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페르시아 조로아스터교 경전 『아베스타(Avesta)』와 나시족 경전 『흑백지전(黑白之戰)』의 신화 비교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의 서남부 윈난성(雲南省)에 거주하는 나시족(納西族)은 둥바교(東巴敎)라는 종교를 신봉하는데, 그 경전 중 하나인 둥바경(東巴經)에는 창세신화가 들어있는 『흑백지전(黑白之戰)』이라는 서사시가 기록되어 있다. 세상의 시작에 등장하는 빛의 신 므르두즈와 어둠의 신 므르스즈가 빛을 쟁탈하기 위한 전쟁을 벌이는데, 빛과 어둠의 대립과 투쟁, 빛의 세력에 의한 어둠의 세력의 궤멸 등 모티프가 여러 면에서 조로아스터교의 경전인 『아베스타(Avesta)』와 흡사하다. ‘실크로드’라는 오래된 길을 통해 이란고원의 조로아스터교가 중국 땅으로 들어갔고, 그 흔적은 고대 사서(史書)들과 타이위안(太原), 시안(西安) 인근에서 발굴된 북조(北朝)시대 무덤의 도상들을 통해 증명되고 있다. 중국 간쑤성(甘肅省) 허황(河湟) 지역에 거주하던 고(古) 강족(羌族) 계통의 민족들이 쓰촨(四川)과 윈난 쪽으로 이주해갔고, 고 강족 계통에 속하는 이족(彝族)이나 나시족 등에게는 불과 빛, 하얀 색에 대한 숭배의 전통이 있다. 그런가 하면 고대 토번국(吐藩國)의 영향이 미치는 지역에 오래 동안 거주했던 나시족은 종교적으로 티베트 뵌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뵌교의 조사(祖師)는 이란 지역과 관련이 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나시족의 신화에 조로아스터교의 가장 큰 특징인 이원론적 대립 구도가 등장하는 것은 외래적 요소임이 분명해 보이며, 그것은 실크로드와 그곳에서부터 연결되는 길들을 통해 유입된 신화적 모티프일 가능성이 크다.
      번역하기

      중국의 서남부 윈난성(雲南省)에 거주하는 나시족(納西族)은 둥바교(東巴敎)라는 종교를 신봉하는데, 그 경전 중 하나인 둥바경(東巴經)에는 창세신화가 들어있는 『흑백지전(黑白之戰)』이...

      중국의 서남부 윈난성(雲南省)에 거주하는 나시족(納西族)은 둥바교(東巴敎)라는 종교를 신봉하는데, 그 경전 중 하나인 둥바경(東巴經)에는 창세신화가 들어있는 『흑백지전(黑白之戰)』이라는 서사시가 기록되어 있다. 세상의 시작에 등장하는 빛의 신 므르두즈와 어둠의 신 므르스즈가 빛을 쟁탈하기 위한 전쟁을 벌이는데, 빛과 어둠의 대립과 투쟁, 빛의 세력에 의한 어둠의 세력의 궤멸 등 모티프가 여러 면에서 조로아스터교의 경전인 『아베스타(Avesta)』와 흡사하다. ‘실크로드’라는 오래된 길을 통해 이란고원의 조로아스터교가 중국 땅으로 들어갔고, 그 흔적은 고대 사서(史書)들과 타이위안(太原), 시안(西安) 인근에서 발굴된 북조(北朝)시대 무덤의 도상들을 통해 증명되고 있다. 중국 간쑤성(甘肅省) 허황(河湟) 지역에 거주하던 고(古) 강족(羌族) 계통의 민족들이 쓰촨(四川)과 윈난 쪽으로 이주해갔고, 고 강족 계통에 속하는 이족(彝族)이나 나시족 등에게는 불과 빛, 하얀 색에 대한 숭배의 전통이 있다. 그런가 하면 고대 토번국(吐藩國)의 영향이 미치는 지역에 오래 동안 거주했던 나시족은 종교적으로 티베트 뵌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뵌교의 조사(祖師)는 이란 지역과 관련이 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나시족의 신화에 조로아스터교의 가장 큰 특징인 이원론적 대립 구도가 등장하는 것은 외래적 요소임이 분명해 보이며, 그것은 실크로드와 그곳에서부터 연결되는 길들을 통해 유입된 신화적 모티프일 가능성이 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axi people, who live in the Yunnan province in Southwestern China, believe in a religion called Dongba. The Dongba Scripture, which is the fundamental text of the Dongba religion, has one scripture called 『The War Between Light and Dark』, which includes the creation myth of the Naxi people. The god of light, Murduzhi, and the god of darkness, Murusuzhi, both appeared at the beginning of the world and waged a war to scramble the light. The use of motifs such as the conflict and struggle between light and darkness and the destruction of darkness by the force of light can be similarly found in 『Avesta』, the scriptures of Zoroastrianism. Zoroastrianism, from the Iranian plateau, was brought into China by way of an old road named the Silk Road, and the traces of its dispersal have been proven through ancient history books and icons from graves in the Northern Dynasties that were discovered near the provinces of Taiyuan and Xian. The people of Qiang ancestry who lived near the He-Huang River in the Gansu province emigrated to the Sichuan and Yunnan provinces; they as well as the Yi and Naxi people, who also have Qiang ancestry, all share the traditional custom of worshiping in fire, light and white-colored stones. Meanwhile, the Naxi people who lived in provinces within the Tubo Kingdom for a long time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religious practices of Tibetan Bon religion. The Patriarch of Bon relig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Iran. In this respect, it seems certain that the appearance of dualistic opposition, which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Zoroastrianism, should be considered an exotic element in the myths of the Naxi people. Furthermore, these images of dualistic opposition are quite possibly mythical motifs that came through the Silk Road and other roads that connected to it.
      번역하기

      The Naxi people, who live in the Yunnan province in Southwestern China, believe in a religion called Dongba. The Dongba Scripture, which is the fundamental text of the Dongba religion, has one scripture called 『The War Between Light and Dark』, whi...

      The Naxi people, who live in the Yunnan province in Southwestern China, believe in a religion called Dongba. The Dongba Scripture, which is the fundamental text of the Dongba religion, has one scripture called 『The War Between Light and Dark』, which includes the creation myth of the Naxi people. The god of light, Murduzhi, and the god of darkness, Murusuzhi, both appeared at the beginning of the world and waged a war to scramble the light. The use of motifs such as the conflict and struggle between light and darkness and the destruction of darkness by the force of light can be similarly found in 『Avesta』, the scriptures of Zoroastrianism. Zoroastrianism, from the Iranian plateau, was brought into China by way of an old road named the Silk Road, and the traces of its dispersal have been proven through ancient history books and icons from graves in the Northern Dynasties that were discovered near the provinces of Taiyuan and Xian. The people of Qiang ancestry who lived near the He-Huang River in the Gansu province emigrated to the Sichuan and Yunnan provinces; they as well as the Yi and Naxi people, who also have Qiang ancestry, all share the traditional custom of worshiping in fire, light and white-colored stones. Meanwhile, the Naxi people who lived in provinces within the Tubo Kingdom for a long time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religious practices of Tibetan Bon religion. The Patriarch of Bon relig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Iran. In this respect, it seems certain that the appearance of dualistic opposition, which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Zoroastrianism, should be considered an exotic element in the myths of the Naxi people. Furthermore, these images of dualistic opposition are quite possibly mythical motifs that came through the Silk Road and other roads that connected to 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말
      • Ⅱ. 조로아스터교와 실크로드
      • Ⅲ. 조로아스터교와 관련된 습속의 전래
      • Ⅳ. 어둠과 빛의 대립과 『아베스타』, 『흑백지전』
      • Ⅴ. 『아베스타』와 『흑백지전』의 내용 비교
      • Ⅰ. 들어가는 말
      • Ⅱ. 조로아스터교와 실크로드
      • Ⅲ. 조로아스터교와 관련된 습속의 전래
      • Ⅳ. 어둠과 빛의 대립과 『아베스타』, 『흑백지전』
      • Ⅴ. 『아베스타』와 『흑백지전』의 내용 비교
      • Ⅵ. 나오는 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梁書"

      2 林悟殊, "論高昌“俗事天神”" (4) : 1987

      3 유흥태, "페르시아의 종교" 살림출판사 2010

      4 김인화, "페르시아 아케메네스조의 왕권 이념 : 다리우스 1세 시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5 신양섭, "페르시아 문화의 동진과 조로아스터교" 한국중동학회 30 (30): 33-73, 2009

      6 신규섭, "페르시아 관점에서 본 실크로드의 의미와 주체적 해석" (2) : 2014

      7 장준희, "중앙아시아의 전통축제 ‘나브루즈’ 고찰" 비교민속학회 (43) : 149-186, 2010

      8 김선자, "중국 강족羌族 계통 소수민족 신화에 나타난 흰 돌[白石]의 상징성 - 빛과 불, 그리고 천신" 중국어문학연구회 (91) : 419-446, 2015

      9 이평래, "알타이스케치3(신장 알타이 편)" 동북아역사재단 2015

      10 최혜영, "버드나무 신화소를 통해 본 유라시아 지역의 문명 교류의 가능성 혹은 그 接點" 동북아역사재단 (22) : 185-217, 2008

      1 "梁書"

      2 林悟殊, "論高昌“俗事天神”" (4) : 1987

      3 유흥태, "페르시아의 종교" 살림출판사 2010

      4 김인화, "페르시아 아케메네스조의 왕권 이념 : 다리우스 1세 시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5 신양섭, "페르시아 문화의 동진과 조로아스터교" 한국중동학회 30 (30): 33-73, 2009

      6 신규섭, "페르시아 관점에서 본 실크로드의 의미와 주체적 해석" (2) : 2014

      7 장준희, "중앙아시아의 전통축제 ‘나브루즈’ 고찰" 비교민속학회 (43) : 149-186, 2010

      8 김선자, "중국 강족羌族 계통 소수민족 신화에 나타난 흰 돌[白石]의 상징성 - 빛과 불, 그리고 천신" 중국어문학연구회 (91) : 419-446, 2015

      9 이평래, "알타이스케치3(신장 알타이 편)" 동북아역사재단 2015

      10 최혜영, "버드나무 신화소를 통해 본 유라시아 지역의 문명 교류의 가능성 혹은 그 接點" 동북아역사재단 (22) : 185-217, 2008

      11 김선자, "만주족 의례에 나타난 자손줄[子孫繩]과 여신, 그리고 ‘탯줄 상징’" 중국어문학연구회 (86) : 399-427, 2014

      12 김선자, "나시족 창세서사시 『흑백지전黑白之戰』에 나타난 ‘흑’과 ‘백’의 문화적 맥락에 관한 연구" 중국어문학연구회 (83) : 419-447, 2013

      13 楊世光, "黑白之戰" 雲南人民出版社 2009

      14 "魏書"

      15 王素, "高昌火祆敎論稿" (3) : 1986

      16 李子賢, "雲南少數民族神話選" 雲南人民出版社 1990

      17 "隋書"

      18 陳垣, "陳垣學術論文集 第1集" 中華書局 1980

      19 孫武軍, "阿胡拉馬玆達象徵圖像源流辨析" (2) : 2015

      20 伊郞賈利爾, "阿維斯塔-瑣羅亞德敎聖書" 商務印書館 2005

      21 元文祺, "阿維斯塔(Avesta)" 商務印書館 2005

      22 楊軍凱, "關于祆敎的第三次重大發現-西安北周薩保史君墓" (1) : 2003

      23 민병훈, "西투르키스탄의 諸宗敎遺跡및 出土遺物-佛敎와 조로아스터교를 중심으로" 13 : 1999

      24 德慶多吉, "西藏本敎經文集" 西藏人民出版社 2008

      25 頓珠拉杰, "西藏本敎簡史" 西藏人民出版社 2007

      26 陝西省考古硏究所, "西安北郊北周安伽墓發掘簡報" (5) : 2000

      27 周菁葆, "西域祆敎藝術" (1) : 2010

      28 楊學政, "藏族納西族普米族的藏傳佛敎" 雲南人民出版社 1994

      29 謝繼勝, "藏族本敎神話探索" (4) : 1988

      30 "舊唐書"

      31 張毅, "納西東巴經「黑白戰爭」字釋及硏究" 西南大學 2007

      32 編審委, "納西東巴古籍譯注全集 第25卷" 雲南人民出版社 1999

      33 編審委, "納西東巴古籍譯注全集 第24卷" 雲南人民出版社 1999

      34 雲南省少數民族古籍整理出版規劃辦公室, "納西東巴古籍譯注(三)" 雲南民族出版社 1989

      35 楊福泉, "納西族的靈魂觀" (5) : 1995

      36 林梅村, "稽胡事跡考-太原新出虞弘墓志的幾個問題" (1) : 2002

      37 林悟殊, "波斯拜火敎與古代中國" 臺北新文豊出版社 1995

      38 唐孟生, "東方神話傳說 第1卷 希伯來·波斯伊郞神話傳說" 北京大學出版社 1999

      39 張云, "本敎古史傳說與波斯祆敎的影響" (4) : 1998

      40 姜伯勤, "敦煌吐魯番文書與絲綢之路" 文物出版社 1994

      41 宋曉梅, "我看高昌“俗事天神”-兼談祆敎的東傳" (2) : 1998

      42 陶占琦, "從神話經典及其所涉文化因素看東巴敎與古苯巴敎的關係" (4) : 1998

      43 西藏人民出版社, "國外藏學硏究譯文集 第11輯" 西藏人民出版社 1994

      44 彭樹智, "唐代長安與祆敎文化的交往" (1) : 1999

      45 解梅, "唐五代敦煌地區賽天儀式考" (2) : 2005

      46 "周書"

      47 唐長孺, "吐魯蕃出土文書 第二冊" 1981

      48 邱紫華, "古代波斯宗敎哲學的二元本體論及原型意象的審美闡釋" 20 (20): 2000

      49 "北史"

      50 元文琪, "二元神論-古波斯宗敎神話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7

      51 沈福偉, "中西文化交流史" 上海人民出版社 2006

      52 陳佳榮, "中外交通史" 香港學津書店 1987

      53 Joseph Rock, "中國西南古納西王國" 雲南美術出版社 2008

      54 榮新江, "中古中國與外來文明" 北京三聯書店 2001

      55 "『Avesta』와 『Bundahishn』의 영문번역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Asian Culture Studies -> Asian Cultural Studies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6 0.974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