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이른바 `주체의 위기`라는 현대적 상황으로부터 출발한다. `의미의 위기`로도 불리는 현대의 정신적 상황은 체계화된 공적 삶의 조건 가운데서 의미를 상실한 개인적 삶의 허무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45027929
2004
-
슐라이어마허 ; 주체의 위기 ; 개성 ; 종교적 형성 ; 심미적 형성 ; Schleiermacher ; Krise des Subjekts ; Individualitat ; religiose Bildung ; asthetische Bildung
800
KCI등재
학술저널
455-475(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이른바 `주체의 위기`라는 현대적 상황으로부터 출발한다. `의미의 위기`로도 불리는 현대의 정신적 상황은 체계화된 공적 삶의 조건 가운데서 의미를 상실한 개인적 삶의 허무주...
이 논문은 이른바 `주체의 위기`라는 현대적 상황으로부터 출발한다. `의미의 위기`로도 불리는 현대의 정신적 상황은 체계화된 공적 삶의 조건 가운데서 의미를 상실한 개인적 삶의 허무주의적 상황을 지시한다. 개인의 삶을 위협하는 현실의 허무주의적 공간은 애당초 근대적 사유와 의지의 확실성에 의해 마련된 충일한 의미의 공간이었다는 점에서 현대는 주체의 위기의 시대로 규정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현대의 정신적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개성적 형성` 개념에 주목하며 이를 `예술적 형성`과 `종교적 형성`으로 해석함으로써 사고 중심의 `이론적 형성`과 의지 중심의 `실천적 형성`이 성취하지 못한 새로움의 의미를 개성적 형성을 통해 창출하려고 한다. 이론적 형성과 실천적 형성은 현실 가운데 마련되어 있는 삶의 보편적 의미를 중시하는 반면, 예술적 형성과 종교적 형성은 아직까지 드러나지 않은 새로운 의미의 생기(生起)를 지향한다. 개성적 형성의 특징을 드러내기 위하여 이 논문은 먼저 이것과 대비되는 헤겔의 보편적 형성 개념을 주체화한 다음, 슐라이어마허의 개성적 형성 개념을 예술적 형성과 종교적 형성으로 구체화한다. 더 나아가 개성적 형성은 `창 없는 개성`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개성의 전달을 통해 진정한 의미의 공동성을 창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문화의 이념을 새로운 틀에서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개성적 형성을 내면성의 근본적인 활동성으로 규정함으로써 그때마다 새롭게 일어나는 개성을 통해 주체의 위기가 극복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독일 낭만주의의 페미니즘적 성격에 대한 고찰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여성성 구상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