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고령 장애인의 은퇴 결정 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Retirement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94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elderly with disabilities are not prepared for their later years and only 13.3% of themare prepared with their or the public pension. Thus, households with disabled retireeswithout sources of their income after retirement have greater possibility that their economiccondition is worsening, which indicates serious poverty issue in households with disabilitiesin middle-aged and advanced-aged retire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retirement and determinants of retirement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This studyanalyzes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in 2008 and focuses on retirement ofelderly with disabilities who had entered the labor market.
      There are many determinant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o their decisions such asgender, age, matial status, health capital, Various sources of income, financial assets, theemployment status and if they are employed, some job characteristics affect elderly withdisabilities if they decide to retire or not. It is an important policy direction to overcome thechallenge of aging society to prevent such practicies going against the trend of an agingsociety and provide the older with job opportunity, social safety net to guarantee their stablelater years and to promote public pension enhancing their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번역하기

      Most elderly with disabilities are not prepared for their later years and only 13.3% of themare prepared with their or the public pension. Thus, households with disabled retireeswithout sources of their income after retirement have greater possibility...

      Most elderly with disabilities are not prepared for their later years and only 13.3% of themare prepared with their or the public pension. Thus, households with disabled retireeswithout sources of their income after retirement have greater possibility that their economiccondition is worsening, which indicates serious poverty issue in households with disabilitiesin middle-aged and advanced-aged retire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retirement and determinants of retirement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This studyanalyzes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in 2008 and focuses on retirement ofelderly with disabilities who had entered the labor market.
      There are many determinant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o their decisions such asgender, age, matial status, health capital, Various sources of income, financial assets, theemployment status and if they are employed, some job characteristics affect elderly withdisabilities if they decide to retire or not. It is an important policy direction to overcome thechallenge of aging society to prevent such practicies going against the trend of an agingsociety and provide the older with job opportunity, social safety net to guarantee their stablelater years and to promote public pension enhancing their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고령 장애인의 은퇴결정의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는 1차년도 장애인고용패널조사이며, 당시 1948년 이후의 출생자인 중고령 장애인 중 노동시장 진입 경험이 있는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연령이 낮고 남성이며 건강상태가 좋고, 가구주이며 배우자가 있는 장애인 근로자는 그렇지 않은 근로자에 비해 은퇴하지 않고 노동시장에서 계속 근로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중증장애인이 경증장애인에 비해 은퇴를 앞당겨 할 가능성이 높으며, 장애발생 연령이 늦어질수록은퇴할 확률도 높아졌다. 그리고 노동시장 지위가 불안정할수록 은퇴를 미루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상용직근로자보다는 임시일용직근로자와 비임금근로자가 은퇴확률이 낮고, 1차산업 관련 종사자도 은퇴시기를 늦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고령 장애인의 은퇴결정의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는 1차년도 장애인고용패널조사이며, 당시 1948년 이후의 출생자인 중고령 장애인 중 노동시장 진입 경험이 ...

      본 연구는 중고령 장애인의 은퇴결정의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는 1차년도 장애인고용패널조사이며, 당시 1948년 이후의 출생자인 중고령 장애인 중 노동시장 진입 경험이 있는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연령이 낮고 남성이며 건강상태가 좋고, 가구주이며 배우자가 있는 장애인 근로자는 그렇지 않은 근로자에 비해 은퇴하지 않고 노동시장에서 계속 근로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중증장애인이 경증장애인에 비해 은퇴를 앞당겨 할 가능성이 높으며, 장애발생 연령이 늦어질수록은퇴할 확률도 높아졌다. 그리고 노동시장 지위가 불안정할수록 은퇴를 미루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상용직근로자보다는 임시일용직근로자와 비임금근로자가 은퇴확률이 낮고, 1차산업 관련 종사자도 은퇴시기를 늦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동욱, "질병 또는 장애가 중고령자의 경제상태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207-235, 2010

      2 석상훈, "중고령자의 은퇴와 건강상태" 2010

      3 성지미, "중고령자의 은퇴만족도에 대한 연구" 한국경제연구학회 29 (29): 175-212, 2011

      4 성지미, "중고령자 취업 결정요인" 한국노동연구원 6 (6): 39-74, 2006

      5 손종칠, "중고령자 은퇴 및 은퇴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10 (10): 125-153, 2010

      6 이채식, "중고령 장애인의 취업자와 미취업자간의 제반 특성비교를 통한 취업 결정요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4 (24): 5-34, 2014

      7 최운정, "중고령 여성장애인의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4 (24): 123-146, 2014

      8 이철희, "중고령 노동시장 국제비교" 한국노동연구원 2008

      9 신동균, "중고령 남성 근로자들의 점진적 은퇴행위에 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9 (9): 1-41, 2009

      10 안종범, "조기은퇴의 원인으로서 연금제도 관대성과 고령화" 한국경제학회 56 (56): 249-278, 2008

      1 강동욱, "질병 또는 장애가 중고령자의 경제상태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207-235, 2010

      2 석상훈, "중고령자의 은퇴와 건강상태" 2010

      3 성지미, "중고령자의 은퇴만족도에 대한 연구" 한국경제연구학회 29 (29): 175-212, 2011

      4 성지미, "중고령자 취업 결정요인" 한국노동연구원 6 (6): 39-74, 2006

      5 손종칠, "중고령자 은퇴 및 은퇴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10 (10): 125-153, 2010

      6 이채식, "중고령 장애인의 취업자와 미취업자간의 제반 특성비교를 통한 취업 결정요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4 (24): 5-34, 2014

      7 최운정, "중고령 여성장애인의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4 (24): 123-146, 2014

      8 이철희, "중고령 노동시장 국제비교" 한국노동연구원 2008

      9 신동균, "중고령 남성 근로자들의 점진적 은퇴행위에 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9 (9): 1-41, 2009

      10 안종범, "조기은퇴의 원인으로서 연금제도 관대성과 고령화" 한국경제학회 56 (56): 249-278, 2008

      11 김호진, "제1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2008년)"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고용개발원 2009

      12 한국노동연구원, "제1차 고령화연구패널" 2006

      13 이정원, "정년은퇴 여부에 따른 경제적 격차와 정년은퇴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0 (30): 71-99, 2006

      14 이선우, "장애인의 취업 및 취업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 프로빗을 이용한 분석" 33 : 287-313, 1997

      15 이순희, "장애인의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579-586, 2014

      16 김미옥, "장애노인의 특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21 : 73-97, 2003

      17 김수봉, "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비교분석 -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6 (16): 171-186, 2011

      18 이영미, "장애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노령화된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62 (62): 35-58, 2013

      19 성영모, "은퇴에 관한 국내 연구경향분석" 3 (3): 39-56, 2013

      20 박창제, "은퇴결정 형태와 노후준비가 은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59) : 115-138, 2013

      21 박경하,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은퇴과정 유형화 연구 - 다양성과 불평등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291-327, 2011

      22 김연주, "완전은퇴와 부분은퇴 집단의 특성 비교 및 결정요인 분석"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4 (4): 59-79, 2008

      23 권재숙, "여성 고령장애인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16 (16): 1-23, 2012

      24 통계청, "생명표(전국 및 시도)"

      25 최승현, "맞벌이가구의 은퇴행태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29 (29): 129-152, 2006

      26 김성진, "농산어촌 거주 중고령 장애인의 직업활동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신대학교 2012

      27 이기주, "국민연금제도가 중고령 남성 임금근로자의 은퇴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보장학회 27 (27): 55-88, 2011

      28 장지연, "고령화시대의 노동시장과 고용정책(Ι)" 한국노동연구원 2002

      29 조동훈, "고령자 은퇴시점 결정요인 분석: 세대별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4 (24): 47-66, 2014

      30 정순둘, "고령은퇴자의 사회적 관계망과 은퇴만족도 관계 연구" 한국노년학회 30 (30): 1145-1161, 2010

      31 이성규, "고령 장애인의 취업 결정 요인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9 (19): 45-64, 2012

      32 Kim. H., "The selection of partial or full retirement by older workers" 36 (36): 371-394, 2005

      33 Boskin, M. J., "The effect of social security on early retirement" 10 (10): 361-377, 1978

      34 Mitchell, O. S., "The Effects of Pensions and Earnings on Retirements: A Review Essay" National Bureau of Economics Research 1981

      35 Burkhausser, R. V., "The Early Pension Decision and Its Effect on Exit from the Labor Market" University of Chicago 1976

      36 Kotlikoff, Laurence J., "Testing the Theory of Social Security and Life Cycle Accumulation" 69 (69): 396-410, 1979

      37 Feldstein, M., "Social Security, Included Retirement and Aggregate Capital Accumulation" 82 (82): 905-926, 1974

      38 Hauseman, A., "Pensions, labor, and Individual Choice" University if Chicago Press 159-192, 1985

      39 Fullerton, H. N., "Labor force participation: 75 years of change, 1950-58 and 1998-2025" 122 : 3-12, 1999

      40 Palme, M., "Income Security and the Decision to Retire" University of Rochester 2004

      41 Quik, H. E, "Gender, employment, and retirement quality; A life course approach to the differential experiences of men and women" 3 (3): 44-64, 1998

      42 Christopher F. S., "Effects of Age of Retirement, Reason for Retirement, and Pre-retirement Training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during Retirement" 33 (33): 119-124, 1998

      43 Elder, Harold W., "Does Retirement Planning Affect the Level of Retirement Satisfaction?" 8 : 117-127, 1999

      44 박경숙, "55세 이상 고령자의 노동시장 이동과정 : 은퇴의 유형화에 대한 함의" 3 (3): 103-110, 2003

      45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13 장애인통계" 2013

      46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1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2008)"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06 1.62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