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된 심박조율기의 부분적 제거 후에 발생되는 재감염율은 51%에서 77%에 이르기 때문에 심박조율기의 어느 부위라도 감염이 된다면 모든 심박조율기의 하드웨어는 제거되어야 한다. 심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650383
2002
-
KCI등재후보,SCOPUS
학술저널
831-834(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감염된 심박조율기의 부분적 제거 후에 발생되는 재감염율은 51%에서 77%에 이르기 때문에 심박조율기의 어느 부위라도 감염이 된다면 모든 심박조율기의 하드웨어는 제거되어야 한다. 심폐...
감염된 심박조율기의 부분적 제거 후에 발생되는 재감염율은 51%에서 77%에 이르기 때문에 심박조율기의 어느 부위라도 감염이 된다면 모든 심박조율기의 하드웨어는 제거되어야 한다. 심폐기 가동하에서 감염된 심박조율기를 제거하는 것은 감염과 증식물의 확산 뿐만 아니라 기계적 손상을 방지 할 수 있다. 저자 등은 좌쇄골하 정맥에서 심장내로 이동된, 감염된 경정맥 심박조율기 도관에 의해 발생한 심내막염의 1예를 보고한다. 심장내로 이동된 심박조율기 도관과 증식물이 부착된 전극은 심폐우회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영구적 심내 심박조율기 설치에 따른 합병증이 다양하고 발생 빈도가 높기 때문에 이식한 심박조율기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심박조율기 기능이상을 사전에 알아내기 위한 환자의 추적 관리가 필수적이다. 근자에 와서 심박조율기의 이식이 증가함에 따라 심박조율기 clinic이 설치되어 정기적 심전도 모니터, X-선 검사, 전해질의 측정 등을 하고 있으며, 또한 transtelephone을 이용하여 환자와 의사간의 편리를 도모하고 있는 추세이다7).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ndocarditis with Intracardiac Migration of TransvenousPermanent Pacing Lead- 1 Case Report -
Endocarditis with Intracardiac Migration of TransvenousPermanent Pacing Lead- 1 Case Report -
판막주위 누출에 대한 다크론 확장 인공판막을 이용한 판막치환술 치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