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사림계의 金誠一에 대한 인식과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346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선조조에 활동한 金誠一(1538~1593)의 학자ㆍ관료적 삶, 通信使 復命 및 임진왜란 당시 활동상에 대한 士林들의 인식과 평가를 살표보고, 그것이 지니는 의미를 짚어보는데 목적이 있...

      이 글은 선조조에 활동한 金誠一(1538~1593)의 학자ㆍ관료적 삶, 通信使 復命 및 임진왜란 당시 활동상에 대한 士林들의 인식과 평가를 살표보고, 그것이 지니는 의미를 짚어보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후자와 관련해서는 서인계의 ‘失報誤國論’과 남인계의 ‘嶺南再造論’이 지니는 지극히 차별적인 인식 및 평가구조의 형성 과정과 그 내용의 분석에 역점을 두었다 ‘실보오국론’은 사행 보고에 초점을 둔 인식이고 ‘영남재조론’은 임란 때의 활동상에 주안점을 둔 평가라는 점에서 그 인식과 평가의 사안 또는 대상이 서로 달랐으며, 각기 선조 및 서인계와 남인계의 입장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둘 다 정치적인 성격을 강하게 띄고 있었다. 따라서 김성일이 인식과 평가는 그의 사후에 더 정치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진 성격이 있었고, 또 두 논의는 일종의 攻守構造를 형성하면서 自作論理로 흐른 측면을 배제할 수 없었다. 이 글에서는 이들 두 논리의 전개 과정 및 문제점을 아울러 검토하여 김성일을 바라보는 두 관점의 바닥에 까린 정서와 주장의 실체를 해명하는데 논점을 집중시켰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focused on the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Kim Seong-il(1538~1593), a scholar and a bureaucrat who lived in the King Seonjo period, by Sarim faction. The main points are his life as a scholar and a bureaucrat, a report of the emissary d...

      This article focused on the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Kim Seong-il(1538~1593), a scholar and a bureaucrat who lived in the King Seonjo period, by Sarim faction. The main points are his life as a scholar and a bureaucrat, a report of the emissary dispatched to Japan by the king of Joseon in 1590 and his remarkable activities in Japanese invasion of 1592. Especially two theories are suggested. One of the two is the theory of a national crisis caused by misinformation ? the opinion of Westerner, and the other is the theory of reconstruction of nation led by Yeongnam people ? the opinion of Southerner. While the former focus on the report, the latter focus on the activities of battle field. Two points of view in this regard are concerned with different objects and issues of recognition and evaluation. That reflects their political viewpoints of the Westerner with the King Seonjo and the Southerner. Therefore it seemed that the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Kim Seong-il was developed actively after his death, the mechanism of offenses and defenses have changed their own logic. In addition this article has dealt with development and problems of two theories, it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 reality about recognition and evaluation Kim Seong-i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김성일의 인간상 : 直道와 忠義의 관점에서
      • 3. 학자ㆍ관료적 자취와 그 평가
      • 4. 통신사 복명과 임란 당시 활동상에 대한 정파별 인식의 차이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김성일의 인간상 : 直道와 忠義의 관점에서
      • 3. 학자ㆍ관료적 자취와 그 평가
      • 4. 통신사 복명과 임란 당시 활동상에 대한 정파별 인식의 차이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珥, "栗谷全書"

      2 김학수, "廬江書院과 嶺南學統-17세기 초반의 廟享論議를 중심으로-, In 朝鮮時代의 社會와 思想" 朝鮮社會硏究會 1998

      3 尹宣擧, "魯西遺稿"

      4 박희병, "한국의 생태사상" 돌베개 1999

      5 이성무, "조선시대당쟁사" 동방미디어 2000

      6 "국역 학봉전집" 韓國古典飜譯院

      7 "국역 율곡전서" 韓國古典飜譯院

      8 "국역 석담일기" 韓國古典飜譯院

      9 "국역 고대일록" 南冥學硏究院

      10 김학수,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시대의 증시(贈諡) 행정" 한국고문서학회 23 : 59-94, 2003

      1 李珥, "栗谷全書"

      2 김학수, "廬江書院과 嶺南學統-17세기 초반의 廟享論議를 중심으로-, In 朝鮮時代의 社會와 思想" 朝鮮社會硏究會 1998

      3 尹宣擧, "魯西遺稿"

      4 박희병, "한국의 생태사상" 돌베개 1999

      5 이성무, "조선시대당쟁사" 동방미디어 2000

      6 "국역 학봉전집" 韓國古典飜譯院

      7 "국역 율곡전서" 韓國古典飜譯院

      8 "국역 석담일기" 韓國古典飜譯院

      9 "국역 고대일록" 南冥學硏究院

      10 김학수,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시대의 증시(贈諡) 행정" 한국고문서학회 23 : 59-94, 2003

      11 金應祖, "鶴沙集"

      12 金龍洙, "鶴峰門人錄"

      13 학봉김선생기념사업회, "鶴峯의 學問과 救國活動" 1993

      14 金誠一, "鶴峯全集"

      15 金彦鍾, "鶴峯先生의 禮學, In 鶴峯의 學問과 救國活動" 학봉김선생기념사업회 1993

      16 허선도, "鶴峯先生과 壬辰義兵活動" 학봉김선생기념사업회 1993

      17 權五榮, "鶴峯 金誠一과 安東地域의 退溪學脈" 경북대 퇴계연구소 28 : 2000

      18 이현진, "鶴峯 金誠一의 禮學과 喪禮考證" 역사문화연구소 4 : 2008

      19 安邦俊, "隱峯全書"

      20 李家煥, "錦帶詩文抄"

      21 徐廷文, "退溪集의 初刊과 月川·西厓是非" 國民大 國史學科 3 : 1993

      22 李滉, "退溪集"

      23 申欽, "象村稿"

      24 許穆, "記言"

      25 閔仁伯, "苔泉集"

      26 曺好益, "芝山集"

      27 李珥, "石潭日記"

      28 吳希文, "瑣尾錄"

      29 李肯翊, "燃藜室記述"

      30 李植, "澤堂別集"

      31 趙任道, "澗松集"

      32 金尙憲, "淸陰集"

      33 趙翼, "浦渚集"

      34 黃景源, "江漢集"

      35 蔡濟恭, "樊巖集"

      36 金宇顒, "東岡集"

      37 "朝鮮王朝實錄" 國史編纂委員會

      38 이수건, "朝鮮後期 嶺南儒疏에 대하여, In 斗溪李丙燾博士九旬紀念韓國史論叢" 1985

      39 이상현, "月川 趙穆의 陶山書院 從享論議" 北岳史學會 8 : 2001

      40 정만조, "月川 趙穆과 禮安地域의 退溪學脈, In 韓國의哲學"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0

      41 李瀷, "星湖集"

      42 李瀷, "星湖僿說"

      43 鄭經世, "愚伏集"

      44 李萬敷, "息山集"

      45 鄭逑, "寒岡集"

      46 朴東亮, "寄齋史草"

      47 鄭慶雲, "孤臺日錄"

      48 "厚光世帖"

      49 朴世采, "南溪集"

      50 韓元震, "南塘集"

      51 김학수, "17세기 영남학파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8

      52 박현순, "16~17세기 예안현 사족사회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87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