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종의 불교관과유교정치 = “King Sejong’s Buddhist View and Confucian Statecraf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세종(1418-50) 의 불교관과 유교사회에서 그의 치국과의 관계를 검토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세종과 관련된 불전 및 『세종실록』을 분석하고, 이 자료들에 나타난 세종의 불교관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세종의 불교 이해에 대한 평가를 시도하고, 그의 불교관이 유교 사회에서 그의 정치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불교에 대한 세종의 일차적 관심은 교학보다는 인과설에 바탕을 둔 공덕 짓기에 있었으며, 그는 이를 통해 유교사회의 백성들에게 효를 비롯한 당시의 사회적 가치를 강조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그의 인과설에 대한 이해는 초기불교의 인생관에 바탕을 둔 것은 아니었다. 세종은 많은 유신들의 완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불사 행위를 추진하였으며, 그는 자신의 불교관 관철을 위해 선위 시도등의 정치적 조치까지 취하였다. 세종의 불사는 그 자신의 견해, 참가자들, 참가자들의 직급및소속부서,재정원등을고려할때,공적인 행사로 나타났다. 세종의 불교관은 유교 사회에서 그의 정치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으며, 적어도 세종은 그의 치세 마지막까지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자신의 이러한 종교적 선념을 실천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의 목적은 세종(1418-50) 의 불교관과 유교사회에서 그의 치국과의 관계를 검토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세종과 관련된 불전 및 『세종실록』을 분석하고, 이 자료들에 나타난 세종의 ...

      이 논문의 목적은 세종(1418-50) 의 불교관과 유교사회에서 그의 치국과의 관계를 검토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세종과 관련된 불전 및 『세종실록』을 분석하고, 이 자료들에 나타난 세종의 불교관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세종의 불교 이해에 대한 평가를 시도하고, 그의 불교관이 유교 사회에서 그의 정치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불교에 대한 세종의 일차적 관심은 교학보다는 인과설에 바탕을 둔 공덕 짓기에 있었으며, 그는 이를 통해 유교사회의 백성들에게 효를 비롯한 당시의 사회적 가치를 강조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그의 인과설에 대한 이해는 초기불교의 인생관에 바탕을 둔 것은 아니었다. 세종은 많은 유신들의 완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불사 행위를 추진하였으며, 그는 자신의 불교관 관철을 위해 선위 시도등의 정치적 조치까지 취하였다. 세종의 불사는 그 자신의 견해, 참가자들, 참가자들의 직급및소속부서,재정원등을고려할때,공적인 행사로 나타났다. 세종의 불교관은 유교 사회에서 그의 정치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으며, 적어도 세종은 그의 치세 마지막까지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자신의 이러한 종교적 선념을 실천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 Sejong’s (1418-50) Buddhist view and his
      statecraft in Confucian Korea. To this end, the issues of King Sejong and Buddhist texts, the king's view of Buddhism based on these works, an evaluation of the king’s Buddhist view, and the king’s Buddhist view and his statecraft were analyzed. This research led me to conclude that King Sejong’s Buddhist view, which focused more on creating merit than on Buddhist doctrine, had close relation with his politics in Confucian society;
      and the king supported by his strong kingship promoted his Buddhist activities , which were official in character, in opposition to anti - Buddhist Confucian subjects. This research hopes contribute to clarifying the nature of Korean Buddhism in particular, and by extension, East Asian Buddhism in genera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 Sejong’s (1418-50) Buddhist view and his statecraft in Confucian Korea. To this end, the issues of King Sejong and Buddhist texts, the king's view of Buddhism based on these work...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 Sejong’s (1418-50) Buddhist view and his
      statecraft in Confucian Korea. To this end, the issues of King Sejong and Buddhist texts, the king's view of Buddhism based on these works, an evaluation of the king’s Buddhist view, and the king’s Buddhist view and his statecraft were analyzed. This research led me to conclude that King Sejong’s Buddhist view, which focused more on creating merit than on Buddhist doctrine, had close relation with his politics in Confucian society;
      and the king supported by his strong kingship promoted his Buddhist activities , which were official in character, in opposition to anti - Buddhist Confucian subjects. This research hopes contribute to clarifying the nature of Korean Buddhism in particular, and by extension, East Asian Buddhism in gener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머리말
      • II. 세종과불전
      • III. 세종의불교관
      • IV. 세종의 불교관과 치국
      • I. 머리말
      • II. 세종과불전
      • III. 세종의불교관
      • IV. 세종의 불교관과 치국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3

      2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3

      3 姜信沆,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 출판부 1987

      4 길희성, "현대 윤리학의 위기와 상호의존의 윤리" 西江大學校 人文科學硏究院 11 : 51-72, 2000

      5 姜信沆, "한글 創制의 背景과 佛敎와의 關係" 영축불교문화연구원 3 : 1-21, 1992

      6 김종명, "한국중세의 불교의례: 사상적 배경과 역사적 의미" 문학과지성사 2001

      7 진휴, "한국불교의 기복적 성격에 대한 고찰"

      8 김종명, "한국불교사 연구의 일 방법론 모색" 숭실대학교 1-15, 2009

      9 김종명, "팔공산의 약사신앙 -현대적 의의를 중심으로" 대구경북연구원 1 : 267-299, 2006

      10 김종명, "퇴계의 불교관: 평가와 의의" 한국종교학회 (41집) : 121-146, 2005

      1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3

      2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3

      3 姜信沆,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 출판부 1987

      4 길희성, "현대 윤리학의 위기와 상호의존의 윤리" 西江大學校 人文科學硏究院 11 : 51-72, 2000

      5 姜信沆, "한글 創制의 背景과 佛敎와의 關係" 영축불교문화연구원 3 : 1-21, 1992

      6 김종명, "한국중세의 불교의례: 사상적 배경과 역사적 의미" 문학과지성사 2001

      7 진휴, "한국불교의 기복적 성격에 대한 고찰"

      8 김종명, "한국불교사 연구의 일 방법론 모색" 숭실대학교 1-15, 2009

      9 김종명, "팔공산의 약사신앙 -현대적 의의를 중심으로" 대구경북연구원 1 : 267-299, 2006

      10 김종명, "퇴계의 불교관: 평가와 의의" 한국종교학회 (41집) : 121-146, 2005

      11 박현모, "태종 이방원의 국가경영: 왕위승계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97-115, 2007

      12 호진, "초기불교의 선사상과 실천. in: 참선수행 어떻게 할 것인가" 동화사 17-33, 2004

      13 권오영, "조선조 왕실 양로연의 추이와 그 의미" 한국학중앙연구원 56-79, 2007

      14 김주원, "조선왕조실록의 여진족: 족명과 인명"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15 김자현, "조선시대 문화사를 어떻게 쓸 것인가? -자료와 접근 방 법 에 대하여-" 서울교육문화회관 119-134, 2002

      16 이성무, "제1장 세종대의 역사와 문화. in: 세종시대의 문화" 태학사 15-79, 2001

      17 김기종, "월인천강지곡의 배경과 구송 방식" 동국대학교 1998

      18 허웅, "역주 월인석보 서. in: 역주월인석보 1·2"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9-41, 1992

      19 김혜순, "어머니의 불교이해도와 집착이 자녀의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종교학회 (57) : 253-274, 2009

      20 한우근, "세종조에 있어서의 대 불교 시책" 震檀學會 25 : 67-154, 1964

      21 琴章泰, "세종조 종교문화와 세종의 종교의식. in: 세종문화사대계 4 윤리" 세종대왕기념사업회 499-632, 1999

      22 박병련, "세종조 정치 엘리트 양성과 인사운용의 특성. in: 세종리더쉽의 형성과 전개" 지식산업사 49-94, 2009

      23 배병삼, "세종의 시인발정(施仁發政)의 국가경영: 守領久任策의 도입과실행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41-75, 2005

      24 김종명, "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 in: 세종 리더쉽의 형성과 전개" 지식산업사 189-224, 2009

      25 김종명, "세종의 불교신앙과 훈민정음 창제"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6 (6): 51-68, 2007

      26 김종명, "세종의 불교관과 유교 정치" 한국학중앙연구원 59-96, 2007

      27 부남철, "세종의 국가경영에 있어서 불교와 유교: 신앙과 정치사이의 긴장과 통합" 한국학중앙연구원 175-198, 2005

      28 정윤재, "세종의 국가경영 연구: 리더십 接近에 의한 世宗時代 新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16-22, 2005

      29 박현모, "세종의 공론형성과 국가경영. in: 세종의 국가경영" 지식산업사 2006

      30 정윤재, "세종의 “보살핌”의 정치리더십: 훈민정음 창제와 보급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7-20, 2007

      31 전성호, "세종시대 내부통제 시스템. in: 세종 리더십의 형성과전개" 지식산업사 95-144, 2009

      32 이성무, "세종과 유교적 국가경영" 한국학중앙연구원 16-22, 2005

      33 정윤재, "세종 리더십의 형성과 전개" 지식산업사 2009

      34 권연웅, "세조대의 불교 정책" 震檀學會 75 : 197-218, 1993

      35 이부키 아츠시, "새롭게 다시 쓰는 중국 禪의 역사" 대숲바람 2005

      36 方立天, "불교철학개론" 민족사 1989

      37 고익진, "불교의 체계적 이해" 도서출판 새터 1994

      38 金惠順, "불교사상이해도와 양육신념 및 부모역할만족도간의 관계" 한국불교학회 (46) : 387-420, 2006

      39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 불교교재편찬위원회, "불교사상의 이해" 불교시대사 1999

      40 "불교관계논저데이타베이스 2006"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06

      41 고익진, "법화경계환해의 성행 내력" 동국대학교불교문화연구원 12 : 171-198, 1975

      42 대한불교조계종 불학연구소, "개정판 간화선: 조계종 수행의 길" 조계종 출판사 2008

      43 정두희, "개인으로서의 ‘나’의 발견과 朝鮮前期史의 새로운 모색, 한국사연구방법론과 방향 모색" 서울교육문화회관 101-118, 2002

      44 覺訓, "海東高僧傳" 동국대학교 출판부 89-101, 1984

      45 "朝鮮王朝實錄"

      46 李逢春, "朝鮮前期 佛典諺解와 그 思想" 韓國佛敎學會 5 : 41-70, 1980

      47 김상현, "朝鮮佛敎史 硏究의 課題와 展望" 불교문화연구원 (39) : 265-271, 2002

      48 世宗, "月印千江之曲" 螢雪出版社 1978

      49 金守溫, "拭疣集" 民族文化推進會 1988

      50 成俔, "慵齋總話" 대양서적 1973

      51 朴海鏜, "己和의 佛敎思想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52 李弘稙, "國史大事典" 三榮出版社 1984

      53 木村泰賢, "原始佛敎思想論" 경서원 1992

      54 全觀應, "佛敎學大辭典" 弘法院 1988

      55 鄭承碩, "佛典解說事典" 民族社 1989

      56 鄭杜熙, "世宗朝의 權力構造 -臺諫의 活動을 中心으로. in: 世宗朝文化硏究 (I)" 博英社 3-62, 1982

      57 崔正如, "世宗朝 亡妃追善의 周邊과 釋譜 및 讚佛歌制作" 계명대학교 5 : 27-50, 1968

      58 李哲敎, "『 韓國佛敎關係論著綜合目錄』. 전3권" 고려대장경연구소 2002

      59 金英培, "『 釋譜詳節』下" 東國大學校 附設 譯經院 1986

      60 金英培, "『 釋譜詳節』上" 1986

      61 李能和, "『 朝鮮佛敎通史』下" 민속원 1918

      62 이재형, "「 한글날 특집 ‘훈민정음과 불교」,《 법보신문》(2004-09-29/773호)"

      63 "empas 백과사전"

      64 "[특집] 기복불교를 말한다" 불교평론사 (7) : 2001

      65 John Jorgensen, "Trends in Japanese Research on Korean Buddhism 2000-2005" 한국학중앙연구원 9 (9): 9-26, 2006

      66 Muller, Charles A., "The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Korean Buddhism’s Guide to Medi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9

      67 Richard D. McBride, II, "The Study of Korean Buddhism in North America: Retrospective and Recent Trends" 한국학중앙연구원 9 (9): 27-48, 2006

      68 Palais, James. B., "Politics and Policy in Traditional Korea" Harvard University Press 1975

      69 Kim, Jongmyung, "Korean, Buddhist Influences on Vernacular Literature in. in: Encyclopedia of Buddhism" Macmillan Reference USA 439-441, 2004

      70 Kim, Jongmyung, "Korean Kings’ Buddhist Views: An Examination-From the Fourth to the Tenth Centuries-" Emory University 23 (23): 2008

      71 Kim, Jongmyung, "King Sejong’s Buddhist View" Curtin University of Technology 2007b

      72 김종명, "King Sejong’s Buddhist Faith and the Invention of the Korean Alphabet: A Historical Perspective" 유네스코한국위원회 47 (47): 134-159, 2007

      73 Allen, J. Michael, "How Early is Korean Modernity? The ‘Early-Modern’in Korean Historiography" 서울교육문화회관 157-167, 2002

      74 Buswell, Robert E. Jr., "Chinese Buddhist Apocrypha"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0

      75 Mitchell, Donald W., "Buddhism: Introducing the Buddhist Experience , secon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76 Buswell, Robert E. Jr., "Buddhism Under Confucian Domination: The Synthetic Vision of Sŏsan Hyujŏng. In: Culture and the State in Late Choson Korea"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134-159, 1999

      77 Pankaj N. Mohan, "Beyond the “Nation-Protecting” Paradigm: Recent Trends in the Historical Studies of Korean Buddhism" 한국학중앙연구원 9 (9): 49-68,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6-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201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Buddhist Studies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2019-06-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 ->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7 0.93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