/L에서 볼 수 있었으나, 돌담고사리 경우에는 Kinetin 0.01∼10mg/L와 NAA 0.01∼1mg/L에서는 효과의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손고비에서는 전반적으로 무처리구에서 전엽체 증식이 가장 현저하였다. 배양시 광조건은 1,000 Lux의 광도에서 배양한 것이 전엽체 증식률이 가장 높았으며, 배양방법에 있어 큰봉의꼬리(Pteris cretica)는 액체배양에서는 1.59g에 비해 고체배양에서 3.34g으로 2.1배의 현저한 증가를 볼 수 있었다.
      번역하기

      자생 상록양치류의 대량번식의 체계를 위해 배양조건에 따른 전엽체 유도와 발달에 미치는 배지, 질소급원, 탄소원, 생장조절물질의 조합 및 배양조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엽...

      자생 상록양치류의 대량번식의 체계를 위해 배양조건에 따른 전엽체 유도와 발달에 미치는 배지, 질소급원, 탄소원, 생장조절물질의 조합 및 배양조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엽체증식에 있어 적절한 배지는 4종 모두 MS배지가 전엽체의 증식에 가장 양호하였고, 질소량이 NH4+:NO3-이 20:40mM로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는데, 특히 큰봉의꼬리(Pteris cretica)에서는 NH4+:NO3-이 60:0보다 20:40mM에서 생체중이 1.48g으로 4.1배로 증가를 보여 가장 양호하였다. 탄소원인 sucrose 농도별로 전엽체의 증식에 큰 차이를 보였는데, 큰봉의꼬리(Pteris cretica)에 있어 3%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7.7배로 전엽체의 증식이 가장 양호하였고, 배지내의 NaH2PO4 100mg/L에서 더부살이고사리(Polystichum lepidocaulon)의 경우에 있어 가장 양호하였으며 전반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생장조절 물질에 대한 생육반응에 있어 골고사리와 버들참빗은 NAA 0.1mg/L에서 볼 수 있었으나, 돌담고사리 경우에는 Kinetin 0.01∼10mg/L와 NAA 0.01∼1mg/L에서는 효과의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손고비에서는 전반적으로 무처리구에서 전엽체 증식이 가장 현저하였다. 배양시 광조건은 1,000 Lux의 광도에서 배양한 것이 전엽체 증식률이 가장 높았으며, 배양방법에 있어 큰봉의꼬리(Pteris cretica)는 액체배양에서는 1.59g에 비해 고체배양에서 3.34g으로 2.1배의 현저한 증가를 볼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in vitro mass propagation system of korea green native ferns for developing materials of interior landscape architecture. This study was also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dium, nitrogen, carbohydrate, growth regulators, cultural light, and cultural methods on the propagation of prothallus for several korea green native ferns. MS medium was more efficient in the prothallus formation and growth than 1/2 MS and agar medium. The ideal NH4+:NO3- ratio of nitrogen sources was 20:40 mM for Pteris cretica. In the case of carbon sources, the addition of 3% sucrose to the medium exerted an important role on the prothllaus formation and growth were increased 7.7 times for Pteris cretica specially. NaH2PO4 at 100 mg/L added to the basal medium was promotive on the prothllaus formation and growth for Polystichum lepidocaulon specially. There was promotive effects on the prothllaus formation and growth in the basal medium with 0.1 mg/L NAA for Asplenium scolopendrium and Diplazium lanceum, but was not promotive at Kinetin 0.01∼10mg/L and NAA 0.01∼1mg/L for Asplenium sarelii. The addition of growth substances to basal medium was inhibited the prothllaus formation and growth for Colysis elliptica. The prothllaus formation and growth was more effective on the culture under light with 1,000Lux than dark in each species, and the cultural method was more effective solid culture than liquid culture.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in vitro mass propagation system of korea green native ferns for developing materials of interior landscape architecture. This study was also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dium, nitrogen, carbohy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in vitro mass propagation system of korea green native ferns for developing materials of interior landscape architecture. This study was also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dium, nitrogen, carbohydrate, growth regulators, cultural light, and cultural methods on the propagation of prothallus for several korea green native ferns. MS medium was more efficient in the prothallus formation and growth than 1/2 MS and agar medium. The ideal NH4+:NO3- ratio of nitrogen sources was 20:40 mM for Pteris cretica. In the case of carbon sources, the addition of 3% sucrose to the medium exerted an important role on the prothllaus formation and growth were increased 7.7 times for Pteris cretica specially. NaH2PO4 at 100 mg/L added to the basal medium was promotive on the prothllaus formation and growth for Polystichum lepidocaulon specially. There was promotive effects on the prothllaus formation and growth in the basal medium with 0.1 mg/L NAA for Asplenium scolopendrium and Diplazium lanceum, but was not promotive at Kinetin 0.01∼10mg/L and NAA 0.01∼1mg/L for Asplenium sarelii. The addition of growth substances to basal medium was inhibited the prothllaus formation and growth for Colysis elliptica. The prothllaus formation and growth was more effective on the culture under light with 1,000Lux than dark in each species, and the cultural method was more effective solid culture than liquid cul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재료 및 방법
      • Ⅲ. 결과 및 고찰
      • Ⅳ. 적요
      • ABSTRACT
      • Ⅰ. 서론
      • Ⅱ. 재료 및 방법
      • Ⅲ. 결과 및 고찰
      • Ⅳ. 적요
      • Ⅴ.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의 형태적 특성 및 포자배양. 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 18" 179-183, 1991

      2 "실내조경 소재개발을 위한 자생 상록양치류의 대량번식. 2. 포자배양에 의한 배양온도 조명시간 및 배지가 전엽체 발달에 미치는 영향" 12 (12): 107-112, 2006

      3 "실내조경 소재개발을 위한 자생 상록양치류의 대량번식. 1. 포자배양에 의한 전엽체 유도와 발달에 미치는 생장조절물질 질소원 및 KH2PO4의 전처리의 영향" 4 (4): 100-110, 2005

      4 "fern grower's manual" Timber press. Portland, Oregon. 2001

      5 "Tissue culture for plant propagation. University of New England Printery." 1976

      6 "The influences of growth substances and carbon sources on the development and induction of sporophytes in Adiantum cuneatum Gametophytes. J. Kor. Soc. Hort. Sci. 25" 322-329, 1984

      7 "The effect of temperature day-length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mother plants of Nephrolepis exaltata L. Schott and on the subsequent growth in vitro of runner tip explants. Sci. Hort. 47" 137-147, 1991

      8 "Propagation of fern" 261-263, 1982

      9 "Plant regeneration from leaf explant of the fern Platycerium bifurcatum in vitro. Sci.." 257-266, 1994

      10 "Nephrolepis exaltata의 Runner Tip배양에 의한 대량번식. 한국원예학회지. 25" 313-321, 1984

      1 "의 형태적 특성 및 포자배양. 한국식물조직배양학회지. 18" 179-183, 1991

      2 "실내조경 소재개발을 위한 자생 상록양치류의 대량번식. 2. 포자배양에 의한 배양온도 조명시간 및 배지가 전엽체 발달에 미치는 영향" 12 (12): 107-112, 2006

      3 "실내조경 소재개발을 위한 자생 상록양치류의 대량번식. 1. 포자배양에 의한 전엽체 유도와 발달에 미치는 생장조절물질 질소원 및 KH2PO4의 전처리의 영향" 4 (4): 100-110, 2005

      4 "fern grower's manual" Timber press. Portland, Oregon. 2001

      5 "Tissue culture for plant propagation. University of New England Printery." 1976

      6 "The influences of growth substances and carbon sources on the development and induction of sporophytes in Adiantum cuneatum Gametophytes. J. Kor. Soc. Hort. Sci. 25" 322-329, 1984

      7 "The effect of temperature day-length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mother plants of Nephrolepis exaltata L. Schott and on the subsequent growth in vitro of runner tip explants. Sci. Hort. 47" 137-147, 1991

      8 "Propagation of fern" 261-263, 1982

      9 "Plant regeneration from leaf explant of the fern Platycerium bifurcatum in vitro. Sci.." 257-266, 1994

      10 "Nephrolepis exaltata의 Runner Tip배양에 의한 대량번식. 한국원예학회지. 25" 313-321, 1984

      11 "Masspropagation of pteridophyta native to Korea by tissue culture" 1-62, 1999

      12 "Mass production of Boston ferns through tissue culture. Comb. Proc. Int. Plant prop. Soc. 25" 122-124, 1975

      13 "In vitro propagation of Nephrolepis cordifolia Prsel. Sci. Hort. 32" 105-113, 1987

      14 "Iin vitro organogenesis of Ppolypodium cambricum Plant cell Tiss" 57 : 65-69, 1999

      15 "Germination in Osmunda regalis L. gametophyte cultured in vitro" 16 : 358-362, 1997a

      16 "Gametophyte culture in vitro and antheridiogen activity in Blenchum spicant." 50 : 71-74, 1997b

      17 "Environmental factors on sporophyte formation of three species in Pteridophyta." 13 : 1-10, 2001a

      18 "Effects of transplanting methods and media on sporophyte formation of three species in teridophyta" 14 : 41-43, 2001b

      19 "Effects of shading on the growth in Hibiscus syriacus L" 38 : 520-526, 1997

      20 "Effects of media components and culture methods on prothallus propagation in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21 : 58-, 2003

      21 "Effect of controlled shading upon the development of leaf structure in two deciduous tree species. Ecology 25" isa (isa): 404-413, 1944

      22 "Effect of 6-benzylaminopurine on the organogenesis of Asplenium nidis L. through in vitro propagation. Sci. Hort. 37" 351-359, 1989

      23 "Comparative photosynthesis of sun and shade plants. Ann. Rev. Plant Physiol. 28" 355-377, 1977

      24 "Clonal mass propagation of the fern Cyrtomium falcatum. Acta Hort." 655-660, 1987

      25 "Characters and mass propagation of pteridophyta native to Korea." 13 : 1-10, 2000

      26 "Biological and nutritional aspects in fern multiplication." 56 : 211-214, 1999

      27 "A study on the management plan of water environment of ferns in the interior landscape." 27 (27): 122-131, 1999

      28 "A revised medium for rapid growth and bio-assays with tobacco tissue culture. Physiol. Plant. 15" 473-497, 196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2-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KCI등재
      2017-02-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 인간식물환경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물ㆍ인간ㆍ환경학회 ->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KCI등재
      2008-09-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9 0.458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