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 패러다임 맵 구현을 위한 프레임워크 설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094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첨단 ICT기반의 다양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미래형 지도에 대해 제안한다. 미래형 지도는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유무형의 사실과 현상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통하여 다양한 형식으로 결과를 표현하고 사용자 참여형의 새로운 모습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향후 지도는 경제, 산업, 일상생활에 필요한 정보의 수집, 처리, 활용, 분석, 배포 및 공유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지향하는 지도 형태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관점으로 본 논문에서는 지도, 데이터베이스, 공간분석의 개념을 기반으로 현실공간의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실시간 개인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고, 시계열 데이터의 표현을 특징으로 하여 사회, 경제, 문화 등 모든 분야의 거시 현상을 분석 및 예측하여, 미래창조경제를 선도할 수 있는 ‘신 패러다임 맵’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그에 따른 핵심 기술들을 기술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첨단 ICT기반의 다양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미래형 지도에 대해 제안한다. 미래형 지도는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유무형의 사실과 현상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통하여 다양한 형...

      본 논문에서는 첨단 ICT기반의 다양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미래형 지도에 대해 제안한다. 미래형 지도는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유무형의 사실과 현상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통하여 다양한 형식으로 결과를 표현하고 사용자 참여형의 새로운 모습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향후 지도는 경제, 산업, 일상생활에 필요한 정보의 수집, 처리, 활용, 분석, 배포 및 공유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지향하는 지도 형태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관점으로 본 논문에서는 지도, 데이터베이스, 공간분석의 개념을 기반으로 현실공간의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실시간 개인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고, 시계열 데이터의 표현을 특징으로 하여 사회, 경제, 문화 등 모든 분야의 거시 현상을 분석 및 예측하여, 미래창조경제를 선도할 수 있는 ‘신 패러다임 맵’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그에 따른 핵심 기술들을 기술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futuristic map using variety technology of advanced ICT-based. The futuristic maps are expected to developed into a new format of user participation to express the results in various formats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facts and phenomena of tangible and intangible that exist in the real world. In the future, the map is expected to be developed into form of a new paradigm map made in real time that economy, industry,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everyday life, processing, usage, analysis, distribution and sharing. In this paper, we provide a real-time personalized contents to digitize the information of the real space based on the concept of map, databases, spatial analysis and describes the key technologies that characterized by the representation of time-series data by analyzing and prediction every field macro phenomena of society, economy, culture and etc. And we establish the concepts of the ‘New Paradigm Map’ for future creative economy.
      번역하기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futuristic map using variety technology of advanced ICT-based. The futuristic maps are expected to developed into a new format of user participation to express the results in various formats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futuristic map using variety technology of advanced ICT-based. The futuristic maps are expected to developed into a new format of user participation to express the results in various formats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facts and phenomena of tangible and intangible that exist in the real world. In the future, the map is expected to be developed into form of a new paradigm map made in real time that economy, industry,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everyday life, processing, usage, analysis, distribution and sharing. In this paper, we provide a real-time personalized contents to digitize the information of the real space based on the concept of map, databases, spatial analysis and describes the key technologies that characterized by the representation of time-series data by analyzing and prediction every field macro phenomena of society, economy, culture and etc. And we establish the concepts of the ‘New Paradigm Map’ for future creative econom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지도 개념의 진화
      • Ⅲ. 신 패러다임 맵의 개념과 특징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지도 개념의 진화
      • Ⅲ. 신 패러다임 맵의 개념과 특징
      • Ⅳ. 신 패러다임 맵의 핵심 소요 예상 기술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기식, "한국사회의 이슈와 정책" 한국학술정보 2010

      2 김선우, "참여형공간정보시스템 활용체계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12 (12): 2014

      3 정대중, "지도로 만들어가는 새로운 가치와 생태계 변화 전망" 다음커뮤니케이션 2010

      4 정대중, "지도로 만들어가는 새로운 가치와 생태계 변화 전망" 다음커뮤니케이션 2010

      5 함유근, "빅데이터 경영을 바꾸다" 삼성경제연구소 2012

      6 김선우, "미래창조경제 선도를 위한 신 패러다임 맵 설계" 12 (12): 2014

      7 김중태, "모바일혁명과 소셜네트워크가 만드는비즈니스 미래지도" IT문화원 2010

      8 조원영, "모바일 생태계의 새로운 격전장, 디지털지도" 삼성경제연구소 2012

      9 국토해양부, "공간정보산업진흥 기본계획(안)" 2010

      10 김대종, "공간빅데이터로 똑똑하고 신뢰받는 정부 구현방안" 국토연구원 2013

      1 박기식, "한국사회의 이슈와 정책" 한국학술정보 2010

      2 김선우, "참여형공간정보시스템 활용체계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12 (12): 2014

      3 정대중, "지도로 만들어가는 새로운 가치와 생태계 변화 전망" 다음커뮤니케이션 2010

      4 정대중, "지도로 만들어가는 새로운 가치와 생태계 변화 전망" 다음커뮤니케이션 2010

      5 함유근, "빅데이터 경영을 바꾸다" 삼성경제연구소 2012

      6 김선우, "미래창조경제 선도를 위한 신 패러다임 맵 설계" 12 (12): 2014

      7 김중태, "모바일혁명과 소셜네트워크가 만드는비즈니스 미래지도" IT문화원 2010

      8 조원영, "모바일 생태계의 새로운 격전장, 디지털지도" 삼성경제연구소 2012

      9 국토해양부, "공간정보산업진흥 기본계획(안)" 2010

      10 김대종, "공간빅데이터로 똑똑하고 신뢰받는 정부 구현방안" 국토연구원 2013

      11 김민수, "공간빅데이터관련 국내외 동향분석"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3

      12 안종욱, "공간빅데이터 개념 및 체계 구축방안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 21 (21): 43-51, 2013

      13 류찬희, "[디지털지도 3.0시대] 마트서 구입할 품목 누르면 자동 길안내…"

      14 Quentin Hardy, "Facing Fees, Some Sites Are Bypassing Google Maps"

      15 D. R. F. Taylor, "Developments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Cybercartography Vol.5" Applicants and Indigenous Mapping 2003

      16 최계영, "2013/2014 ICT 주요 이슈 및 전망" KISDI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