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음주운전 의도와 행동에 대한 억제요인 연구 = deterrence Factors for Intention and Behavior of Driving Under the Influence(DU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728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Advent of automobiles and consequent emergence of driving under the influence(DIUI) is causing hundreds of fatalities and tens of thousands of injuries every year in South Korea. Related to this problem is an estimated social cost of over one trillion Korean one. This current state of the problem requires an active respo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s of formal and informal deterrence factors on DUI intent and behavior, and propose improvements of deterrence policies on DUI based on the results. To this end,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studies on DUI were examined, and analysis was conducted on survey data of 1120 subjects from 15 special cities and provinces of South Korea in 2013, with the exception of Jeju province. Multiple regression method was used for analysis. In the results, factors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UI intent were, among formal deterrence factors, celerity of punishment, and among informal deterrence factors, social condemnation, group norms and predicted shame. On DUI behavior, th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mal deterrence factors and only one informal detergence factor, group norm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Meanwhile, an additional variable, DUI intent,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ive factor of DUI beahvior.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criticizes current policy on DUI that only considers the aspects of criminal punishment and criminal sanctions, and proposes that policy on DUI should be improved with additional consideration of informal deterrence factors such as group norms, social condemnation and predicted shame.
      번역하기

      Advent of automobiles and consequent emergence of driving under the influence(DIUI) is causing hundreds of fatalities and tens of thousands of injuries every year in South Korea. Related to this problem is an estimated social cost of over one trillion...

      Advent of automobiles and consequent emergence of driving under the influence(DIUI) is causing hundreds of fatalities and tens of thousands of injuries every year in South Korea. Related to this problem is an estimated social cost of over one trillion Korean one. This current state of the problem requires an active respo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s of formal and informal deterrence factors on DUI intent and behavior, and propose improvements of deterrence policies on DUI based on the results. To this end,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studies on DUI were examined, and analysis was conducted on survey data of 1120 subjects from 15 special cities and provinces of South Korea in 2013, with the exception of Jeju province. Multiple regression method was used for analysis. In the results, factors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UI intent were, among formal deterrence factors, celerity of punishment, and among informal deterrence factors, social condemnation, group norms and predicted shame. On DUI behavior, th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mal deterrence factors and only one informal detergence factor, group norm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Meanwhile, an additional variable, DUI intent,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ive factor of DUI beahvior.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criticizes current policy on DUI that only considers the aspects of criminal punishment and criminal sanctions, and proposes that policy on DUI should be improved with additional consideration of informal deterrence factors such as group norms, social condemnation and predicted sha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자동차의 등장과 함께 현대산업사회의 새로운 사회문제로 떠오른 음주운전은 매년 수 백명의 사망자와 수만명의 부상자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1조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음주운전 의도와 행동에 각각 공식적 억제 및 비공식적 억제요인의 효과를 확인하여 음주운전 억제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 및 선행연구를 탐색하였고, 2013년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15개 광역시도에서 조사된 1102명의 설문자료를 토대로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기법은 주로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음주운전 의도에 대해서는 공식적 통제요인으로 처벌의 신속성이 억제효과를 나타냈고, 비공식적 통제요인인 사회적 비난과 집단적 규범, 예기된 수치심은 모두 유의미한 억제효과가 있었다. 또, 음주운전 행동에 대해서는 공식적 통제요인은 유의미한 영향을 갖는 변수가 확인되지 않았고, 비공식적 통제요인 중에서도 집단적 규범만이 억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신 추가변수인 음주운전 의도가 음주운전 행동에 대한 가장 강한 예측요인이었다. 이 연구를 통해 기존의 음주운전 억제정책의 형사처벌 및 행정제재 측면만을 강조하는 문제점을 비판하고, 비공식적 억제요인으로서 집단적 규범, 사회적 비난, 예기된 수치심 등 사회통제적 요소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자동차의 등장과 함께 현대산업사회의 새로운 사회문제로 떠오른 음주운전은 매년 수 백명의 사망자와 수만명의 부상자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1조원이 넘는 것...

      자동차의 등장과 함께 현대산업사회의 새로운 사회문제로 떠오른 음주운전은 매년 수 백명의 사망자와 수만명의 부상자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1조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음주운전 의도와 행동에 각각 공식적 억제 및 비공식적 억제요인의 효과를 확인하여 음주운전 억제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 및 선행연구를 탐색하였고, 2013년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15개 광역시도에서 조사된 1102명의 설문자료를 토대로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기법은 주로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음주운전 의도에 대해서는 공식적 통제요인으로 처벌의 신속성이 억제효과를 나타냈고, 비공식적 통제요인인 사회적 비난과 집단적 규범, 예기된 수치심은 모두 유의미한 억제효과가 있었다. 또, 음주운전 행동에 대해서는 공식적 통제요인은 유의미한 영향을 갖는 변수가 확인되지 않았고, 비공식적 통제요인 중에서도 집단적 규범만이 억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신 추가변수인 음주운전 의도가 음주운전 행동에 대한 가장 강한 예측요인이었다. 이 연구를 통해 기존의 음주운전 억제정책의 형사처벌 및 행정제재 측면만을 강조하는 문제점을 비판하고, 비공식적 억제요인으로서 집단적 규범, 사회적 비난, 예기된 수치심 등 사회통제적 요소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을 제안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철우, "형벌의 음주운전 억제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경찰법학회 10 (10): 105-125, 2012

      2 강민아, "행정학 및 정책학 조사연구에서 결측치 발생과 처리 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행정학회 40 (40): 31-52, 2006

      3 성도경, "통안전규제정책의 불응요인에 관한 연구: 자동차 음주운전을 중심으로" 대한지방자치학회 12 (12): 233-254, 2011

      4 치안정책연구소, "치안전망 2016" 치안정책연구소 2015

      5 이순철, "청소년 운전의 특성과 사고 위험성" 23 : 47-66, 1998

      6 기광도, "인지된 억제력의 형성과 효과: 음주운전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학회 22 (22): 127-155, 2010

      7 두산백과, "음주측정기"

      8 조성호, "음주운전행동을 예측하는 동기요인들의 분석" 한국공안행정학회 22 (22): 323-354, 2013

      9 전영실, "음주운전의 특성 및 대책에 관한 연구" 7 (7): 83-96, 2006

      10 김연수, "음주운전의 유발요인과 억제요인에 대한 탐색" 한국범죄심리학회 8 (8): 59-88, 2012

      1 정철우, "형벌의 음주운전 억제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경찰법학회 10 (10): 105-125, 2012

      2 강민아, "행정학 및 정책학 조사연구에서 결측치 발생과 처리 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행정학회 40 (40): 31-52, 2006

      3 성도경, "통안전규제정책의 불응요인에 관한 연구: 자동차 음주운전을 중심으로" 대한지방자치학회 12 (12): 233-254, 2011

      4 치안정책연구소, "치안전망 2016" 치안정책연구소 2015

      5 이순철, "청소년 운전의 특성과 사고 위험성" 23 : 47-66, 1998

      6 기광도, "인지된 억제력의 형성과 효과: 음주운전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학회 22 (22): 127-155, 2010

      7 두산백과, "음주측정기"

      8 조성호, "음주운전행동을 예측하는 동기요인들의 분석" 한국공안행정학회 22 (22): 323-354, 2013

      9 전영실, "음주운전의 특성 및 대책에 관한 연구" 7 (7): 83-96, 2006

      10 김연수, "음주운전의 유발요인과 억제요인에 대한 탐색" 한국범죄심리학회 8 (8): 59-88, 2012

      11 이순래, "음주운전의 원인에 관한 연구 : 억제이론과 수치이론을 중심으로" 8 (8): 201-232, 1997

      12 전영실, "음주운전의 억제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 (20): 257-277, 2009

      13 기광도, "음주운전의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한국경찰연구학회 9 (9): 3-28, 2010

      14 박상호, "음주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탐색: 인지 행동적 요인을 중심으로. 교통안전교육논문"

      15 신용균, "음주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28 : 25-36, 2009

      16 김영오, "음주운전억제 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경찰활동을 중심으로 -" 치안정책연구소 26 (26): 199-230, 2012

      17 경찰청, "음주운전사범 단속 및 처벌 강화 추진"

      18 최회균, "음주운전과 법적규제의 관계분석" 11 : 317-342, 1999

      19 장석용, "음주운전 전력 집단별 심리적 메커니즘 차이 분석을 통한 음주운전 상습화 예방대책 연구" 대한교통학회 30 (30): 107-118, 2012

      20 박기범, "음주운전 억제를 위한 실효적 정책 구상" 한국형사정책학회 20 (20): 83-110, 2008

      21 정영호, "음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및 음주폐해 예방사업의 비용효과성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22 머니투데이, "술취해 저지른 성폭력, 심신장애로 ‘감형’? 이젠 No"

      23 이윤호, "범죄학" 박영사 2015

      24 "도로교통법. (개정 2016. 1. 27., 법률 제13829호)"

      25 박동균, "대학생들의 음주운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 대구․경북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7 (7): 71-86, 2011

      26 명묘희, "교통안전규제정책의 불응요인과 순응확보수단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27 한덕웅, "계획된 행동이론에 의한 음주운전 행동의 설명" 15 (15): 141-158, 2001

      28 기광도, "경찰의 음주운전 단속효과에 관한 분석" 한국경찰연구학회 9 (9): 27-50, 2010

      29 김수진, "결속형, 교량형 사회자본과 커뮤니케이션 행위 특성이 음주운전에 미치는 영향 : 계획된 행동이론의 적용과 확장" 한국언론학회 57 (57): 187-215, 2013

      30 김상균, "개인적 특성 및 처벌인식과 음주운전의 관계" 한국공안행정학회 (12) : 35-52, 2001

      31 김병석, "감각추구성향 및 도덕적 요인과 음주운전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0 (10): 59-80, 2002

      32 박기범, "飮酒運轉規制政策과 그 改善方案"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33 Voas, R. B., "Vehicle action: Effective Policy for Controlling Drunk and Other High-risk Drivers?" 34 (34): 263-270, 2002

      34 Ajzen. I.,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Prentice Hall 1980

      35 Catanier, C.,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Road Violations : The Moderating Influence of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18 : 148-158, 2013

      36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50 : 179-211, 1991

      37 Brewer, R. D., "The Risk of Dying in Alcohol Related Automobile Crashes Among Habitual Drunk drivers" 331 (331): 513-517, 1994

      38 성태제, "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 학지사 2007

      39 Grasmick, H. G., "Reduction in Drunk Driving as a Response to Increased Threats of Shame, Embarrassment, and Legal Sanctions" 31 (31): 41-67, 1993

      40 Yu, J., "Punishment and Alcohol Problems Recidivism among Drinking-driving Offenders" 28 : 261-270, 2000

      41 Shell, T. L., "Predicting DUI Recidivism : Personality, Attitudinal, and Behavioral Risk Factors" 82 (82): 33-40, 2006

      42 Williams, K. R., "Perceptual Research on General Deterrence: A Critical Review" 20 : 545-572, 1986

      43 Lanza-Kaduce, L., "Perceptual Deterrence and Drinking and Driving Among College Students" 26 : 321-341, 1988

      44 Taxman, F. S., "On Preventing Drunk Driving Recidivism : an Examination of Rehabilitation and Punishment Approaches" 26 (26): 129-143, 1998

      45 Soper, J. R., "Legislating Safety : A Look at the Effects of Michigan’s 1983 Anti-Drunk Driving Statute" 18 (18): 871-885, 1990

      46 Anderson, L., "Formal and Informal Sanctions: A Comparison of Deterrent Effects" 25 : 103-114, 1977

      47 Wiliszowski, C., "Determine Reasons for Repeat Drinking and Driving"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1996

      48 Akers, R., "Criminological Theories: Introduction and Evaluation" Roxbury Publishing 1994

      49 Von Hirsch, A. V., "Criminal Deterrence and Sentence Severity: an Analysis of Recent Research" Hart Publishing 1999

      50 Braithwaite, John., "Crime, Shame and Reintegration" Cambridge 1989

      51 Becker, G. S., "Crime and Punishment : An Economic Approach" 76-, 1968

      52 Grasmick, H. G., "Conscience, Significant Others, and Rational Choice : Extending the Deterrence Model" 24 (24): 837-861, 1990

      53 Hirschi, T., "Causes of Delinquency" University of California 1969

      54 Rebellon, C. J., "Anticipated Shaming and Criminal Offending" 38 : 988-997, 2010

      55 Nagin, D.,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Deterrence:Cheating, Self-Serving Bias, and Impulsivity" 41 : 167-193, 2003

      56 Freeman, J., "An Application of Stafford and Warr’s Re-conceptualization of Deterrence to a Group of Recidivist Drink Drivers" 38 (38): 462-471, 2006

      57 Snortrm, J. R., "Alcohol-impaired driving in Norway and Sweden : Another look at"The Scandinavial Myth"" 6 : 479-499, 1984

      58 도로교통공단, "2015년판 교통사고 통계분석(2014년 통계)" 도로교통공단 2015

      59 경찰청, "2015 경찰백서" 경찰청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78 0.882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