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apanese occupants of the colonies and quasi-colonies Japan had constructed attempted to return(引き揚げ) to their homeland after Japan’s defeat in the Second World War. Many experiences which occurred in the course of this return journey ha...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046858
노상래 (영남대학교)
2015
Korean
Fujiwara Tei(ふじわら てい) ; return(引き揚げ) ; defeat ; colonial control ; conflict ; memory narrative ; 후지와라 테이 ; 인양(귀환) ; 패전 ; 식민지배 ; 균열 ; 기억 서사
KCI등재
학술저널
173-203(3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Japanese occupants of the colonies and quasi-colonies Japan had constructed attempted to return(引き揚げ) to their homeland after Japan’s defeat in the Second World War. Many experiences which occurred in the course of this return journey ha...
The Japanese occupants of the colonies and quasi-colonies Japan had constructed attempted to return(引き揚げ) to their homeland after Japan’s defeat in the Second World War. Many experiences which occurred in the course of this return journey have been documented through various writings. The returnees, who had previously been involved in various capacities in reinforcing the Japanese Empire’s colonial controls, found their positions inverted after Japan’s defeat: from positions as rulers, they were brought down to face unexpected hardships. Defeated, the feelings of desperation, anxiety, resentment and fear they experienced in the course of their return journeys, as well as the memory of the discrimination they faced from fellow countrymen on their return, are documented in various individual accounts.
One such homecoming story, found in Fujiwara Tei’s(ふじわら てい) novel “The Streaming Star is Living”, is the subject of this thesis. The novel gives a vivid description of the struggles of Fujiwara Tei, as the head of her family and without a husband, in trying to keep her family together while returning home from Manju. Particularly, this novel gives clear accounts of Japanese people and the US and Soviet armies then in control of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Korean people in the process regaining self-respect and sovereignty after years of colonial domination, that she encountered on her return journey. This thesis examines these people’s responses and the meaning of such responses which she met on her return to Japan.
국문 초록 (Abstract)
일본의 패전으로 일제가 구축한 식민지 혹은 준식민지에 살던 일본인들은 귀환, 즉 인양(引き揚げ)을 시도한다. 그 과정에서의 다기한 경험들이 귀국 후 여러 가지 형태의 글로 발표된다. 이...
일본의 패전으로 일제가 구축한 식민지 혹은 준식민지에 살던 일본인들은 귀환, 즉 인양(引き揚げ)을 시도한다. 그 과정에서의 다기한 경험들이 귀국 후 여러 가지 형태의 글로 발표된다. 이들 귀환자들은 어떤 형태로건 제국일본의 식민지 통치에 가담한 사람들이고, 개인차는 있겠지만 지배자의 지위에 있었던 사람들이다. 그랬기 때문에 패전으로 인해 졸지에 지배자의 자리를 내놓아야 했고, 자리의 역전은 그들을 예상치도 못한 새로운 경험의 장(場)으로 내몰았다. 패배자가 되어 귀환 과정에서 경험해야 했던 상실감, 불안, 두려움, 원망, 그리고 귀국 후 같은 민족인 본토인에게서 받아야 했던 차별의 기억들이 하나하나 글로 발표되었던 것이다.
이 논문은 그런 내용을 담고 있는 귀환서사 중 하나인 후지와라 테이의 소설 「흐르는 별은 살아있다」를 분석하였다. 가장인 남성이 부재한 상황에서 ‘어미로서의 책임’과 가정을 지켜내야 할 가장으로서의 책무를 다하기 위해, 만주에서 본국으로 귀환하는 과정에서 보여준 후지와라 테이의 고군분투가 이 소설에는 잘 그려져 있다. 특히 이 소설에는 귀환 과정에서 만난 일본인, 귀국을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한반도에 진주한 소련군・미군과, 정치적 예속 관계에서 벗어나 지위가 변한 조선인들에 대한 진술이 진솔하게 그려져 있다. 본 논문은 후지와라 테이가 귀환과정에서 만난 이런 ‘사람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그것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위귀정, "흐르는 별은 살아있다" 청미래 2003
2 신형기, "한일 역사인식 논쟁의 메타히스토리" 뿌리와이파리 293-, 2008
3 김예림, "종단한 자, 횡단한 텍스트 - 후지와라 데이의 인양서사, 그 생산과 수용의 정신지(精神誌)" 상허학회 34 : 173-214, 2012
4 이연식, "조선을 떠나며" 역사비평사 213-214, 2012
5 한인섭, "일상의 억압과 소수자의 인권" 도서출판 사람생각 22-, 2000
6 윤수종, "우리 시대의 소수자운동" 이학사 13-, 2005
7 박유하, "요코이야기와 우리의 무의식: 일본=가해자, 한국=피해자 등식은 항상 성립되는 것인가"
8 다카사키 소지, "식민지조선의 일본인들" 역사비평사 182-, 2006
9 강상중,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을 향하여" 뿌리와이파리 25-120, 2002
10 정광현, "내가 넘은 三八線" 수도문화사 1964
1 위귀정, "흐르는 별은 살아있다" 청미래 2003
2 신형기, "한일 역사인식 논쟁의 메타히스토리" 뿌리와이파리 293-, 2008
3 김예림, "종단한 자, 횡단한 텍스트 - 후지와라 데이의 인양서사, 그 생산과 수용의 정신지(精神誌)" 상허학회 34 : 173-214, 2012
4 이연식, "조선을 떠나며" 역사비평사 213-214, 2012
5 한인섭, "일상의 억압과 소수자의 인권" 도서출판 사람생각 22-, 2000
6 윤수종, "우리 시대의 소수자운동" 이학사 13-, 2005
7 박유하, "요코이야기와 우리의 무의식: 일본=가해자, 한국=피해자 등식은 항상 성립되는 것인가"
8 다카사키 소지, "식민지조선의 일본인들" 역사비평사 182-, 2006
9 강상중,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을 향하여" 뿌리와이파리 25-120, 2002
10 정광현, "내가 넘은 三八線" 수도문화사 1964
11 田村吉雄, "秘錄大東亞戰史朝鮮編" 富士書苑 9-10, 1953
12 藤原てい, "流れる星は生きている" 中央公論社 1976
13 이연식, "敗戰 後 韓半島에서 돌아간 日本人 女性의 歸還體驗 - 南北間의 地域差를 中心으로 -" 한일민족문제학회 (17) : 139-189, 2009
14 成田龍一, "戰爭經驗の戰後史" 岩波書店 87-, 2010
15 노영희, "『흐르는 별은 살아있다』와 여자의 전쟁체험" 한국일본학회 (72) : 2007
16 박정애, "『요코이야기』와 기억의 전쟁" 인천문화재단 4 : 40-43, 2004
17 신주백, "『요코이야기』에 관한 진실" 새얼문화재단 55 : 384-400, 2007
18 손종업, "『요코이야기』가 불편한 몇 가지 이유" 35 (35): 342-357, 2007
생활사자료의 보존과 활용: 경상북도 동해안 어촌지역을 중심으로
장소를 창조하는 생명 원리에 관한 고찰 ‘양생(養生)’ 개념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5 | 0.55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7 | 0.972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