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 = Music Teachers' Cogni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698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음악교사의 수업지식에 대한 차이를 교수내용지식(PCK)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중등 음악교사의 PCK에 대한 자성적 인식을 진단함으로써, 오늘 날 음악교사에게 요구되는 자질과 역할을 규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PCK에 대한 인식조사는 다음과 같이 크게 네 가지 관점에서 진행된다. 첫째는 수업교과에 대한 전문지식을 의미하는 교과내용지식이고, 둘째는 교육의 대상인 학생 개개인에 대한 이해의 정도를 뜻하는 학생이해지식, 세 번째 관점은 음악적 지식을 교육대상에게 전달하는데 있어 요구되는 교육학지식, 넷째는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학교, 사회 등)들에 대한 상황지식이 그것이다. PCK에 대한 인식조사는 초․중등 음악교사 156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전반적인 음악교사들의 자성적 인식의 정도 즉 교과내용지식(M=4.16)과 상황이해지식(M=4.24)은 비교적 높게 나타난 반면, 교육학지식(M=3.62)과 학생이해지식(M=3.53)는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었다. 이는 아직도 교사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오늘 날의 음악교육상황과 더불어 음악교육은 실기교육이라는 사회적 인식이 엿보이는 결과이다. 또한 교사 경력에 따른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결론적으로 음악교사는 학습자가 능동적인 주체로 수업에 참여하도록 격려하는 안내자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적 사고 형성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음악교사의 수업지식에 대한 차이를 교수내용지식(PCK)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중등 음악교사의 PCK에 대한 자성적 인식을 진단함으로써, 오늘 날 음악교사에게 요구되는 자질과 역...

      본 연구는 음악교사의 수업지식에 대한 차이를 교수내용지식(PCK)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중등 음악교사의 PCK에 대한 자성적 인식을 진단함으로써, 오늘 날 음악교사에게 요구되는 자질과 역할을 규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PCK에 대한 인식조사는 다음과 같이 크게 네 가지 관점에서 진행된다. 첫째는 수업교과에 대한 전문지식을 의미하는 교과내용지식이고, 둘째는 교육의 대상인 학생 개개인에 대한 이해의 정도를 뜻하는 학생이해지식, 세 번째 관점은 음악적 지식을 교육대상에게 전달하는데 있어 요구되는 교육학지식, 넷째는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학교, 사회 등)들에 대한 상황지식이 그것이다. PCK에 대한 인식조사는 초․중등 음악교사 156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전반적인 음악교사들의 자성적 인식의 정도 즉 교과내용지식(M=4.16)과 상황이해지식(M=4.24)은 비교적 높게 나타난 반면, 교육학지식(M=3.62)과 학생이해지식(M=3.53)는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었다. 이는 아직도 교사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오늘 날의 음악교육상황과 더불어 음악교육은 실기교육이라는 사회적 인식이 엿보이는 결과이다. 또한 교사 경력에 따른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결론적으로 음악교사는 학습자가 능동적인 주체로 수업에 참여하도록 격려하는 안내자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적 사고 형성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usic teachers‘ cogni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in music education. To fulfill this goal, the research defines the qualifications and roles of music teachers under the perspective of PCK. The investigation of teachers' PCK consists of four aspects; content knowledge, student-understanding knowledge, pedagogical knowledge, and context knowledge. Subject of this study was composed of 64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Data were analyzed by SPSS using the Base version 12.0 software.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While teachers' content knowledge and pedagogical knowledge was relatively high(M=3.84), teachers' student knowledge and context knowledge was low(M=3.32). Music teachers still considered music education merely as performance-based education.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ginn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about student-understanding knowledge, and pedagogical knowledge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ent knowledge and context knowledge. As a result, this study calls for an educational policy which focuses on students-oriented teaching - where the teacher functions as a facilitator that encourages active student particip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usic teachers‘ cogni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in music education. To fulfill this goal, the research defines the qualifications and roles of music teachers under the perspective of PCK. The 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usic teachers‘ cogni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in music education. To fulfill this goal, the research defines the qualifications and roles of music teachers under the perspective of PCK. The investigation of teachers' PCK consists of four aspects; content knowledge, student-understanding knowledge, pedagogical knowledge, and context knowledge. Subject of this study was composed of 64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Data were analyzed by SPSS using the Base version 12.0 software.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While teachers' content knowledge and pedagogical knowledge was relatively high(M=3.84), teachers' student knowledge and context knowledge was low(M=3.32). Music teachers still considered music education merely as performance-based education.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ginn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about student-understanding knowledge, and pedagogical knowledge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ent knowledge and context knowledge. As a result, this study calls for an educational policy which focuses on students-oriented teaching - where the teacher functions as a facilitator that encourages active student particip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연, "체육교사의 교과에 대한 배경정보와 수업지식 분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4

      2 김희숙, "자진모리장단에 대한 초등교사의 PCK 연구" 한국음악교육학회 39 : 77-100, 2010

      3 이민정,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9 (9): 159-187, 2002

      4 임미경, "음악교육학 총론" 학지사 2010

      5 한국음악교육학회, "음악교사의 자질과 역할" 2010

      6 김향정, "음악과 교수-학습지도를 위한 교사능력 요건들의 인식조사연구" 민족음악학회 (33) : 373-402, 2007

      7 이화진, "수업컨설팅 지원 프로그램 및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8 강대현, "사회과 지식교수 PCK 분석 연구- 개념과 일반화 교수 PCK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0 (40): 1-30, 2008

      9 최승현, "내용교수지식(PCK)에 기초한 수업컨설팅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 12 (12): 27-45, 2009

      10 최승현, "교육과정개정에 따른 수학과 내용교수지식(PCK)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1 김수연, "체육교사의 교과에 대한 배경정보와 수업지식 분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4

      2 김희숙, "자진모리장단에 대한 초등교사의 PCK 연구" 한국음악교육학회 39 : 77-100, 2010

      3 이민정,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9 (9): 159-187, 2002

      4 임미경, "음악교육학 총론" 학지사 2010

      5 한국음악교육학회, "음악교사의 자질과 역할" 2010

      6 김향정, "음악과 교수-학습지도를 위한 교사능력 요건들의 인식조사연구" 민족음악학회 (33) : 373-402, 2007

      7 이화진, "수업컨설팅 지원 프로그램 및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8 강대현, "사회과 지식교수 PCK 분석 연구- 개념과 일반화 교수 PCK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0 (40): 1-30, 2008

      9 최승현, "내용교수지식(PCK)에 기초한 수업컨설팅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 12 (12): 27-45, 2009

      10 최승현, "교육과정개정에 따른 수학과 내용교수지식(PCK)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11 이경언,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음악과 내용 교수 지식(PCK)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12 최승현, "교과별 내용교수지식(PCK) 연구(II): 중등 초임교사 수업컨설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13 조희형, "과학교사 교수내용지식(PCK)의 재구성과 적용 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618-632, 2008

      14 Geddis, A. N, "Transforming Content Knowledge: Learning to Teacher about Isotopoes" 77 : 1993

      15 Schulman,L,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15 : 1986

      16 Grossman, P,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Content for Secondary English: Source for Teachers' Knowledge" 1991

      17 Magnusson, 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ntent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Student Content Knowledge of Heat Energy and Temperature"

      18 Grossman, P, "The Making of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1990

      19 Van Driel,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86 : 2002

      20 Clark C. M, "Teacher's Thought Processes Handbook Research on Teaching" 1986

      21 Park, S, "Revisiting the Conceptualiz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38 : 2008

      22 Tobin, K. T, "Research on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Science"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4

      23 Teachout, D, "Preservice and Experienced Teacher's Opinions of Skill's and Behavior's Important to Successful Music Teaching" 45 : 1997

      24 Veal, W. 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axonomies" 3 : 1999

      25 Cochran, K. F, "Pedagogical Content Knowing: An Intergrative Model for Teacher Preparation" 44 : 1993

      26 Schulman, L,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 of the New Reform" 57 : 1987

      27 이화진, "KIC교수학습개발센터 콘텐츠 개발 운영: 내용 교수법(PCK) 및 온라인 수업장학지원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28 Carlsen, W, "Domain of Teacher Knowledge, In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Kluwer Academic Publisher 133-144, 1999

      29 Van Driel, "Develop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35 : 1998

      30 Baxter, J. A, "Assessment and Measure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Kluwer Academic Publisher 147-161,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10-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Music Educational Technology ->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KCI등재후보
      2008-10-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컴퓨터음악교육학회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영문명 : The Korean Computer Music Education Society -> The Korean Society of Music Education Technolog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0.785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