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평가 현장의 전문성과 관련하여 한국어 능력 평가 문항 개발에 필요한 지침서 개발과 사용에 관한 주요 내용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들을 통하여 지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평가 현장의 전문성과 관련하여 한국어 능력 평가 문항 개발에 필요한 지침서 개발과 사용에 관한 주요 내용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들을 통하여 지침...
이 연구는 평가 현장의 전문성과 관련하여 한국어 능력 평가 문항 개발에 필요한 지침서 개발과 사용에 관한 주요 내용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들을 통하여 지침서를 개발하고 평가 문항을 작성하였으며, 평가 문항 개발에 지침서가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그 결과 평가 문항 개발을 위한 지침서 사용은 문항 개발자에게 몇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첫째, 지침서 개발과 문항 작성 과정을 통하여 평가 항목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지침서 사용은 동형의 문항을 제작하고 구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마지막으로, 지침서를 사용하면 실제 평가 문항을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평가 문항 작성을 위한 지침서 사용의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인 논의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지침서 사용은 거의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침서 사용을 통하여 교사들에게 평가 문항 개발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 하고 평가 활동이 고부담의 교육 활동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지침서를 개발하여 실용성과 현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great number of teacher have difficulties in evaluating students due to the lack of practical training or education. Reflecting the circumstances, a lot of related literature points out that the teacher’ evaluation professionalism should be recons...
A great number of teacher have difficulties in evaluating students due to the lack of practical training or education. Reflecting the circumstances, a lot of related literature points out that the teacher’ evaluation professionalism should be reconsider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general situations of the use of test specifica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settings, and finally to provide some suggestions for developing test specifications. Use of test specifications provides their developer and items writers with several advantages. First, through the process of developing item writing strategies, their developer will have chance to ponder the validity of test items. In addition, item writing strategies serve as guidelines for item construction, contributing to constructing homegeneous items. In spite of these advantages, item writing strategies are not used widel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settings, since use of them causes extra work for teachers. Thus we need to develop ways to minimize the burden on teachers, while increasing the applicability and practicality of test specification to real test item writing situation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상수, "발문 원고에 나타난 교사와 학습자의 상호 작용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2 : 29-51, 2015
2 신동일, "문항개발 과정에서 시험작성 세부계획서의 역할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7 (17): 257-279, 2010
3 Arthur Hughes, "Testing For Language Teachers" Cambridge University 2003
4 Davidson, F, "Test of a teacher's guide to writing and using language test specifications" Yale University Press 2002
5 D, Cho, "Study on item writing strategies for English tests" The Korea Association of Teachers of English 52 (52): 135-159, 1997
6 B, Im, "Problems in High School English Teacher-Made Tests" The Korea Association of Teachers of English 50 (50): 1-18, 1995
7 D, Shin, "On the issue of test specifications in the development of a criterion-referenced achievement test, English Teaching" The Korea Association of Teachers of English 55 (55): 309-330, 2000
8 Bachman, L. F, "Language testing in practice"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9 H, Dougleas Brown, "Language Assessment - principles and classroom practices" Pearson Longman, Inc 2004
10 Popham, W, "Criterion- referenced measurement" Prentice Hall 1978
1 김상수, "발문 원고에 나타난 교사와 학습자의 상호 작용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2 : 29-51, 2015
2 신동일, "문항개발 과정에서 시험작성 세부계획서의 역할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7 (17): 257-279, 2010
3 Arthur Hughes, "Testing For Language Teachers" Cambridge University 2003
4 Davidson, F, "Test of a teacher's guide to writing and using language test specifications" Yale University Press 2002
5 D, Cho, "Study on item writing strategies for English tests" The Korea Association of Teachers of English 52 (52): 135-159, 1997
6 B, Im, "Problems in High School English Teacher-Made Tests" The Korea Association of Teachers of English 50 (50): 1-18, 1995
7 D, Shin, "On the issue of test specifications in the development of a criterion-referenced achievement test, English Teaching" The Korea Association of Teachers of English 55 (55): 309-330, 2000
8 Bachman, L. F, "Language testing in practice"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9 H, Dougleas Brown, "Language Assessment - principles and classroom practices" Pearson Longman, Inc 2004
10 Popham, W, "Criterion- referenced measurement" Prentice Hall 1978
11 W, Lee, "A Guide to English Language Test" Moonjinmedia 2003
모래 상자 놀이 기반 심리 진단 전문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CFRP로 구성된 CT시험편의 섬유설계에 의한 적층구조에 따른 인장 특성 연구
DSM 진단 기준을 이용한 ADHD 진단 전문가시스템 구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9-12-01 | 평가 | 등재 탈락 (기타)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3 | 0.32 | 0.407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