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품질경영시스템 이론과 실무 : ISO 9001:2000 품질경영시스템을 기준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939221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남두도서, 2004

      • 발행연도

        200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25.65 판사항(4)

      • DDC

        658.562 판사항(22)

      • ISBN

        8957800239 93320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품질경영시스템 이론과 실무 : ISO 9001:2000 품질경영시스템을 기준으로 / 이규태 홍재호 공저.

      • 형태사항

        458 p. ; 삽도 ; 27 cm

      • 일반주기명

        부록: 산업표준화법 외 수록
        참고문헌: p. 458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순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덕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청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제1장 표준화일반 = 13
      • 1.1 생활과 표준 = 13
      • 1.2 표준의 역할 = 15
      • 1. 서로 이해하기 위해 = 15
      • 목차
      • 제1장 표준화일반 = 13
      • 1.1 생활과 표준 = 13
      • 1.2 표준의 역할 = 15
      • 1. 서로 이해하기 위해 = 15
      • 2.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을 위해 = 17
      • 3.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게 = 17
      • 4. 사용자(고객, 소비자)를 위해 = 18
      • 5. 제각각이 안 되게 = 18
      • 6. 표준은 모두의 편 = 19
      • 1.3 표준의 분류 = 20
      • 1. 인문사회적 표준과 과학기술계 표준 = 20
      • 2. 사실상의 표준과 공적표준 = 21
      • 3. 기술명세, 표준, 기술규정, 적합성평가 = 22
      • 4. 표준의 영역에 의한 분류 = 26
      • 5. 임의제도와 강제제도 = 27
      • 6. 제품인증제도와 시스템인증제도 = 29
      • 1.4 표준의 효과 및 기능 = 31
      • 1. 표준의 효과 = 31
      • 2. 표준의 기능 = 33
      • 3. 표준화의 한계 = 34
      • 1.5 우리나라의 표준화 제도 = 35
      • 1. 표준화 연혁 = 35
      • 2. 표준화 추진현황 = 36
      • 3. 한국산업규격(KS) 제·개정(http://www.ksa.or.kr)참조 = 37
      • 1.6 국제표준과 부합화 추진 = 46
      • 1. 추진배경 = 46
      • 2. 그동안 추진실적 = 47
      • 3. 국제표준과 부합화 추진에 따른 문제점 = 48
      • 4. 부합화 추진방법 = 48
      • 제2장 21C 산업동향과 표준의 역할 = 51
      • 2.1 지역주의와 지역통합의 강화 = 51
      • 2.2 신기술 태동과 산업구조의 개편 = 55
      • 2.3 표준을 둘러싼 환경변화 = 56
      • 제3장 선진국의 표준화 동향 = 59
      • 3.1 국가표준화 전략의 주도권을 장악한 유럽 = 59
      • 1. 유럽의 교묘한 표준화전략 구상 = 59
      • 2. 주도권 장악의 원동력 = 61
      • 3. 표준을 수단으로 한 개도국 시장 침투 전략 = 61
      • 3.2 유럽을 추격하는 미국 = 62
      • 1. 최근에야 유럽 주도에 위기감을 느낀 미국의 동향 = 62
      • 2. ISO, IEC에 대한 강한 불만과 유럽의 표준화 공세에 대해 깊어지는 불신감 = 63
      • 3. 민, 관 연대로 "뉴 스탠더드 이코노미"를 지향 = 63
      • 4. 성과가 나타나기 시작한 미국 표준전략 = 64
      • 5. De Facto표준도 정부가 지원 = 64
      • 3.3 표준 후진국 탈출을 시도하는 일본, 중국 = 65
      • 1. ISO, IEC에서의 낮은 기여도 = 65
      • 2. 21세기를 지향한 표준화전략 = 65
      • 제4장 국제표준화 활동 = 69
      • 4.1 국제표준의 탄생 = 69
      • 1. 표준의 태동 및 발전 = 69
      • 2. 국제표준의 태동 = 71
      • 3. 국제표준기구(ISO)의 설립 = 72
      • 4.2 국제표준의 발전 = 74
      • 1. 근대적 국제표준의 발전 = 74
      • 2. 국제표준화의 최신 동향 = 76
      • 4.3 국제표준화에 대한 대응 = 79
      • 1. 선진 각국의 국제표준화 대응 동향 = 79
      • 2. 우리 나라의 대응 = 80
      • 4.4 국제표준화기구 활동 = 80
      • 1. ISO(국제표준화기구, http://www.iso.ch) 활동 = 80
      • 2.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 http://www.iec.ch) 활동 = 96
      • 3. 우리 나라의 ISO/IEC 표준화 활동 참여 현황 = 108
      • 4. 지역표준화기구 활동 = 112
      • 4.5 WTO/TBT 협정 대응 활동 = 123
      • 1. WTO/TBT 협정의 역사 = 123
      • 2. WTO/TBT 협정의 개요 = 126
      • 3. WTO/TBT 협정상의 의무 및 권리 = 129
      • 4. WTO/TBT 협정 내용의 문제점 = 130
      • 5. 우리 나라의 WTO/TBT 협정 대응 현황 = 131
      • 제5장 ISO 9000:2000 품질경영시스템 - 기본 사항 및 용어 = 133
      • 5.1 서문(Introduction) = 133
      • 1. 일반사항(General) = 134
      • 2. 품질경영 원칙(Quality Management Principle) = 135
      • 5.2 적용범위(Scope) = 138
      • 5.3 품질경영시스템 기본사항 = 139
      • 1. 품질경영시스템에 대한 이론적 배경 = 139
      • 2. 품질경영시스템 요구사항 및 제품 요구사항 = 140
      • 3. 품질경영시스템 접근방법 = 141
      • 4. 프로세스 접근방법 = 143
      • 5. 품질방침 및 품질목표 = 145
      • 6. 품질경영시스템 내에서 최고경영자의 역할 = 145
      • 7. 문서화 = 146
      • 8. 품질경영시스템의 평가 = 148
      • 9. 지속적 개선 = 150
      • 10. 통계적 기법의 역할 = 151
      • 11. 품질경영시스템 및 기타 경영시스템의 초점 = 152
      • 12. 품질경영시스템과 우량 모델과의 관계 = 153
      • 5.4 용어의 정의 = 154
      • 1. 표준 관련 용어 = 155
      • 2. 경영 관련 용어 = 156
      • 3. 조직 관련 용어 = 159
      • 4. 프로세스 및 제품 관련 용어 = 160
      • 5. 특성 관련 용어 = 163
      • 6. 적합성 관련 용어 = 164
      • 7. 문서 관련 용어 = 167
      • 8. 조사 관련 용어 = 168
      • 9. 심사 관련 용어 = 170
      • 10. 측정 프로세스에 대한 품질보증 관련 용어 = 172
      • 부속서 A (참고) 용어개발에 사용된 방법론 = 176
      • 제6장 ISO 9001:2000 품질경영시스템 - 요구사항 = 193
      • 6.1 개요 = 193
      • 1. 일반사항 = 193
      • 2. 프로세스 접근방법 = 195
      • 3. ISO 9004 와의 관계 = 201
      • 4. 기타 경영시스템과의 병용성(compatibility) = 203
      • 6.2 적용범위 = 204
      • 1. 일반사항 = 204
      • 2. 적용 = 205
      • 6.3 인용규격 = 205
      • 6.4 용어의 정의 = 206
      • 6.5 품질경영시스템 = 206
      • 1. 일반 요구사항 = 206
      • 2. 문서화 요구사항 = 209
      • 6.6 경영책임 = 216
      • 1. 경영의지 = 216
      • 2. 고객 중심 = 219
      • 3. 품질 방침 = 221
      • 4. 기획 = 222
      • 5. 책임, 권한 및 의사소통 = 228
      • 6. 경영검토 = 231
      • 6.7 자원관리 = 235
      • 1. 자원확보 = 235
      • 2. 인적자원 = 237
      • 3. 기반구조 = 240
      • 4. 업무 환경 = 242
      • 6.8 제품실현 = 244
      • 1. 제품실현의 기획 = 244
      • 2. 고객관련 프로세스 = 250
      • 3. 설계 및 개발 = 254
      • 4. 구매 = 266
      • 5. 생산 및 서비스 제공 = 271
      • 6. 모니터링장치 및 측정장치의 관리 = 279
      • 6.9 측정, 분석 및 개선 = 282
      • 1. 일반사항 = 282
      • 2. 모니터링 및 측정 = 285
      • 3. 부적합제품의 관리 = 292
      • 4. 데이터의 분석 = 295
      • 5. 개선 = 297
      • 부속서 A (참고) ISO 9001:2000과 ISO 14001:1996 대조표 = 304
      • 제7장 사내표준화실무 = 325
      • 7.1 사내표준화 일반 = 325
      • 1. 사내표준화의 정의 = 325
      • 2. 사내표준화의 의의 = 328
      • 3. 사내표준화의 효과 = 329
      • 4. 사내표준화의 일반원칙 = 334
      • 7.2 사내표준화 추진 = 336
      • 1. 사내표준화의 절차 = 337
      • 2. 사내표준화의 종류 및 대상 = 338
      • 3. 사내표준화 추진시 착안점 = 341
      • 4. 사내표준화 추진 단계 = 343
      • 5. 사내표준화 추진시 계층별, 부문별 역할 = 349
      • 7.3 사내표준 작성 이론 및 실제 = 351
      • 1. ISO 9001:2000 문서화 요구사항에 대한 지침 = 351
      • 2. 표준화의 대상 = 356
      • 3. 표준화의 체계(예) = 356
      • 4. 품질매뉴얼 작성에 관한 가이드 = 358
      • 5. 품질절차서 작성 가이드 = 373
      • 제8장 인증시스템의 정착과 발전 = 391
      • 8.1 내부심사 = 391
      • 1. 내부심사 요구사항 = 392
      • 2. 내부품질/환경심사의 개요 및 목적 = 393
      • 3. 내부품질/환경심사 = 395
      • 8.2 경영검토 = 415
      • 1. 요구사항 = 415
      • 2. 요구사항 해설 = 416
      • 3. 경영검토의 주체 = 418
      • 4. 지속적 개선과 인증서 발급 = 419
      • 5. 경영검토의 실행(예) = 419
      • 8.3 인증기관 소개 및 심사 일반 = 420
      • 1. 업무 프로세스 = 420
      • 2. 인증기관 심사 모듈(Module) 사례 = 42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