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Lane Detection in Complex Environment Using Grid-Based Morphology and Directional Edge-link Pai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010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논문은 복잡한 도로 환경에서 차선을 정확하게 찾는 실시간 차선 검출법을 보인다. 기존의 많은 방법들은 대게 후처리 과정에서 차선 안쪽에 존재하는 잡음을 찾아 차선의 위치를 찾지만, 제안하는 방법은 특징 추출 단계에서 가능한 많은 잡음을 제거하므로 후처리 과정에서 검색 영역을 최소화한다. grid기반 모폴로지 연산은 우선 관심영역을 능동적으로 생성한 후, 모폴로지의 닫기 연산을 통해 에지 들을 연결한다. 그리고 방향성 에지 연결 기법을 통하여 유효한 방향에지를 찾고 사전에 구해진 영상 내 차선의 높이와 두 차선 간의 폭 관계를 이용하여 두 개의 차선을 군집화한다. 마지막으로 차선의 색상은 YUV색상 공간에서 두 개의 연결된 에지 안쪽을 검사하여 Bayesian확률 모델을 사용하여 추정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실험 결과는 다수의 불필요한 에지 군집이 존재하는 복잡한 도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도로 에지를 감별하였으며,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해상도 320×240 영상으로 10ms/frame의 속도에서 약92%의 정확도를 보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복잡한 도로 환경에서 차선을 정확하게 찾는 실시간 차선 검출법을 보인다. 기존의 많은 방법들은 대게 후처리 과정에서 차선 안쪽에 존재하는 잡음을 찾아 차선의 위치를 찾지만...

      본 논문은 복잡한 도로 환경에서 차선을 정확하게 찾는 실시간 차선 검출법을 보인다. 기존의 많은 방법들은 대게 후처리 과정에서 차선 안쪽에 존재하는 잡음을 찾아 차선의 위치를 찾지만, 제안하는 방법은 특징 추출 단계에서 가능한 많은 잡음을 제거하므로 후처리 과정에서 검색 영역을 최소화한다. grid기반 모폴로지 연산은 우선 관심영역을 능동적으로 생성한 후, 모폴로지의 닫기 연산을 통해 에지 들을 연결한다. 그리고 방향성 에지 연결 기법을 통하여 유효한 방향에지를 찾고 사전에 구해진 영상 내 차선의 높이와 두 차선 간의 폭 관계를 이용하여 두 개의 차선을 군집화한다. 마지막으로 차선의 색상은 YUV색상 공간에서 두 개의 연결된 에지 안쪽을 검사하여 Bayesian확률 모델을 사용하여 추정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실험 결과는 다수의 불필요한 에지 군집이 존재하는 복잡한 도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도로 에지를 감별하였으며,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해상도 320×240 영상으로 10ms/frame의 속도에서 약92%의 정확도를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paper presents a real-time lane detection method which can accurately find the lane-mark boundaries in complex road environment. Unlike many existing methods that pay much attention on the post-processing stage to fit lane-mark position among a great deal of outliers, the proposed method aims at removing those outliers as much as possible at feature extraction stage, so that the searching space at post-processing stage can be greatly reduced. To achieve this goal, a grid-based morphology operation is firstly used to generate the regions of interest (ROI) dynamically, in which a directional edge-linking algorithm with directional edge-gap closing is proposed to link edge-pixels into edge-links which lie in the valid directions, these directional edge-links are then grouped into pairs by checking the valid lane-mark width at certain height of the image. Finally, lane-mark colors are checked inside edge-link pairs in the YUV color space, and lane-mark types are estimated employing a Bayesian probability model.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effective in identifying lane-mark edges among heavy clutter edges in complex road environment, and the whole algorithm can achieve an accuracy rate around 92% at an average speed of 10ms/frame at the image size of 320×240.
      번역하기

      This paper presents a real-time lane detection method which can accurately find the lane-mark boundaries in complex road environment. Unlike many existing methods that pay much attention on the post-processing stage to fit lane-mark position among a g...

      This paper presents a real-time lane detection method which can accurately find the lane-mark boundaries in complex road environment. Unlike many existing methods that pay much attention on the post-processing stage to fit lane-mark position among a great deal of outliers, the proposed method aims at removing those outliers as much as possible at feature extraction stage, so that the searching space at post-processing stage can be greatly reduced. To achieve this goal, a grid-based morphology operation is firstly used to generate the regions of interest (ROI) dynamically, in which a directional edge-linking algorithm with directional edge-gap closing is proposed to link edge-pixels into edge-links which lie in the valid directions, these directional edge-links are then grouped into pairs by checking the valid lane-mark width at certain height of the image. Finally, lane-mark colors are checked inside edge-link pairs in the YUV color space, and lane-mark types are estimated employing a Bayesian probability model.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effective in identifying lane-mark edges among heavy clutter edges in complex road environment, and the whole algorithm can achieve an accuracy rate around 92% at an average speed of 10ms/frame at the image size of 320×240.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Introduction
      • 2. Grid-based ROI Generation
      • 3. Directional Edge-link Pairs
      • 요약
      • Abstract
      • 1. Introduction
      • 2. Grid-based ROI Generation
      • 3. Directional Edge-link Pairs
      • 4. Lane Fitting and Type Identification
      • 5. Experimental Results
      • 6. Conclusions
      • References
      • 저자소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재형, "차선과 도로영역 정보를 이용한 전방 차량 영역의 추출 기법" 한국지능시스템학회 18 (18): 797-807, 2008

      2 J. C. McCall, "Video-based lane estimation and tracking for driver assistance: survey, system, and evaluation" 7 (7): 20-37, 2006

      3 M. Sotelo, "VIRTUOUS : vision-based road transportation for unmanned operation on urban-like scenarios" 5 (5): 69-83, 2004

      4 Q. Li, "Springrobot: A prototype autonomous vehicle and its algorithms for lane detection" 5 (5): 300-308, 2004

      5 Z. Kim, "Robust lane detection and tracking in challenging scenarios" 8 (8): 16-26, 2008

      6 Y. Wang, "Lane detection and tracking using B-snake" 22 (22): 269-280, 2004

      7 J. W. Park, "Detection of lane curve direction by using image processing based on neural network and feature extraction" 45 (45): 69-75, 2001

      8 J. McDonald, "Detecting and tracking road markings using the hough transform" 1-9, 2001

      9 K. Kaliyaperumal, "An algorithm for detecting roads and obstacles in radar images" 50 (50): 170-182, 2001

      10 J. Park, "A lane-curve detection based on an LCF" 24 (24): 2301-2313, 2003

      1 유재형, "차선과 도로영역 정보를 이용한 전방 차량 영역의 추출 기법" 한국지능시스템학회 18 (18): 797-807, 2008

      2 J. C. McCall, "Video-based lane estimation and tracking for driver assistance: survey, system, and evaluation" 7 (7): 20-37, 2006

      3 M. Sotelo, "VIRTUOUS : vision-based road transportation for unmanned operation on urban-like scenarios" 5 (5): 69-83, 2004

      4 Q. Li, "Springrobot: A prototype autonomous vehicle and its algorithms for lane detection" 5 (5): 300-308, 2004

      5 Z. Kim, "Robust lane detection and tracking in challenging scenarios" 8 (8): 16-26, 2008

      6 Y. Wang, "Lane detection and tracking using B-snake" 22 (22): 269-280, 2004

      7 J. W. Park, "Detection of lane curve direction by using image processing based on neural network and feature extraction" 45 (45): 69-75, 2001

      8 J. McDonald, "Detecting and tracking road markings using the hough transform" 1-9, 2001

      9 K. Kaliyaperumal, "An algorithm for detecting roads and obstacles in radar images" 50 (50): 170-182, 2001

      10 J. Park, "A lane-curve detection based on an LCF" 24 (24): 2301-2313,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KCI등재
      2008-02-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 한국지능시스템학회
      영문명 : Korea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Society ->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49 0.866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