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체주의 건축과 설치미술의 상관관계 분석 =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and Installation A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875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s society contains a mix of diversity and complexity; thus, people have searched for the manifestation of peculiarity, which has become the driving force of new paradigms. Give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aradigms through the fusion of ideas and technology across each sector of society,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architecture and art,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 between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and installation art, both of which emerge since postmodern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genres based on their similarities in terms of form, in which both aim to arouse people's attention to the fundamental ideas hidden behind their forms and to explore more open ways of thinking. In an effort to try and develop these points,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behind the emergence of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and installation art and bestowed legitimacy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and empirical examples regarding their similarities in terms of form.
      These research effort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and installation art: first, both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and installation art appear in the background of reorganizing the old value system by denying the rational and absolute ruling system of modernism; second, the exterior forms of both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and installation art can be understood as irregular in their pursue of free shape: and finally, space, as it is addressed in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and installation art, is existential and experiential, which goes beyond physical space concepts. The two genres pursue space that is not separated from human life.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re are similarities in the concepts of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and installation art in that they both have tried to destroy the conventional humancentric values for reshaping them as well as have common features in the irregular external features between them. This study will hopefully arouse people's attention to an openness of thinking that both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and installation art have tried to pursue and thus inspire future movements to explore the creation of new paradigms.
      번역하기

      Today’s society contains a mix of diversity and complexity; thus, people have searched for the manifestation of peculiarity, which has become the driving force of new paradigms. Give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aradigms through the fusion of ideas...

      Today’s society contains a mix of diversity and complexity; thus, people have searched for the manifestation of peculiarity, which has become the driving force of new paradigms. Give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aradigms through the fusion of ideas and technology across each sector of society,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architecture and art,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 between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and installation art, both of which emerge since postmodern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genres based on their similarities in terms of form, in which both aim to arouse people's attention to the fundamental ideas hidden behind their forms and to explore more open ways of thinking. In an effort to try and develop these points,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behind the emergence of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and installation art and bestowed legitimacy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and empirical examples regarding their similarities in terms of form.
      These research effort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and installation art: first, both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and installation art appear in the background of reorganizing the old value system by denying the rational and absolute ruling system of modernism; second, the exterior forms of both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and installation art can be understood as irregular in their pursue of free shape: and finally, space, as it is addressed in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and installation art, is existential and experiential, which goes beyond physical space concepts. The two genres pursue space that is not separated from human life.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re are similarities in the concepts of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and installation art in that they both have tried to destroy the conventional humancentric values for reshaping them as well as have common features in the irregular external features between them. This study will hopefully arouse people's attention to an openness of thinking that both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and installation art have tried to pursue and thus inspire future movements to explore the creation of new paradig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의 사회는 다양성(多樣性)과 복잡성(複雜性)이 혼재(混在)된 가운데 특이성(特異性)의 발현을 모색하여 왔고, 이러한 특이성은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을 형성하는 원동력이 되어 왔다. 사회 각 분야는 사상·기술의 융합을 통해 창조적 패러다임의 발전을 이룩하고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건축과 예술, 특히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영향 하에 등장한 해체주의 건축과 설치미술 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고찰한다. 이는 해체주의 건축과 설치미술에 나타나는 형태적 유사성에 근거해 두 장르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형태 이면에 감추어진 근본 사상을 환기시켜 열린 사고(思考)를 모색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논지(論旨)를 펼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해체주의 건축과 설치미술의 등장 배경을 살펴보고, 두 장르의 형태적 유사성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예를 통해 정당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기반으로 얻은 해체주의 건축과 설치미술의 상관관계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체주의 건축과 설치미술은 모더니즘의 이성적·절대적 지배체제에 대한 부정을 통하여 기존의 가치체계를 재(再)구성한다는 공통된 등장 배경을 지닌다. 둘째, 해체주의 건축과 설치미술의 외형적 형태는 획일화되지 않은 자유 형태를 취한다는 점에서 ‘비정형(非正形)’으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해체주의 건축과 설치미술에서 다루는 ‘공간‘은 사변적(思辨的)인 공간개념을 넘어 실존적이고 체험되는 공간이며, 두 장르는 인간의 삶과 분리되지 않은 열린 공간을 지향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체주의 건축과 설치미술은 비정형의 외형적 특성 뿐 아니라 기존의 가치체계를 해체하여 새롭게 재구축하려 했던 측면에서 개념적으로 유사성을 띠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해체주의 건축과 설치미술이 추구하고자 했던 ’사고의 포용성‘을 환기시킴으로써 새로운 패러다임의 형성을 모색하는 행보가 되길 기대한다.
      번역하기

      오늘날의 사회는 다양성(多樣性)과 복잡성(複雜性)이 혼재(混在)된 가운데 특이성(特異性)의 발현을 모색하여 왔고, 이러한 특이성은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을 형성하는 원동력이 되어 왔...

      오늘날의 사회는 다양성(多樣性)과 복잡성(複雜性)이 혼재(混在)된 가운데 특이성(特異性)의 발현을 모색하여 왔고, 이러한 특이성은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을 형성하는 원동력이 되어 왔다. 사회 각 분야는 사상·기술의 융합을 통해 창조적 패러다임의 발전을 이룩하고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건축과 예술, 특히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영향 하에 등장한 해체주의 건축과 설치미술 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고찰한다. 이는 해체주의 건축과 설치미술에 나타나는 형태적 유사성에 근거해 두 장르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형태 이면에 감추어진 근본 사상을 환기시켜 열린 사고(思考)를 모색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논지(論旨)를 펼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해체주의 건축과 설치미술의 등장 배경을 살펴보고, 두 장르의 형태적 유사성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예를 통해 정당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기반으로 얻은 해체주의 건축과 설치미술의 상관관계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체주의 건축과 설치미술은 모더니즘의 이성적·절대적 지배체제에 대한 부정을 통하여 기존의 가치체계를 재(再)구성한다는 공통된 등장 배경을 지닌다. 둘째, 해체주의 건축과 설치미술의 외형적 형태는 획일화되지 않은 자유 형태를 취한다는 점에서 ‘비정형(非正形)’으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해체주의 건축과 설치미술에서 다루는 ‘공간‘은 사변적(思辨的)인 공간개념을 넘어 실존적이고 체험되는 공간이며, 두 장르는 인간의 삶과 분리되지 않은 열린 공간을 지향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체주의 건축과 설치미술은 비정형의 외형적 특성 뿐 아니라 기존의 가치체계를 해체하여 새롭게 재구축하려 했던 측면에서 개념적으로 유사성을 띠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해체주의 건축과 설치미술이 추구하고자 했던 ’사고의 포용성‘을 환기시킴으로써 새로운 패러다임의 형성을 모색하는 행보가 되길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일, "현실의 공간, 그리고 공간의 현실화" 33 : 35-37, 1987

      2 박찬국, "현대미술의 기초개념" 재원 1995

      3 홍명섭, "현대미술에서의 설치개념의 유형에 관하여" 33 : 42-45, 1987

      4 정연심, "현대공간과 설치미술" A&C 2014

      5 김철규, "현대건축의 비정형 건축형태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9 (19): 101-108, 2003

      6 김철규, "현대건축 공간구성의 비정형적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41 : 88-95, 2003

      7 길성호, "현대 건축 사고론" 미진사 1997

      8 박영욱, "필로 아키텍처 : 현대건축과 공간 그리고 철학적 담론" 향연 2009

      9 김욱동, "포스트 모더니즘과 포스트 구조주의" 현암사 1991

      10 김주미, "통합 예술로서의 실내·건축 공간 연구: 설치·환경예술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12 : 70-73, 1995

      1 이일, "현실의 공간, 그리고 공간의 현실화" 33 : 35-37, 1987

      2 박찬국, "현대미술의 기초개념" 재원 1995

      3 홍명섭, "현대미술에서의 설치개념의 유형에 관하여" 33 : 42-45, 1987

      4 정연심, "현대공간과 설치미술" A&C 2014

      5 김철규, "현대건축의 비정형 건축형태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9 (19): 101-108, 2003

      6 김철규, "현대건축 공간구성의 비정형적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41 : 88-95, 2003

      7 길성호, "현대 건축 사고론" 미진사 1997

      8 박영욱, "필로 아키텍처 : 현대건축과 공간 그리고 철학적 담론" 향연 2009

      9 김욱동, "포스트 모더니즘과 포스트 구조주의" 현암사 1991

      10 김주미, "통합 예술로서의 실내·건축 공간 연구: 설치·환경예술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12 : 70-73, 1995

      11 이유정, "칼 안드레의 작품을 통해 본 미니멀리즘의 양면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12 이일형, "최초의 해체주의 건축가 프랭크 게리" 살림 2004

      13 최유진, "자넷 에힐만의 기류조각" 244 : 158-159, 2015

      14 Architravel, "인터넷 웹페이지"

      15 변대중, "시각적 차원에 의한 건축 공간의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9 (19): 56-66, 2010

      16 서성록, "설치미술 감상법" 대원사 1995

      17 박상준, "비정형 건축형태에 나타난 디지털디자인도구의 형태생성 과정과 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5 (15): 187-197, 2014

      18 이재국, "비정형 건축 구현을 위한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11 (11): 13-19, 2011

      19 김민수, "모던 디자인 비평 : 포스트모던 해체의 이해" 안그라픽스 1994

      20 윤난지, "모더니즘 이후 미술의 화두;2 전시의 담론" 눈빛 2002

      21 이규홍, "마르코스 노박(Marcos Novak)의 트렌스 건축(Trans Architecture)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5 (15): 46-54, 2006

      22 김문덕, "렘 콜하스와 네덜란드 근·현대건축" 태림문화사 2005

      23 국진선,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자하 하디드 뮤지엄 건축의 공간구조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2 (22): 311-319, 2013

      24 Dewey, J., "경험으로서의 예술" 나남 2016

      25 Sugimoto, D., "건축의 현대사상-포스트모던 이후의 패러다임" 발언 1998

      26 Goldberger, P., "건축은 왜 중요한가" 미메시스 2011

      27 권태문, "건축미학과의 만남" 시공문화사 2001

      28 Baudrillard, J., "건축과 철학" 동문선 2003

      29 Psarra, S., "건축과 내러티브: 공간의 형성과 문화적 의미" 시공문화사 2010

      30 장정제, "개념의 구조로서 건축 I, 창조적 사고와 디자인의 도전" 시공문화사 2008

      31 Forty, A., "Words and buildings: A Vocabulary of modern architecture" Thames&Hudson 2000

      32 Libeskind, D., "Projects [건축가 홈페이지]"

      33 Echelman, J., "Portfolio [작가 홈페이지]"

      34 Isabel, S., "Kurt Schwitters: Color and Collage" Menil Collection 2010

      35 Adrian, S., "Interpretation in Architecture–Design as a Way of Thinking" Routledge 2006

      36 Stocker, E., "Installations [작가 홈페이지]"

      37 Dawe, G., "Installations [작가 홈페이지]"

      38 Kogler, P., "Home [작가 홈페이지]"

      39 Architecturaldigest, "Gallery [인터넷 웹페이지]"

      40 Guy, L., "Daniel Buren" Flammarion 2002

      41 Vergne, P., "Carl Andre: Sculpture as place" Dia Art Foun dation 2014

      42 Hadid, Z., "Architecture [건축가 홈페이지]"

      43 Coop Himmelb(l)au, "Architecture [건축가 홈페이지]"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 The Korea Association of Art&Desig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예논총 -> 조형디자인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 Society of Craft ->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예학회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Craft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1 0.58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