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재길, "현대미술에서 물질의 확장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8 (8): 349-357, 2007
2 김태연, "플라스틱 소재의 섬유조형에 나타난 일상성"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
3 Pastoureau, M., "파랑의 역사" 믿음사 2017
4 Evans, G., "컬러 인문학" 김영사 2018
5 Yves Klein, "작가 홈페이지"
6 서혜임, "이브 클랭의 푸른색 모노크롬에 재현된 비물질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7 이정실, "이브 클랭의 작품에서 제시된 ‘비물질성’ 모노크롬과 그 확장된 작업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4
8 Kandinsky, W., "예술에서의 정신적인 것에 대하여" 열화당 2019
9 손희락, "애니쉬 카푸어와 볼프강 라이프의 작품에 나타난 철학적 의미" 한국기초조형학회 13 (13): 255-266, 2012
10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2018
1 유재길, "현대미술에서 물질의 확장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8 (8): 349-357, 2007
2 김태연, "플라스틱 소재의 섬유조형에 나타난 일상성"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
3 Pastoureau, M., "파랑의 역사" 믿음사 2017
4 Evans, G., "컬러 인문학" 김영사 2018
5 Yves Klein, "작가 홈페이지"
6 서혜임, "이브 클랭의 푸른색 모노크롬에 재현된 비물질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7 이정실, "이브 클랭의 작품에서 제시된 ‘비물질성’ 모노크롬과 그 확장된 작업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4
8 Kandinsky, W., "예술에서의 정신적인 것에 대하여" 열화당 2019
9 손희락, "애니쉬 카푸어와 볼프강 라이프의 작품에 나타난 철학적 의미" 한국기초조형학회 13 (13): 255-266, 2012
10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2018
11 송번수, "섬유예술" 디자인하우스 1985
12 황연숙, "색채이론을 바탕으로 본 근·현대건축의 경향에 관한 분석 : 뉴턴, 괴테, 비트겐슈타인의 색채이론을 중점으로 본 러시아구성주의, 추상아방가르드, 해체주의"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02
13 Ittem, J., "색채의 예술" 지구문화사 2015
14 Birren, F., "색채의 영향" 시공사 2017
15 Gage, J., "색채의 역사:미술, 과학, 그리고 상징" 사회평론 2011
16 조관용, "색채와 의식 - 20세기 초의 신지학이론을 중심으로" 예술과미디어학회 8 (8): 117-128, 2009
17 Suenaga, T., "색채심리" 예경 2003
18 Goethe, J., "색채론" 믿음사 2018
19 Bruns, M., "색의 수수께끼" 세종연구원 1999
20 홍명희, "상상력과 가스통 바슐라르" 살림출판사 2005
21 차영순, "빙엔의 힐데가르트의 채색화 <사파이어 청색 인간>에 관한 고찰" 서양미술사학회 (50) : 103-125, 2019
22 박숙영, "부드러운 마티에르의 형태화에 의한 조각의 변모" 한국조형교육학회 (44) : 157-182, 2012
23 장민영, "볼프강 라이프의 물질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0
24 국제갤러리, "박서보"
25 유경훈,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과 창의력의 철학적 기초" 한국영재학회 19 (19): 603-646, 2009
26 네이버 두산백과, "물질"
27 Schmidt, K., "Wolfgang Laib" Hatje Cantz 2005
28 MoMA, "Wolfgang Laib"
29 Jennifer Higgie, "Fibre Is My Alphabet"
30 Chevalier, J., "Dictionnaire des symboles" Seghers 1973
31 Gage, J., "Color and Culture: Practice and Meaning from Antiquity to Abstrac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9
32 Eli Anapur, "All you need to know about the International Klein Blue"
33 Lynton, N., "20세기의 미술" 예경 2003
34 김이순, "1970~80년대 한국 추상미술과 물성(materiality)" 미술사학연구회 (35) : 139-170,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