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고령남성들의 경제활동참가확률의 모형을 추정하는 회귀분석을 수행하고, 이 회귀분석에 이용된 설명변수들의 장래변화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기초로 하여 2030년까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505829
2009
Korean
인구고령화 ; 고령남성 ; 은퇴 ; 퇴직 ; 경제활동참가율 ; population aging ; older male ; retirement ; labor force participation
KCI등재
학술저널
5-44(40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고령남성들의 경제활동참가확률의 모형을 추정하는 회귀분석을 수행하고, 이 회귀분석에 이용된 설명변수들의 장래변화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기초로 하여 2030년까지...
이 연구는 고령남성들의 경제활동참가확률의 모형을 추정하는 회귀분석을 수행하고, 이 회귀분석에 이용된 설명변수들의 장래변화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기초로 하여 2030년까지의 고령남성의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을 추정하였다. 또한 이 경제활동참가율의 미래 추정치와 장래의 연령별 추정인구를 이용하여 2030년까지의 연령별 경제활동인구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55세 이상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향후 상당히 큰 폭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은퇴의 증가는 고령 및 전체 남성 경제활동인구를 크게 감소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2005년 이후부터 고령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 감소가 없는 가상적인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이 연구를 통해 추정된 고령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 감소는 전체 남성 경제활동인구의 감소시점을 2020년에서 2015년으로 앞당기고, 2030년까지 약 174만 명(혹은 약 13%)의 남성 경제활동인구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고령남성 경제활동참가율의 감소는 인구고령화가 소비, 생산성, 경제성장에 미칠 것으로 우려되는 부정적인 효과를 증폭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ducts regression analyses to estimate equations of the probability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older males in Korea, and forecasts future changes in the explanatory variables employed in the regressions. Based on these results, age-s...
This study conducts regression analyses to estimate equations of the probability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older males in Korea, and forecasts future changes in the explanatory variables employed in the regressions. Based on these results, age-specific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LFPR) of older males through 2030 is estimated. Applying the estimated LFPR to the age-specific population in the future, the number of males in the labor force in each age group is predicted. It is anticipated that the LFPR of males aged 55 and older will decline over time, shrinking the size of the male labor force. As compared to a hypothetical case in which the economic activity of the elderly would remain unchanged, it is forecasted that the future decline in the LFPR of older males will diminish the male labor force by 1.74 million (or about 13 %) by 2030. This suggests that the potential adverse economic effects of population aging in Korea could be more serious than previously though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철희, "한국의 고령노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2 장지연, "취업자 평균 은퇴연령의 변화와 인구특성별 차이" 2 (2): 1-21, 2002
3 박경숙, "중장년기 종사상 지위와 은퇴 과정의 다양성" 24 (24): 177-205, 2001
4 성지미, "중고령자 취업 결정요인" 한국노동연구원 6 (6): 39-74, 2006
5 장지연, "중ㆍ고령자의 경력이동" 37 (37): 95-121, 2003
6 한국개발연구원,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ㆍ사회적 파급효과와 대응과제" 한국개발연구원 2004
7 김대일, "인구고령화와 노동생산성의 변화 in: 인구고령화와 거시경제" 한국개발연구원 2004
8 손용진, "은퇴 및 비은틔 집단에 있어서 주관적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0 (20): 75-98, 2005
9 안종범, "은퇴 결정과 은퇴 전 · 후 소비의 상호작용" 한국노동경제학회 27 (27): 1-23, 2004
10 최승현, "맞벌이가구의 은퇴행태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29 (29): 129-152, 2006
1 이철희, "한국의 고령노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2 장지연, "취업자 평균 은퇴연령의 변화와 인구특성별 차이" 2 (2): 1-21, 2002
3 박경숙, "중장년기 종사상 지위와 은퇴 과정의 다양성" 24 (24): 177-205, 2001
4 성지미, "중고령자 취업 결정요인" 한국노동연구원 6 (6): 39-74, 2006
5 장지연, "중ㆍ고령자의 경력이동" 37 (37): 95-121, 2003
6 한국개발연구원,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ㆍ사회적 파급효과와 대응과제" 한국개발연구원 2004
7 김대일, "인구고령화와 노동생산성의 변화 in: 인구고령화와 거시경제" 한국개발연구원 2004
8 손용진, "은퇴 및 비은틔 집단에 있어서 주관적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0 (20): 75-98, 2005
9 안종범, "은퇴 결정과 은퇴 전 · 후 소비의 상호작용" 한국노동경제학회 27 (27): 1-23, 2004
10 최승현, "맞벌이가구의 은퇴행태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29 (29): 129-152, 2006
11 이승렬, "노동자의 건강상태와 노동시장 성과: 실증적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6
12 권 승, "노년층의 은퇴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성별, 거주지별 차이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4 (24): 69-90, 2004
13 이지혜, "국민연금과 고령층 노동시장의 퇴직 유인" 44 : 101-132, 2005
14 장지연, "고연령근로자의 경제활동과 은퇴" 2002
15 한진희, "고령화는 경제성장을 둔화시키는가? in: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과제(I)" 한국개발연구원 2003
16 남주하, "고령화가 개별 가구의 소비, 저축 및 자산규모에 미치는 효과분석 in: 고령화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대응과제 II" 한국경제연구원 2005
17 최경수, "고령층 노동시장에 대한 기초적 분석",최경수 외 편" 한국개발연구원 2003
18 허재준, "고령자 노동시장" 한국노동연구원 1998
19 Costa, D. L., "Understanding the Twentieth-Century Decline in Chronic Conditions among Older Men" 37 (37): 53-72, 2000
20 Gratton, B., "The Poverty of Impoverishment Theory: The Economic Well-Being of the Elderly, 1890-1950" 56 : 39-61, 1996
21 Long, C., "The Labor Force Under Changing Income and Employment" Princeton Univ. Press 1958
22 Lee, C., "The Expected Length of Male Retirement in the United States, 1850-1990" 14 : 641-650, 2001
23 Costa, D. L., "The Evolution of Retiremen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8
24 Hurd, M. D., "The Effect of Social Security on Retirement in the Early 1970s" 99 : 1984
25 Kotlikoff, L., "The Economics of Aging,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9
26 Nyce, Steven A., "The Economic Implications of Aging Society" University of Cambridge Press 2005
27 Epstein, A., "The Challenge of the Aged" The Vanguard Press 1928
28 Deaton, Angus, "The Analysis of Household Survey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for World Bank 1997
29 Cowgill, D. O., "The Aging of Population and Societies" 415 : 1-18, 1974
30 Gruber J., "Social Security and Retirement around the World" Univ. of Chicago Press 1999
31 Gruber J., "Social Security Programs and Retirement around the World: Micro-Estim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4
32 Lee, C., "Sectoral Shift and Labor-Force Participation of Older Males in America, 1880-1940" 62 : 512-523, 2002
33 Moen, J., "Rural Non-Farm Households: Leaving the Farm and the Retirement of Older Men, 1860-1980" 18 : 55-75, 1994
34 이철희, "RETIREMENT EXPECTATIONS OF OLDER SELF-EMPLOYED WORKERS IN KOREA: COMPARISON WITH WAGE AND SALARY WORKERS" 한국경제학회 24 (24): 33-71, 2008
35 OECD, "Pushing Ahead with Reforms in Korea-Labour Market and Social Safety-Net Policies" OECD 2000
36 OECD, "Older but Wiser: Achieving Better Labour Market Prospects for Older Workers in Korea" 2002
37 Squier, L. W, "Old Age Dependency in the United States" Macmillan 1912
38 Carter, S.B., "Myth of the Industrial Scrap Heap: A Revisionist View of Turn-of-the-Century American Retirement" 56 : 5-38, 1996
39 Cutler, D. M., "Measuring the Health of the United States Population, in Brookings Papers on Economic Activity" Microeconomics 217-271,
40 Pencavel, J., "Labor Supply of Men: A Survey" 1 : 3-102, 1986
41 Krueger, A., "Labor Supply Effects of Social Insurance" NBER 2002
42 Lee, C., "Labor Market Status of Older Males in the United States, 1880-1940" 29 : 77-106, 2005
43 Chang, J., "Labor Market Policies in the Era of Population Aging: the Korean Case" Korea Labor Institute 2003
44 Börsch-Supan, Axel, "Labor Market Effects of Population Aging" 17 : 5-44, 2003
45 McGarry, Kathleen, "Health and Retirement: Do Changes in Health Affect Retirement Expectation?" 39 : 624-648, 2004
46 OECD, "Economic Survey of Korea" OECD 2001
47 Manton, K. G., "Chronic Disability Trends in Elderly United States Populations: 1982-1994" 2593-2598,
48 Cowgill, D. O, "Aging and Modernization" 1972
49 Graebner, W., "A History of Retirement: The Meaning and Function of an American Institution" Yale University Press 1980
50 박경숙, "55세 이상 고령자의 노동시장 이탈과정" 3 (3): 103-140, 2003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기준금리 및 편중완화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81 | 1.23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