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아시아 전쟁 관련 기념관의 전시 내러티브와 역사교육적 의미 = A Study on the Exhibition Narratives of War Memorial Halls in East Asian Countries and its Implications for History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648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stories described through the exhibition narratives of Hiroshima Peace Memorial Museum and Nanjing Massacre Memorial Hall. In an exhibition, historical relics are carefully selected and arranged to deliver the intended messages. Since those selected relics could be understoo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context,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exhibition narratives as those selected relics could be understoo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context.
      Hiroshima Peace Memorial Museum chose to display the cruelty of the war and the damages caused by the atomic bomb. Thus the displa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eace while avoid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outbreak of the war. In historical context, its narrative only indicates how much damage Japan suffered from the atomic explosion in Hiroshima, separating the brutality of the invasion from the damage.
      On the other hand, Nanjing Massacre Memorial Hall proves that the massacre is an indisputable historical fact, to contradict the ‘rightwing organizations’ of Japan who denies the happening of the massacre. Also, it functions as the place to educate the Chinese nationalism.
      This study tries to extract historical consciousness embedded in the exhibition narratives. Here, four types of Jörn Rüsen’s distinct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traditional, exemplary, critical, genetic is employed.
      Neither the Hiroshima Peace Memorial Museum nor Nanjing Massacre Memorial Hall applies merely a single type of historical consciousness Rüsen suggested. The two memorial museums display various ways of historical awareness by using diverse narratives that show the four types of historical consciousness. This is because the views understanding of the past warfare and damages changed over time.
      History education is not about delivering the facts of the past but guiding the public to have the right view about the past which is based on selfunderstanding. Because of the experience of the war in the 20th century, the view of selfunderstanding of each of East Asian countries was altered. As a result, the view of each other also differed, which reflected on the exhibition of memorial museums.
      As time passes, the concern of improper history awareness is raised due to gradual loss of actual experience and memory. Especially, for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who suffered extreme conflicts, the memories of the past is still a key factor of the conflicts of today. In the current situation, the responsibility of passing down the memory of the past and raising critical historical consciousness by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Accordingly, memorial museums should be the means to understand common history and to achieve a futureoriented reconciliation between the related countries. The memorial museums carry war memories that are not restrained to history of a single country. In the light of current international conflicts regarding past memories, it is of great importance to pay attention to the memorial museums that represent the contemporary history of three East Asian countries.
      번역하기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stories described through the exhibition narratives of Hiroshima Peace Memorial Museum and Nanjing Massacre Memorial Hall. In an exhibition, historical relics are carefully selected and arranged to deliv...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stories described through the exhibition narratives of Hiroshima Peace Memorial Museum and Nanjing Massacre Memorial Hall. In an exhibition, historical relics are carefully selected and arranged to deliver the intended messages. Since those selected relics could be understoo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context,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exhibition narratives as those selected relics could be understoo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context.
      Hiroshima Peace Memorial Museum chose to display the cruelty of the war and the damages caused by the atomic bomb. Thus the displa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eace while avoid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outbreak of the war. In historical context, its narrative only indicates how much damage Japan suffered from the atomic explosion in Hiroshima, separating the brutality of the invasion from the damage.
      On the other hand, Nanjing Massacre Memorial Hall proves that the massacre is an indisputable historical fact, to contradict the ‘rightwing organizations’ of Japan who denies the happening of the massacre. Also, it functions as the place to educate the Chinese nationalism.
      This study tries to extract historical consciousness embedded in the exhibition narratives. Here, four types of Jörn Rüsen’s distinct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traditional, exemplary, critical, genetic is employed.
      Neither the Hiroshima Peace Memorial Museum nor Nanjing Massacre Memorial Hall applies merely a single type of historical consciousness Rüsen suggested. The two memorial museums display various ways of historical awareness by using diverse narratives that show the four types of historical consciousness. This is because the views understanding of the past warfare and damages changed over time.
      History education is not about delivering the facts of the past but guiding the public to have the right view about the past which is based on selfunderstanding. Because of the experience of the war in the 20th century, the view of selfunderstanding of each of East Asian countries was altered. As a result, the view of each other also differed, which reflected on the exhibition of memorial museums.
      As time passes, the concern of improper history awareness is raised due to gradual loss of actual experience and memory. Especially, for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who suffered extreme conflicts, the memories of the past is still a key factor of the conflicts of today. In the current situation, the responsibility of passing down the memory of the past and raising critical historical consciousness by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Accordingly, memorial museums should be the means to understand common history and to achieve a futureoriented reconciliation between the related countries. The memorial museums carry war memories that are not restrained to history of a single country. In the light of current international conflicts regarding past memories, it is of great importance to pay attention to the memorial museums that represent the contemporary history of three East Asian countr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동아시아 역사 갈등의 대표적인 주제인 아시아태평양전쟁의 기억을 담고 있는 기념관의 전시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그 중에서 히로시마 평화기념자료관과 난징대학살기념관의 전시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그 역사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히로시마 평화기념자료관은 전쟁의 비참함, 원폭으로 인한 피해를 선택하여 전시하고 있으며, 평화에의 소중함을 강조하고 있었다. 반면, 전쟁 발발 책임에 대해서는 회피하고 있다. 피폭과 피폭 이후의 히로시마에 초점을 맞추면서 피폭 이전의 히로시마와 원폭이 투하되게 된 원인을 찾을 수 있는 큰 맥락으로서의 사건인 아시아태평양전쟁은 배제되어 있다.
      난징대학살기념관은 방대한 자료와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통해 난징대학살이 역사적 사실임을 보여주며 난징대학살을 허구라고 부정하는 일본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난징대학살기념관은 ‘애국주의 교육기지’로 지정되어 중국의 항전기억을 통한 애국주의의 함양에 이바지하고 있다.
      한편, 뤼젠이 분류한 4가지(전통적, 전형적, 비판적, 발생적) 역사의식 유형을 통해 전시를 살펴보았을 때, 히로시마 평화기념자료관과 난징대학살기념관은 여러 내러티브를 통해 다양한 역사인식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인식은 과거 전쟁과 피해에 대한 관점에 따라 현재를 이해하는 방식이 달라지면서 나타나게 된 결과이다. 특히, 두 기념관은 전통적, 전형적 유형의 역사의식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었다.
      20세기 전쟁이라는 극단적인 갈등을 겪은 동아시아 3국의 과거사는 단순히 역사적 사실에 그치지 않고 현재에까지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역사교육은 소통의 창구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쟁 기념관은 과거의 역사를 이해하고 미래지향적인 화해로 나아갈 수 있는 매개체가 되어야 한다. 전쟁 기념관과 같이 기억의 사회적 재생산 장치가 가지는 의미는 한 국가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 전쟁을 경험했던 여러 나라들과 연관된 초국가적인 문제이므로, 동아시아 3국의 기억을 재현하는 기념관에서의 역사교육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번역하기

      본고는 동아시아 역사 갈등의 대표적인 주제인 아시아태평양전쟁의 기억을 담고 있는 기념관의 전시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그 중에서 히로시마 평화기념자료관과 난징대학살기념관의 전...

      본고는 동아시아 역사 갈등의 대표적인 주제인 아시아태평양전쟁의 기억을 담고 있는 기념관의 전시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그 중에서 히로시마 평화기념자료관과 난징대학살기념관의 전시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그 역사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히로시마 평화기념자료관은 전쟁의 비참함, 원폭으로 인한 피해를 선택하여 전시하고 있으며, 평화에의 소중함을 강조하고 있었다. 반면, 전쟁 발발 책임에 대해서는 회피하고 있다. 피폭과 피폭 이후의 히로시마에 초점을 맞추면서 피폭 이전의 히로시마와 원폭이 투하되게 된 원인을 찾을 수 있는 큰 맥락으로서의 사건인 아시아태평양전쟁은 배제되어 있다.
      난징대학살기념관은 방대한 자료와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통해 난징대학살이 역사적 사실임을 보여주며 난징대학살을 허구라고 부정하는 일본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난징대학살기념관은 ‘애국주의 교육기지’로 지정되어 중국의 항전기억을 통한 애국주의의 함양에 이바지하고 있다.
      한편, 뤼젠이 분류한 4가지(전통적, 전형적, 비판적, 발생적) 역사의식 유형을 통해 전시를 살펴보았을 때, 히로시마 평화기념자료관과 난징대학살기념관은 여러 내러티브를 통해 다양한 역사인식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인식은 과거 전쟁과 피해에 대한 관점에 따라 현재를 이해하는 방식이 달라지면서 나타나게 된 결과이다. 특히, 두 기념관은 전통적, 전형적 유형의 역사의식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었다.
      20세기 전쟁이라는 극단적인 갈등을 겪은 동아시아 3국의 과거사는 단순히 역사적 사실에 그치지 않고 현재에까지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역사교육은 소통의 창구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쟁 기념관은 과거의 역사를 이해하고 미래지향적인 화해로 나아갈 수 있는 매개체가 되어야 한다. 전쟁 기념관과 같이 기억의 사회적 재생산 장치가 가지는 의미는 한 국가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 전쟁을 경험했던 여러 나라들과 연관된 초국가적인 문제이므로, 동아시아 3국의 기억을 재현하는 기념관에서의 역사교육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히로시마 평화기념자료관 홈페이지"

      2 동북아역사재단, "한・중・일의 전쟁유적과 동북아 평화" 동북아역사재단 2010

      3 정호기, "한국의 역사기념시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7

      4 안병직, "한국사회에서의 ‘기억’과 ‘역사’" 역사학회 (193) : 275-306, 2007

      5 이화준, "한국과 일본의 선택된 기억과 피해자의식 : 양국의 기념관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45 (45): 1-24, 2014

      6 양호환, "한국 역사교육의 연구동향" 책과함께 2011

      7 최호근, "집단기억과 역사" 역사교육연구회 (85) : 2003

      8 양호환, "집단기억, 역사의식, 역사교육" 역사교육연구회 (109) : 1-36, 2009

      9 김호걸, "중국의 박물관과 역사교육" (14) : 2007

      10 장시엔원, "중국 남경대학살 연구 현황과 평화운동" 4.3과 역사 2005

      1 "히로시마 평화기념자료관 홈페이지"

      2 동북아역사재단, "한・중・일의 전쟁유적과 동북아 평화" 동북아역사재단 2010

      3 정호기, "한국의 역사기념시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7

      4 안병직, "한국사회에서의 ‘기억’과 ‘역사’" 역사학회 (193) : 275-306, 2007

      5 이화준, "한국과 일본의 선택된 기억과 피해자의식 : 양국의 기념관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45 (45): 1-24, 2014

      6 양호환, "한국 역사교육의 연구동향" 책과함께 2011

      7 최호근, "집단기억과 역사" 역사교육연구회 (85) : 2003

      8 양호환, "집단기억, 역사의식, 역사교육" 역사교육연구회 (109) : 1-36, 2009

      9 김호걸, "중국의 박물관과 역사교육" (14) : 2007

      10 장시엔원, "중국 남경대학살 연구 현황과 평화운동" 4.3과 역사 2005

      11 김준섭, "전후 일본의 평화주의에 관한 고찰" 40 (40): 2000

      12 동북아역사재단, "일본의 전쟁기억과 평화기념관Ⅰ 관동・동북지역 편" 동북아역사재단 2009

      13 김상준, "일본 전쟁기억과 공동체의 상상 -기억의 사회적 재생산을 중심으로-" 현대일본학회 (30) : 31-55, 2009

      14 박성수, "일본 교과서와 한국사의 왜곡" 민지사 1982

      15 Iris Chang, "역사는 누구의 편에 서는가 : 난징대학살, 그 야만적 진실의 기록" 미다스북스 1991

      16 정선영, "역사교육의 이해" 삼지원 2001

      17 전진성,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휴머니스트 2005

      18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세계의 역사기념시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6

      19 이난영, "박물관학 입문" 삼화출판사 1993

      20 전진성, "박물관의 탄생" 살림 2004

      21 이영진, "박물관 전시의 이해" 학문사 2000

      22 이병준, "문화적 기억과 문화교육" 한국문화교육학회 3 (3): 53-68, 2008

      23 Eric J Hobsbwam, "만들어진전통" 휴머니스트 1917

      24 안병직, "동아시아의 역사 갈등과 한국사회의 집단기억" 역사학회 (197) : 197-232, 2008

      25 여문환, "동아시아 전쟁기억의 정치와 국가정체성 : 한·중·일 비교연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08

      26 김창규, "남경대학살의 상흔과 성찰적 기억" 중국근현대사학회 (57) : 181-206, 2013

      27 "난징대학살기념관 홈페이지"

      28 김형열, "난징대학살(南京大屠殺)과 기억의 정책 -학살에 대한 기억의 전승과 관리를 중심으로-" 대구사학회 106 : 57-90, 2012

      29 김상준, "기억의 정치학: 야스쿠니 vs. 히로시마" 한국정치학회 39 (39): 215-236, 2005

      30 동북아역사재단, "기억의 정치공간" 동북아역사재단 2014

      31 김미경, "기억의 전환, 저항 그리고 타협: 광주5.18민주묘역과 히로시마평화자료관을 둘러싼 기억담론의 분석" 한국시민윤리학회 21 (21): 177-201, 2008

      32 Aleida Assmann, "기억의 공간" 그린비 2011

      33 권혁태, "기억 공간의 재구축 : 히로시마 평화공원, 개발과 평화이념 사이에서" 2008

      34 최호근, "기념의 미래"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35 박희명, "기념관의 사회적 의미와 역할" 한국박물관학회 2013

      36 볜슈웨, "글로벌화와 인권・교과서" 역사비평사 2003

      37 Timothy Brook, "근대 중국의 친일합작" 한울아카데미 2005

      38 윤종필, "국외 역사교육의 ‘역사의식’ 연구동향과 그 시사점" 역사교육연구회 (123) : 1-29, 2012

      39 "국가법령정보센터"

      40 이병준, "교육적 범주로서의 <전시행위>에 관한 이론적 탐구" 한국문화교육학회 6 (6): 1-14, 2011

      41 이화준, "‘난징대학살’ 문제를 둘러싼 기억의 정치와 국제정치학적 딜레마" 글로벌일본연구원 (15) : 539-563, 2011

      42 Jörn Rüsen, "Theorizing Historical Consciousnes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4

      43 Benedict Giamo, "The Myth of the vanquished : The Hiroshima Peace Memorial Museum" American Studies Association 55 (55): 2003

      44 Tony Bennett, "The Birth of the Museum : History, Theory, Politics" Routledge 1995

      45 Halbwachs, Maurice, "On Collective Memo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46 김영훈, "Language 20 : 일본 전시공간의 20가지 표정" 세진사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1 1.91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