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몇가지 희귀자생식물의 대량증식을 위하여 종자의 저온저장온도와 발아온도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저온저장온도 실험에서는 두메부추(Allium senescens...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388739
2007
Korean
525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84-89(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몇가지 희귀자생식물의 대량증식을 위하여 종자의 저온저장온도와 발아온도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저온저장온도 실험에서는 두메부추(Allium senescens...
본 연구는 몇가지 희귀자생식물의 대량증식을 위하여 종자의 저온저장온도와 발아온도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저온저장온도 실험에서는 두메부추(Allium senescens L.)의 종자는 5℃에 저장시 발아율이 91.5%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9℃의 비교적 고온에서는 발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흑산도비비추(Hosta yingeri S. B. Jones)는 9℃에서 다소 발아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도원추리(Hemerocallis hongdoensis M.G.Chung & S.S.Kang)의 저장온도 실험은 모든 처리구에서 비슷한 발아양상을 보였고 5℃에서 저장시 발아율이 80%로 가장 높았으며 5℃에서 9℃로 저장온도가 높아질수록 발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발아온도 실험은 두메부추는 20℃, 25℃의 처리구에서 발아가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20℃에서는 생육이 곧고 강건하게 자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흑산도비비추는 발아온도 20., 25℃에서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홍도원추리는 발아온도가 증가할수록 발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25℃의 경우 발아율이 70%로 가장 높았으나 30℃의 고온에서 발아율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ed germination of Allium senescens was mostly insreased, 91.5% at 5℃ storage temperature as compared to other treatment. Germination percentage of Hosta yingeri was showed similar tendency except of 15℃ and germination percentage of Hemerocallis...
Seed germination of Allium senescens was mostly insreased, 91.5% at 5℃ storage temperature as compared to other treatment. Germination percentage of Hosta yingeri was showed similar tendency except of 15℃ and germination percentage of Hemerocallis hongdoensis at 25℃ was higher than other temperature. Also the effect of germination temperature of Allium senescens L. was high at 20℃ as compared with other temperature. and Hemerocallis hongdoensis was somewhat increased at 9℃ treatment. Germination of Hemerocallis hongdoensis was remarkably increased at 5℃.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화훼-재배생리 ; 저온처리개시시기 및 기간에 따른 노루오줌, 비비추의 생육 및 개화반응" 20 (20): 109-109, 2002
2 "화단 및 조경용 원추리 재배기술" 72 (72): 28-31, 2003
3 "채소-재배생리 ; 기능성 싹기름 채소로 개발 가능한 자원식물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온도 및 광의 영향" 23 (23): 30-30, 2005
4 "채소-재배생리 ; 기능성 싹기름 채소로 개발 가능한 자생 꿀풀과, 백합과, 국화과 식물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온도 및 광의 영향" 21 (21): 40-40, 2003
5 "적색광과 식물호르몬이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1991
6 "자생식물의 보존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전망" 48 : 27-30, 1999
7 "자생식물보존을 위한 현지내 보존 전략" 48 : 31-33, 1999
8 "자생식물 보존의 필요성" 48 : 4-6, 1999
9 "자생식물 보존을 위한 사회적 반성" 48 : 41-43, 1999
10 "자생식물 보존에 있어서 자생식물산업의 역할" 48 : 39-40, 1999
1 "화훼-재배생리 ; 저온처리개시시기 및 기간에 따른 노루오줌, 비비추의 생육 및 개화반응" 20 (20): 109-109, 2002
2 "화단 및 조경용 원추리 재배기술" 72 (72): 28-31, 2003
3 "채소-재배생리 ; 기능성 싹기름 채소로 개발 가능한 자원식물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온도 및 광의 영향" 23 (23): 30-30, 2005
4 "채소-재배생리 ; 기능성 싹기름 채소로 개발 가능한 자생 꿀풀과, 백합과, 국화과 식물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온도 및 광의 영향" 21 (21): 40-40, 2003
5 "적색광과 식물호르몬이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1991
6 "자생식물의 보존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전망" 48 : 27-30, 1999
7 "자생식물보존을 위한 현지내 보존 전략" 48 : 31-33, 1999
8 "자생식물 보존의 필요성" 48 : 4-6, 1999
9 "자생식물 보존을 위한 사회적 반성" 48 : 41-43, 1999
10 "자생식물 보존에 있어서 자생식물산업의 역할" 48 : 39-40, 1999
11 "자생 산채류의 개발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연구보고서" 1992
12 "생물다양성에 관한 협약과 식물원의 역할" 4 : 7-9, 1995
13 "등숙기간, 온도, 지베렐린이 비비추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62-62, 2000
14 "기린초, 동자꽃, 두메부추의 휴면타파를 위한 고랭지 저온요구시간" 7 (7): 95-103, 2005
저온처리와 재배방법에 따른 나팔나리 ‘겔리아’ 소인경의 줄기와 구근생육
심지 길이 및 개수가 C-형강 저면관수재배시 꽃고추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
실내조경 소재개발을 위한 자생 상록양치류의 대량번식 3. 전엽체 유도와 발달에 미치는 배지의 무기물, 질소급원, 탄소원, 생장조절물질 및 배양조건의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2-1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 인간식물환경학회지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 ![]() |
2017-02-1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 인간식물환경학회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0-1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물ㆍ인간ㆍ환경학회 ->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 ![]() |
2008-09-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8 | 0.38 | 0.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5 | 0.39 | 0.458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