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법학전문대학원 공법 교육과정의 개선방안 - 한국외국어대학교 로스쿨을 중심으로 - = L’Amélioration du Programme d’études de Droit public à Law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755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puis la mise en oeuvre de la Loi de 2007 appelant à une réforme dans l’éducation juridique(Act on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professional law schools), les écoles de droit en Corée sont devenus des écoles de droit professionnel.
      Même dans les méthodes d’enseignement des écoles supérieures juridique, quelques méthodes d’enseignement se presente – la cours, l’enseignement clinique centrée etc. Les professeurs enseignent le droit public en cours, c’est pareil à la cours de faculte de droit.
      L’idéologie éducative des écoles de droit professionnel est de former des professionnels du droit qui ont l’éthique professionnelle sonores basée sur l’éducation riche, une profonde compréhension des personnes et de la société, et la morale valorisant la liberté, l’égalité et la justice, et qui ont des connaissances et des capacités qui permettront professionnelle et la résolution efficace des litiges divers dans le but de fournir des services juridiques de qualité répondant aux diverses attentes et demandes du peuple. Mais on ne peut pas ignorer la prééparation de l’examen du barreau.
      Le changement constant et l’effort est nécessaire pour promouvoir l’efficacité de la demande sociale d’éducation et les connaissances juridiques des élèves et l’enseignement.
      번역하기

      Depuis la mise en oeuvre de la Loi de 2007 appelant à une réforme dans l’éducation juridique(Act on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professional law schools), les écoles de droit en Corée sont devenus des écoles de droit professionnel. M�...

      Depuis la mise en oeuvre de la Loi de 2007 appelant à une réforme dans l’éducation juridique(Act on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professional law schools), les écoles de droit en Corée sont devenus des écoles de droit professionnel.
      Même dans les méthodes d’enseignement des écoles supérieures juridique, quelques méthodes d’enseignement se presente – la cours, l’enseignement clinique centrée etc. Les professeurs enseignent le droit public en cours, c’est pareil à la cours de faculte de droit.
      L’idéologie éducative des écoles de droit professionnel est de former des professionnels du droit qui ont l’éthique professionnelle sonores basée sur l’éducation riche, une profonde compréhension des personnes et de la société, et la morale valorisant la liberté, l’égalité et la justice, et qui ont des connaissances et des capacités qui permettront professionnelle et la résolution efficace des litiges divers dans le but de fournir des services juridiques de qualité répondant aux diverses attentes et demandes du peuple. Mais on ne peut pas ignorer la prééparation de l’examen du barreau.
      Le changement constant et l’effort est nécessaire pour promouvoir l’efficacité de la demande sociale d’éducation et les connaissances juridiques des élèves et l’enseign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법학전문대학원은 많은 진통 끝에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이 2007년 7월 27 일 공포되어 2009학년도부터 신입생을 선발하여 운영되고 있다.
      각 법학전문대학원마다 특성화를 추진하여 한국외국어대학교는 국제지역전문법조인을 특성화하여 교육하고 있다. 그러나 공법의 경우 특성화와 관련없이 학생들이 법조인으로서 반드시 습득하여야 하는 기본적인 사항을 교육과정에 반영하여야 하며, 동시에 변호사시험과도 연계하여 교육을 하여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교수방법에 있어서도 사례연구 교수법, 문제해결형 교수법, 임상중심적 교수법 등 다양한 교수법 등이 제시되기도 하였으나, 연습과목이나 세미나 수업은 시험대비 답안작성 등의 과목으로 운영되고 있고, 그 이외에는 법과대학 체제에서와 마찬가지로 강의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헌법재판소가 2015. 6. 25. 변호사시험 성적을 합격자에게 공개하지 않도록 규정한 변호사시험법에 대하여 위헌결정을 하여 법학전문대학원 교육이 더 변호사시험대비로 운영될 가능성이 많다.
      법학전문대학원 교육이 ‘풍부한 교양, 인간 및 사회에 대한 깊은 이해와 자유⋅평등⋅정의를지향하는 가치관을 바탕으로 건전한 직업윤리관과 복잡다기한 법적 분쟁을 전문적⋅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지식 및 능력을 갖춘 법조인을 양성’하는 것이지만 변호사시험을 도외시하고 교육을할 수 없는 현실인 것이다. 사회적 수요와 학생들의 법률지식습득 및 교수의 교육의 효율성 증진을 위하여 꾸준한 변화와 노력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법학전문대학원은 많은 진통 끝에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이 2007년 7월 27 일 공포되어 2009학년도부터 신입생을 선발하여 운영되고 있다. 각 법학전문대학원마다 특성화...

      법학전문대학원은 많은 진통 끝에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이 2007년 7월 27 일 공포되어 2009학년도부터 신입생을 선발하여 운영되고 있다.
      각 법학전문대학원마다 특성화를 추진하여 한국외국어대학교는 국제지역전문법조인을 특성화하여 교육하고 있다. 그러나 공법의 경우 특성화와 관련없이 학생들이 법조인으로서 반드시 습득하여야 하는 기본적인 사항을 교육과정에 반영하여야 하며, 동시에 변호사시험과도 연계하여 교육을 하여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교수방법에 있어서도 사례연구 교수법, 문제해결형 교수법, 임상중심적 교수법 등 다양한 교수법 등이 제시되기도 하였으나, 연습과목이나 세미나 수업은 시험대비 답안작성 등의 과목으로 운영되고 있고, 그 이외에는 법과대학 체제에서와 마찬가지로 강의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헌법재판소가 2015. 6. 25. 변호사시험 성적을 합격자에게 공개하지 않도록 규정한 변호사시험법에 대하여 위헌결정을 하여 법학전문대학원 교육이 더 변호사시험대비로 운영될 가능성이 많다.
      법학전문대학원 교육이 ‘풍부한 교양, 인간 및 사회에 대한 깊은 이해와 자유⋅평등⋅정의를지향하는 가치관을 바탕으로 건전한 직업윤리관과 복잡다기한 법적 분쟁을 전문적⋅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지식 및 능력을 갖춘 법조인을 양성’하는 것이지만 변호사시험을 도외시하고 교육을할 수 없는 현실인 것이다. 사회적 수요와 학생들의 법률지식습득 및 교수의 교육의 효율성 증진을 위하여 꾸준한 변화와 노력이 요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종익, "헌법재판 실무교육용 모의기록 연구" 2011

      2 이종수, "변호사시험의 방법과 범위: 공법의 경우" 연세대학교 3 (3): 2012

      3 박종보, "변호사시험에서 헌법재판소 판례의 출제방안과 그 대응" 2010

      4 정재황, "변호사시험 공법형의 개선방안"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1 (21): 1-38, 2015

      5 박준,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이론교육과 실무교육" 한국법학원 151 : 301-354, 2015

      6 이경운,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공법학 교수방법 및 커리큘럼 ― 행정법을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36 (36): 273-290, 2007

      7 김현철, "법학전문대학원 헌법재판 실무교육 현황및 개선방안" 2011

      8 김용섭, "법조직역 진출의 관점에서 본 법실무교육의 내실화와 지향점" 대한변호사협회 (428) : 108-127, 2012

      9 김용섭, "로스쿨에서의 실무역량강화를 위한 커리큘럼(교육과정)의 개선과제" 법학연구소 18 (18): 337-361, 2013

      10 김동훈, "로스쿨 도입과 법학 생태계의 혼란" 2008

      1 전종익, "헌법재판 실무교육용 모의기록 연구" 2011

      2 이종수, "변호사시험의 방법과 범위: 공법의 경우" 연세대학교 3 (3): 2012

      3 박종보, "변호사시험에서 헌법재판소 판례의 출제방안과 그 대응" 2010

      4 정재황, "변호사시험 공법형의 개선방안"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1 (21): 1-38, 2015

      5 박준,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이론교육과 실무교육" 한국법학원 151 : 301-354, 2015

      6 이경운,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공법학 교수방법 및 커리큘럼 ― 행정법을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36 (36): 273-290, 2007

      7 김현철, "법학전문대학원 헌법재판 실무교육 현황및 개선방안" 2011

      8 김용섭, "법조직역 진출의 관점에서 본 법실무교육의 내실화와 지향점" 대한변호사협회 (428) : 108-127, 2012

      9 김용섭, "로스쿨에서의 실무역량강화를 위한 커리큘럼(교육과정)의 개선과제" 법학연구소 18 (18): 337-361, 2013

      10 김동훈, "로스쿨 도입과 법학 생태계의 혼란" 2008

      11 조소영, "공법학의 연구 및 교육방법" 한국공법학회 37 (37): 121-137, 2008

      12 문재완, "공법학연구교수방법 및 공법학 커리큘럼 ― 법학전문대학원의 도입과 공법교육의 위기, 그리고 그 해결방안의 모색 ―" 한국공법학회 36 (36): 291-323, 2007

      13 이은기, "공법교육에서의 이론교육과 실무교육의 조화" 법학연구소 10 (10): 27-63,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Law Research Institute, Center for International Area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The HUFS Law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4-12-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HUFS Law Review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9 0.856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