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사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관련 문헌연구, 교육복지우선지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303414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05-314(10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사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관련 문헌연구, 교육복지우선지원...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사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관련 문헌연구,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 17개 시도교육청 및 교육부 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세미나를 실시하여 결과를 보완하였다. 이를 근거로 현 상태를 진단하고 향후 해결해야할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2003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을 시작으로 사업의 효과성이 증명되면서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 그리고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개정 및 교육부 훈령 제정 등을 통해 법적, 제도적 안정성을 확보해 나갔다. 하지만 시도교육청으로 사업이 이양된 이후 사업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점차 축소되고 정체성의 위기마저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분명한 사업의 목적과 방향설정, 중앙정부의 기능 정상화, 초중등교육법 제28조 개정을 통한 ‘학습부진아 등’의 개념보완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ing the status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and providing constructive strategies for future direction. In order to collect data, we have used on-line survey, in-depth interview personnels in charg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ing the status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and providing constructive strategies for future direction. In order to collect data, we have used on-line survey, in-depth interview personnels in charge of 17 school districts and open forum with municipal board members of education along with related literature review. As results, since 2003,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has been proved and the areas have been expanded. Furthermore, institutional stability has been confirmed along with the supports of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s and Ministry of Education Ordinances. However, since the management authority of the project has transferred to 17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t shows the tendency of that the overall programs were not fully activated and gradually stagnated. According to these issues, we proposed various implemental policy suggestions though the revision of Article 28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related law.
참고문헌 (Reference)
1 류방란, "자존감 향상, 우울 불안 감소에 미치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효과 분석" 교육연구소 14 (14): 59-83, 2013
2 김민희, "단위학교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 과정 사례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169-194, 2012
3 이광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사업 재정 배분방안 연구"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 (20): 1-24, 2011
4 조금주,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문제점 및재구조화를 위한 개선 과제" 한국청소년학회 21 (21): 491-513, 2014
5 주석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성과측정을 위한 평가지표 개선방안 연구 −부산지역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3 (33): 107-129, 2017
6 이수정, "교육복지 사업의 실태와 성과에 관한 연구 - ‘교육복지특별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141-1159, 2016
7 "http://www.moe.go.kr/"
8 "http://www.law.go.kr/"
9 "http://www.eduinfo.go.kr/portal/open/openData/dataSetPage.do"
10 "http://kess.kedi.re.kr/index"
1 류방란, "자존감 향상, 우울 불안 감소에 미치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효과 분석" 교육연구소 14 (14): 59-83, 2013
2 김민희, "단위학교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 과정 사례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169-194, 2012
3 이광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사업 재정 배분방안 연구"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 (20): 1-24, 2011
4 조금주,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문제점 및재구조화를 위한 개선 과제" 한국청소년학회 21 (21): 491-513, 2014
5 주석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성과측정을 위한 평가지표 개선방안 연구 −부산지역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3 (33): 107-129, 2017
6 이수정, "교육복지 사업의 실태와 성과에 관한 연구 - ‘교육복지특별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141-1159, 2016
7 "http://www.moe.go.kr/"
8 "http://www.law.go.kr/"
9 "http://www.eduinfo.go.kr/portal/open/openData/dataSetPage.do"
10 "http://kess.kedi.re.kr/index"
11 Kim, Kyung Ae, "Study on promotion policy of site-centered autonomous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1
12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port on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and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in 2014"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1
13 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Glossary of educational psychology" Hakjisa 2000
14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Plan white paper"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8
15 Institute Of Educational Welfare Policy,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Hanyang University 2017
모래 상자 놀이 기반 심리 진단 전문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CFRP로 구성된 CT시험편의 섬유설계에 의한 적층구조에 따른 인장 특성 연구
DSM 진단 기준을 이용한 ADHD 진단 전문가시스템 구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9-12-01 | 평가 | 등재 탈락 (기타)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3 | 0.32 | 0.407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