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집. 국어 학습사전의 현황과 전망] : 한자학습사전의 현황과 과제 =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Task of Learner`s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256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of learner``s dictionaries necessary for studying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words, and describes our proposal about the future task. When selecting headwords, we need to consider the whole composition of a dictionary, along with student learning goals. We have not had a definite Chinese character type at national level yet. In spite of the difficulty, however, at the very least, we ought to maintain the use of a common character type and font in a common dictionary. We also suggest that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an item’s meaning should be based on Sino-Korean words given as examples in a dictionary, and the Sino-Korean word should be selected from a corpus related to vocabulary that is being learned. The definition of Sino-Korean word needs not only to be simpler and more concise than the Korean dictionary version, but also to reflect the meaning of the grapheme. A learner``s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does not merely provide linguistic information, but also assumes the form from a comprehensive dictionary. Therefore, when it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we should take account of the efficiency of learning or the accuracy of information, rather than the unity of the composition.
      번역하기

      This essay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of learner``s dictionaries necessary for studying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words, and describes our proposal about the future task. When selecting headwords, we need to consider the whole composition...

      This essay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of learner``s dictionaries necessary for studying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words, and describes our proposal about the future task. When selecting headwords, we need to consider the whole composition of a dictionary, along with student learning goals. We have not had a definite Chinese character type at national level yet. In spite of the difficulty, however, at the very least, we ought to maintain the use of a common character type and font in a common dictionary. We also suggest that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an item’s meaning should be based on Sino-Korean words given as examples in a dictionary, and the Sino-Korean word should be selected from a corpus related to vocabulary that is being learned. The definition of Sino-Korean word needs not only to be simpler and more concise than the Korean dictionary version, but also to reflect the meaning of the grapheme. A learner``s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does not merely provide linguistic information, but also assumes the form from a comprehensive dictionary. Therefore, when it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we should take account of the efficiency of learning or the accuracy of information, rather than the unity of the composi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관배, "한자 千字 사전" 교학사, 2014

      2 이동재, "한문 학습자전 수록 한자의 대표 字義 및 意味項 선정과 조직" 漢文敎育硏究 (41) : 159 ~ 189, 2013

      3 김영옥,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자형 표준화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 2012

      4 강현화, "한국어 학습자 사전 표제어 선정을 위한 자료 구축 및 선정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사전학 (16) : 6 ~ 29, 2010

      5 조남호,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 2003

      6 김성중,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 어휘 교육을 위한 성취기준 개발" 漢字漢文敎育 1 (32) : 59 ~ 79, 2013

      7 김영옥, "한․중․일 漢字 字典의 字形 제시 기준 비교" 漢文敎育硏究 41 (41) : 139 ~ 157, 2013

      8 김낙준, "푸르넷 입문 한자 사전" 금성출판사, 2012

      9 전광진, "초중교과 속뜻학습 국어사전" LBH교육출판사, 2012

      10 전광진, "우리 말 한자어 속뜻사전" LBH교육출판사, 2007

      1 이관배, "한자 千字 사전" 교학사, 2014

      2 이동재, "한문 학습자전 수록 한자의 대표 字義 및 意味項 선정과 조직" 漢文敎育硏究 (41) : 159 ~ 189, 2013

      3 김영옥,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자형 표준화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 2012

      4 강현화, "한국어 학습자 사전 표제어 선정을 위한 자료 구축 및 선정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사전학 (16) : 6 ~ 29, 2010

      5 조남호,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 2003

      6 김성중,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 어휘 교육을 위한 성취기준 개발" 漢字漢文敎育 1 (32) : 59 ~ 79, 2013

      7 김영옥, "한․중․일 漢字 字典의 字形 제시 기준 비교" 漢文敎育硏究 41 (41) : 139 ~ 157, 2013

      8 김낙준, "푸르넷 입문 한자 사전" 금성출판사, 2012

      9 전광진, "초중교과 속뜻학습 국어사전" LBH교육출판사, 2012

      10 전광진, "우리 말 한자어 속뜻사전" LBH교육출판사, 2007

      11 강현화, "외국인을 위한 교육용 한국어사전의 표제어에 대한 고찰" 어문학 70, 2000

      12 홍종선,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사전 편찬의 성과와 과제: 올림말" 우리어문연구 (42) : 7 ~ 30, 2012

      13 민중서림 초등한자교육연구회, "엣센스 초등한자사전" 민중서림, 2005

      14 전광진, "뿌리를 찾는 한자 2350" 조선일보사, 2000

      15 연세대 언어정보연구원, "동아 연세초등한자사전" 두산동아, 2013

      16 백승도, "개념잡는 초등한자 사전" 주니어 김영사, 2013

      17 송병렬, "漢字 語彙 敎育의 方法 摸索과 實行 方案" 漢字漢文敎育 1 (31) : 7 ~ 31, 2013

      18 도원영,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의 뜻풀이 정보" 한국사전학 16 (16) : 106 ~ 136,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