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쇤베르크와 전통: 음악적 아이디어와 기초 악상을 중심으로 = Arnold Schoenberg and Tradition: Based on Musical Idea and Grundgestal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961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early 20th century, Arnold Schoenberg pioneered radically new musical languages: atonality and twelve-tone music. Although he developed progressive musical language, Schoenberg believed that he was never conflicted with the German tradition but continued and extended it. The paradoxical insistence of Schoenberg is concerned with his art view. In this view, art is an expression of idea and the work of art is its realization. For Schoenberg the philosophy of the organic nature of an artwork and the conception of the Grundgestalt as concrete presentation of musical idea should not be changed in any type of music. It is the traditional paradigm that he learned from German masters. This paper will examine elements or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Grundgestalt, which function as an essence for the organic unity in a work. The idea of the wholeness produced by coherence and contrast or tension and relaxation is a very traditional view above all. In the analysis, Op. 6, No. 8 "Lockung" was chosen for the tonal music, Op. 15, No. 6 "Jedem Werke bin ich fürder tot" for the atonal music, and Op. 25 "Präludium" of the for the twelve-tone work.
      번역하기

      In the early 20th century, Arnold Schoenberg pioneered radically new musical languages: atonality and twelve-tone music. Although he developed progressive musical language, Schoenberg believed that he was never conflicted with the German tradition but...

      In the early 20th century, Arnold Schoenberg pioneered radically new musical languages: atonality and twelve-tone music. Although he developed progressive musical language, Schoenberg believed that he was never conflicted with the German tradition but continued and extended it. The paradoxical insistence of Schoenberg is concerned with his art view. In this view, art is an expression of idea and the work of art is its realization. For Schoenberg the philosophy of the organic nature of an artwork and the conception of the Grundgestalt as concrete presentation of musical idea should not be changed in any type of music. It is the traditional paradigm that he learned from German masters. This paper will examine elements or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Grundgestalt, which function as an essence for the organic unity in a work. The idea of the wholeness produced by coherence and contrast or tension and relaxation is a very traditional view above all. In the analysis, Op. 6, No. 8 "Lockung" was chosen for the tonal music, Op. 15, No. 6 "Jedem Werke bin ich fürder tot" for the atonal music, and Op. 25 "Präludium" of the for the twelve-tone wor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세기 초반 쇤베르크는 무조성과 12음 음악이라는 새로운 음악 어법을 시도하였다. 과거의 어법에서 벗어나 혁신적인 창작 기법을 발전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쇤베르크는 자신이 독일 음악 전통을 버린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확장하여 지속하고 있다고 믿었다. 쇤베르크의 이러한 역설적 주장은 그의 예술관과 깊이 관련된다. 그는 예술이 ‘아이디어’의 표현이며, 예술 작품은 그 ‘아이디어’가 구현된 유기적 통일체로 보았다. 예술 작품의 유기체적 본질에 관한 쇤베르크의 철학과 아이디어를 음악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요소인 ‘기초 악상’ 개념은 그의 창작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는 작품의 아이디어를 드러내기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기초 악상’을 제시하고, 음악적 요소들과의 다양한 관계 안에서 변화와 통일성, 긴장과 이완, 구심력과 원심력의 대비 등의 역동적 과정을 만들어내며 유기적 전체를 형성한다. 이는 쇤베르크의 음악 스타일과 어법의 변화를 초월하여 일관성 있게 존속되는 창작의 본질이며, 과거 대가들로부터 계승한 전통적 패러다임이다. 본 논문은 쇤베르크의 창작 과정에서 본질적으로 작용하는 음악적 아이디어와 기초 악상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것이 후기 조성 음악, 무조 음악, 12음 음악에서 일관성 있게 나타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번역하기

      20세기 초반 쇤베르크는 무조성과 12음 음악이라는 새로운 음악 어법을 시도하였다. 과거의 어법에서 벗어나 혁신적인 창작 기법을 발전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쇤베르크는 자신이 독일 음악 ...

      20세기 초반 쇤베르크는 무조성과 12음 음악이라는 새로운 음악 어법을 시도하였다. 과거의 어법에서 벗어나 혁신적인 창작 기법을 발전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쇤베르크는 자신이 독일 음악 전통을 버린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확장하여 지속하고 있다고 믿었다. 쇤베르크의 이러한 역설적 주장은 그의 예술관과 깊이 관련된다. 그는 예술이 ‘아이디어’의 표현이며, 예술 작품은 그 ‘아이디어’가 구현된 유기적 통일체로 보았다. 예술 작품의 유기체적 본질에 관한 쇤베르크의 철학과 아이디어를 음악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요소인 ‘기초 악상’ 개념은 그의 창작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는 작품의 아이디어를 드러내기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기초 악상’을 제시하고, 음악적 요소들과의 다양한 관계 안에서 변화와 통일성, 긴장과 이완, 구심력과 원심력의 대비 등의 역동적 과정을 만들어내며 유기적 전체를 형성한다. 이는 쇤베르크의 음악 스타일과 어법의 변화를 초월하여 일관성 있게 존속되는 창작의 본질이며, 과거 대가들로부터 계승한 전통적 패러다임이다. 본 논문은 쇤베르크의 창작 과정에서 본질적으로 작용하는 음악적 아이디어와 기초 악상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것이 후기 조성 음악, 무조 음악, 12음 음악에서 일관성 있게 나타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화, "쇤베르크의 혁신적 스타일과 전통적 패러다임: 기초 악상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11

      2 고은미, "쇤베르크의 주요 작곡개념 및 원칙에 대한 연구" 민족음악학회 30 (30): 367-391, 2005

      3 송무경, "쇤베르크의 반음계주의-가곡, “내게 그대의 황금 빗을 선물해주오” (Schenk mir deinen goldenen Kamm)를 중심으로" 한국서양음악학회 12 (12): 215-246, 2009

      4 권송택, "쇤베르크의 무조음악 분석: 「공중정원의 책」중 제6번 「Jedem Werke bin ich fürder tot」를 중심으로" 19 : 164-179, 2000

      5 Schoenberg, Arnold, "Twelve-Tone Composition (1923). In Style and Idea: Selected Writing of Arnold Schoenbe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7-208, 1984

      6 Schoenberg, Arnold, "Turn of Time.” In Style and Idea: Selected Writing of Arnold Schoenbe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9-141, 1984

      7 Cross, M. Charlotte, "Three Levels of ‘Idea’ in Schoenberg′s Thought and Writing" 30 : 24-36, 1980

      8 Schoenberg, Arnold, "Theory of Harmony(Harmonieleh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8

      9 Rufer, Josef, "The Works of Arnold Schoenberg: A Catalogue of Compositions, Writings and Paintings" Free Press of Glencoe 1963

      10 Schoenberg, Arnold, "The Musical Idea and the Logic, Technique, and art of Its Presentation(Der musikalishe Gedanke und die Logik, Technik, und Kunst seiner Darstellung)"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5

      1 김경화, "쇤베르크의 혁신적 스타일과 전통적 패러다임: 기초 악상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11

      2 고은미, "쇤베르크의 주요 작곡개념 및 원칙에 대한 연구" 민족음악학회 30 (30): 367-391, 2005

      3 송무경, "쇤베르크의 반음계주의-가곡, “내게 그대의 황금 빗을 선물해주오” (Schenk mir deinen goldenen Kamm)를 중심으로" 한국서양음악학회 12 (12): 215-246, 2009

      4 권송택, "쇤베르크의 무조음악 분석: 「공중정원의 책」중 제6번 「Jedem Werke bin ich fürder tot」를 중심으로" 19 : 164-179, 2000

      5 Schoenberg, Arnold, "Twelve-Tone Composition (1923). In Style and Idea: Selected Writing of Arnold Schoenbe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7-208, 1984

      6 Schoenberg, Arnold, "Turn of Time.” In Style and Idea: Selected Writing of Arnold Schoenbe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9-141, 1984

      7 Cross, M. Charlotte, "Three Levels of ‘Idea’ in Schoenberg′s Thought and Writing" 30 : 24-36, 1980

      8 Schoenberg, Arnold, "Theory of Harmony(Harmonieleh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8

      9 Rufer, Josef, "The Works of Arnold Schoenberg: A Catalogue of Compositions, Writings and Paintings" Free Press of Glencoe 1963

      10 Schoenberg, Arnold, "The Musical Idea and the Logic, Technique, and art of Its Presentation(Der musikalishe Gedanke und die Logik, Technik, und Kunst seiner Darstellung)"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5

      11 Schoenberg, Arnold, "Structural Function of Harmony" W. W. Norton & Company 1954

      12 Schoenberg, Arnold, "Schoenberg′s Tone-Rows (1936). In Style and Idea: Selected Writing of Arnold Schoenbe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13-214, 1984

      13 Reich, Willi, "Schoenberg: a Critical Biography. Translated by Leo Black" Praeger 1971

      14 Stuckenschmidt, Hans H., "Schoenberg: His Life, World and Work" Schirmer 1978

      15 Neighbour, Oliver, "Schoenberg, Arnold: Bibliography. In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Grove's Dictionaries Inc 577-604, 2001

      16 Haimo, Ethan, "Schoenberg's Odyssey: the Evolution of his Twelve-Tone Method"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17 Burkholder, J. Peter, "Schoenberg the Reactionary. In Schoenberg and His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162-191, 1999

      18 Schoenberg, Arnold, "Problem of Harmony. In Style and Idea: Selected Writing of Arnold Schoenbe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68-287, 1984

      19 Schoenberg, Arnold, "New Music, Outmoded Music, Style and Idea (1946). In Style and Idea: Selected Writing of Arnold Schoenbe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3-124, 1984

      20 Schoenberg, Arnold, "National Music. In Style and Idea: Selected Writing of Arnold Schoenbe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69-174, 1984

      21 Schoenberg, Arnold, "My Evolution (1949). In Style and Idea: Selected Writing of Arnold Schoenbe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9-91, 1984

      22 Hyde, Martha, "Musical Form and the Development of Schoenberg′s ‘Twelve-tone Method’" 29 (29): 85-143, 1985

      23 Schoenberg, Arnold, "Linear Counterpoint. In Style and Idea: Selected Writing of Arnold Schoenbe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89-295, 1984

      24 Schoenberg, Arnold, "Letters" Faber & Faber 1964

      25 Schoenberg, Arnold, "Composition with Twelve-Tones (2) (c. 1948). In Style and Idea: Selected Writing of Arnold Schoenbe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45-249, 1984

      26 Schoenberg, Arnold, "Composition with Twelve-Tones (1) (1941). In Style and Idea: Selected Writing of Arnold Schoenbe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14-245, 1984

      27 Rosen, Charles, "Arnold Schoenberg" Viking Press 1975

      28 차호성, "A. 쇤베르크의 현악4중주를 통해서 본 음악적 사고(Musicalische Gedanke)의 고찰:『현악4중주 제3번』의 제1악장을 중심으로" 10 : 87-112, 2003

      29 오희숙, "20세기 음악 2: 시학" 심설당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22 0.843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