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민참여 지도화 기법을 활용한 마을 공간 자원 발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scovery of Community Spatial Resources Using the Map Drawing by Residents’ Participation - Focusing on Dusan-Dong and Sang-Dong, Suseong-Gu in Daegu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106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그동안 많은 사례연구가 밝혀왔듯이 마을 자원조사는 도시계획에서 지역 문제에 대한 주민의 참여와 이해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었다. 마을 지도 그리기는 이 과정에서 가장 잘 알려...

      그동안 많은 사례연구가 밝혀왔듯이 마을 자원조사는 도시계획에서 지역 문제에 대한 주민의 참여와 이해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었다. 마을 지도 그리기는 이 과정에서 가장 잘 알려진 기법 중 하나였지만, 지도화 기법 자체와 분석 방법을 개발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거주자의 다양한 관점을 실제계획에 적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인식하면서도 대부분 결과적으로는 자원의 발굴, 개발과 사업화가 여전히 전문가에게 맡겨지고, 주민에 의한, 혹은 주민 관점에서의 자원 발굴과 사업화 분야는 주민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한 부분으로 한정되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에 대한 좀 더 나은 이해와 지역공간 자원조사 기법의 개발을 위해 주민참여에 의한 인지 지도의 적용 가능성과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으로서 대구시 수성구 두산동과 상동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하였으며, 대상지역 주민에게 설문 및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 문헌 및 단순 설문조사에 의한 결과와 대조적으로, 거주자의 인지 지도는 다른 지역의 사람들이 발견하기 어려운 다양한 공간 자원과 문제들을 드러냈다. 둘째, 사전 정보를 주지 않은 인지 지도는 주민의 생활에 더욱 밀접한 공간 자원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조사 응답의 양에 따라 공간의 위상을 결정했던 기존의 연구들이 가질 수 있는 잠재적 오류를 밝힐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many case studies have been addressed, a village resource investigation has been a critical process in urban planning to increase the residents’ participation and their understanding on the regional issues. A village map drawing was the one of th...

      As many case studies have been addressed, a village resource investigation has been a critical process in urban planning to increase the residents’ participation and their understanding on the regional issues. A village map drawing was the one of the popular techniques for the process, but a limit was exist in developing the mapping and analysis techniques. So,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planning application of the residents’ various perspectives, in most cases, the discovery,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resources are still left to experts, and the area of resource discovery and commercialization by residents or from a resident"s perspective is limited to a part of the program to promote community participation. This study aims to reveal an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cognitive map by residents’ participation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gion and for a development of regional spatial resource investigation techniques. Specifically, this study used a case study of Dusan-Dong and Sang-Dong, Suseong-Gu in Daegu conducting a survey and interview. The first result is that, contrast with the findings by simple documents’ investigation and questionnaire, residents’ cognitive map reveals much more spacial resources and issues that are difficult to be found by people from other regions. Second, a cognitive map without preliminary information indicates more diverse spatial resources which are more connected to residents’ life. Finally, during the course of this study, a previous study on community resource exploration was able to identify possible error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which determined the status of the space according to the amount of survey respon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대구시 수성구 두산동⋅상동의 개요 및 사례 선정 배경
      • Ⅳ. 두산동·상동 주민 인지에 의한 마을 공간 자원조사
      • 요약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대구시 수성구 두산동⋅상동의 개요 및 사례 선정 배경
      • Ⅳ. 두산동·상동 주민 인지에 의한 마을 공간 자원조사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