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비단백질성 항균물질을 생산하는 김치발효용 내산성 Hetero 발효형 유산균주 선발 = Selection of Acid-tolerant and Heter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a Producing Non-proteinaceous Anti-bacterial Substances for Kimchi Fermen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560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선행연구에서 김치발효 후기의 우점종으로 알려진 Lactobacillus sakei의 생육을 저해하는 Leuconostoc 속 23균주와 Weissella 속 45 균주를 김치로부터 분리, 동정하였다. 발효후기까지 생존할 수 있는 ...

      선행연구에서 김치발효 후기의 우점종으로 알려진 Lactobacillus sakei의 생육을 저해하는 Leuconostoc 속 23균주와 Weissella 속 45 균주를 김치로부터 분리, 동정하였다. 발효후기까지 생존할 수 있는 김치발효용 hetero 발효형 종균 선발을 위하여 이들 균주에 대한 내산성을 평가한 결과, Lc. mesenteroides CK0128, W. cibaria CK0633, W. cibaria KK0797 균주가 acetic acid와 lactic acid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pH를 4.3으로 조정한 MRS broth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생존율을 보였고, 다량의 세포 외 다당류를 생산하였다. 세균주가 생산하는 항균물질의 분자량은 3,000 Da 이하로 추정되며 Staphylococcus aureus와 Lb. sakei에 대한 생육저해를 나타내었다. 분획한 3,000 Da 이하의 조항균물질 모두가 121oC, 15분의 열처리에도 항균활성을 유지함으로써 항균물질의 열에 대한 높은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pH의 감소에 따른 항균활성의 증가가 pH 5 이하의 산성조건에서 확인되어, 이들 항균물질은 pH 5 이하의 산성조건에서 활성을 갖는 것으로 추정된다. α-amylase, lipase, pepsin, proteinase K 처리가 항균활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이들 균주가 생산하는 항균물질은 탄수화물, 지질을 포함하지 않으며, 비단백질성 물질로 추정된다. 또한, 선발균주가 생산하는 비단백질성 항균물질은 식중독균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wenty-three strains of Leuconostoc species and 45 strains of Weissella species inhibiting the growth of Lactobacillus sakei, one of the most populous lactic acid bacteria in over-ripened kimchi, were isolated from kimchi in our previous study. Among ...

      Twenty-three strains of Leuconostoc species and 45 strains of Weissella species inhibiting the growth of Lactobacillus sakei, one of the most populous lactic acid bacteria in over-ripened kimchi, were isolated from kimchi in our previous study. Among these hetero-fermentative 68 strains, Leuconostoc mesenteroides CK0128, Weissella cibaria CK0633, and W. cibaria KK0797 exhibited a relatively high survival rate in MRS medium, which was adjusted to pH 4.3 using an acid mixture consisting of acetic and lactic acids, and produced a large amount of exopolysaccharides. The culture supernatants of 3 strains were fractionated by a molecular weight cutter and lyophilized. The fractions with a molecular weight smaller than 3,000 Da showed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Lb. sakei. The anti-bacterial substances were very stable to heat treatments (121oC, 15 min) and active at acidic conditions below pH 5. α-Amylase, lipase, and proteolytic enzymes (proteinase K and pepsin) did not affect their activities. These non-proteinaceous anti-bacterial substances inhibited the growth of several food pathoge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지윤, "천일염이 김치발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256-265, 2011

      2 윤한대, "식물 내생균 Bacillus sp. CY22가 생성하는 iturin isoform의 분리 및 특성" 한국생명과학회 15 (15): 1005-1012, 2005

      3 양은주, "김치로부터 항진균 활성 Lactobacillus plantarum의 분리 및 특성 규명"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6 (36): 276-284, 2008

      4 이광희, "김치로부터 Lactobacillus sakei 생육저해 Leuconostoc 및 Weissella 속 균주의 분리"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9 (39): 175-181, 2011

      5 김효주, "김치로부터 Exopolysaccharide 생성 유산균의 분리 및 특성 규명"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4 (34): 196-203, 2006

      6 진효상, "김치 미생물 조성을 바탕으로 한 김치 스타터의 선정 및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671-675, 2008

      7 이명재, "Weissella 속 유산균의 빠른 동정을 위한 16S rDNA PCR-RFLP 분석법의 적용"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8 (38): 455-460, 2010

      8 Boke, H., "The role of resistance to bile salts and acid tolerance of exopolysaccharides (EPSS) produced by yogurt starter bacteria" 62 : 323-328, 2010

      9 Park, H., "The effect of blanching and lactic acid bacterial inocula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9 : 61-66, 1994

      10 Byun, M. W., "The combined effect of heat treatment and irradiation on the inactivation of major lactic aicd bacteria associated with Kimchi fermentation" 21 : 109-119, 1989

      1 장지윤, "천일염이 김치발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256-265, 2011

      2 윤한대, "식물 내생균 Bacillus sp. CY22가 생성하는 iturin isoform의 분리 및 특성" 한국생명과학회 15 (15): 1005-1012, 2005

      3 양은주, "김치로부터 항진균 활성 Lactobacillus plantarum의 분리 및 특성 규명"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6 (36): 276-284, 2008

      4 이광희, "김치로부터 Lactobacillus sakei 생육저해 Leuconostoc 및 Weissella 속 균주의 분리"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9 (39): 175-181, 2011

      5 김효주, "김치로부터 Exopolysaccharide 생성 유산균의 분리 및 특성 규명"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4 (34): 196-203, 2006

      6 진효상, "김치 미생물 조성을 바탕으로 한 김치 스타터의 선정 및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671-675, 2008

      7 이명재, "Weissella 속 유산균의 빠른 동정을 위한 16S rDNA PCR-RFLP 분석법의 적용"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8 (38): 455-460, 2010

      8 Boke, H., "The role of resistance to bile salts and acid tolerance of exopolysaccharides (EPSS) produced by yogurt starter bacteria" 62 : 323-328, 2010

      9 Park, H., "The effect of blanching and lactic acid bacterial inocula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9 : 61-66, 1994

      10 Byun, M. W., "The combined effect of heat treatment and irradiation on the inactivation of major lactic aicd bacteria associated with Kimchi fermentation" 21 : 109-119, 1989

      11 심상민, "Terminal-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분석을 이용한 김치발효 관련 유산균 군집의 평가"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6 (36): 247-259, 2008

      12 김동희, "Structure Determination of Macrolactin Compounds with Antibacterial Activities Isolated from Bacillus polyfermenticus KJS-2" 한국생명과학회 20 (20): 1792-1800, 2010

      13 Kang, S., "Strain improvement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for Kimchi fermentation and effect of starter" 23 : 461-471, 1995

      14 Kumar, C. G., "Significance of microbial biofilms in food industry: a review" 42 : 9-27, 1998

      15 Eom, H. J., "Selection of psychrotrophic Leuconostoc spp. producing highly active dextransucrase from lactate fermented vegetables" 117 : 61-67, 2007

      16 Alp, G.,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stance to bile salts and low pH with exopolysaccharide (EPS) production of Bifidobacterium spp. isolated from infants feces and breast milk" 16 : 101-105, 2010

      17 Yang, E. J., "Purification of a new antifungal compound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AF1 isolated from kimchi" 139 : 56-63, 2010

      18 Talarico, T., "Production and isolation of reuterin, a growth inhibitor produced by Lactobacillus reuteri" 32 : 1854-1858, 1988

      19 Looijesteijn, P. J., "Physiological function of exopolysaccharides produced by Lactococcus lactis" 64 : 71-80, 2001

      20 이명재, "Pediococci 선택배지를 이용한 김치 유래 Pediococci 검출"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7 (37): 238-242, 2009

      21 Ha, D., "Novel starter culture for kimchi, using bacteriocin-producing Enterococcus faecium strain" 22 : 550-556, 1994

      22 Niku-Paavola, M. L., "New types of antimicrobial compounds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86 : 29-35, 1999

      23 Lee, C., "Microfloral changes of the lactic acid bacteria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isolates" 20 : 102-109, 1992

      24 Cho, J., "Microbial population dynamics of kimchi, a fermented cabbage product" 257 : 262-267, 2006

      25 Jung, J. Y., "Metagenomic analysis of kimchi,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 77 : 2264-2274, 2011

      26 김영환, "Leuconostoc mesenteroides의 내산성 변이주의 김치발효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3 (33): 41-50, 2005

      27 MOON, GI-SEONG,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of a Bacteriocin-Producing Enterococcus sp. FromKimchi and Its Application to Kimchi Fermentation"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4 (14): 924-931, 2004

      28 Kim, D. J., "Isolation of the exopolysaccharide producing Enterobacter sp.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polysaccharide produced by this strain" 16 : 370-375, 2001

      29 Kim, Y. C., "Improvement of kimchi fermentation by using acid-tolerant mutant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aromatic yeast Saccharomyces fermentati as starters" 9 : 22-31, 1999

      30 Chang, J. Y., "Identification of the agent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KFRI464 that enhances bacteriocin production by Leuconostoc citreum GJ7" 103 : 2504-2515, 2007

      31 김도희, "Ethanol과 유기산의 첨가가 물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3 (13): 305-312, 2003

      32 So, M., "Effects of psychrotrophic lactic acid bacterial starter on kimchi fermentation" 28 : 806-813, 1996

      33 Mheen, T. I.,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16 : 443-450, 1984

      34 Park, I. K., "Effect of organic acids addition during salting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6 : 195-204, 1996

      35 Cho, Y.,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emperature on kimchi fermentation (II)" 7 : 89-95, 1991

      36 Park, K. J., "Effect of Na-acetate, Namalate and K-sorbate on the pH, acidity and sourness during Kimchi fermentation" 20 : 40-44, 1988

      37 Kieun Lee,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as a Starter on the Food Quality and Microbiota of Kimchi" 한국식품과학회 19 (19): 641-646, 2010

      38 Kim, S., "Difficulty in Korean kimchi industry for modernization" 6 : 34-37, 2001

      39 Lee, J. H., "Current studies on the community of lactic acid bacteria in kimchi,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 58 : 153-159, 2009

      40 Gänzle, M. G., "Characterization of reutericyclin produced by Lactobacillus reuteri LTH2584" 66 : 4325-4333, 2000

      41 Kandler, O., "Carbohydrate metabolism in lactic acid bacteria" 49 : 209-224, 1983

      42 Grill, J. P., "Bifidobacteria and probiotic effects: action of Bifidobacterium species on conjugated bile salts" 31 : 23-27, 1995

      43 Cleveland, J., "Bacteriocins: safe, natural antimicrobials for food preservation" 71 : 1-20, 2001

      44 Ruas-Madiedo, P., "An overview of the functionality of exopolysaccharides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12 : 163-171, 2002

      45 Kim, Y. C., "Acid tolerance of the acid resistant mutant of 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improved for kimchi starter" 26 : 275-282,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5-09-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5 0.97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