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음악과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지역 축제 활성화 및 문화산업 활성화 연구: 한국, 러시아의 축제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899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지역 축제의 문제점을 살펴본 후 지역 축제가 나아갈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세계적으로 문화예술이 강조되는 관광산업의 추세 속에서 음악을 연계하여 지역 축제를 활성화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개최되고 있는 지역 축제의 발전과정과 문제점을 짚어보고, 현재 정부가 주도하는 관광 전략을 확인하였으며, 문화콘텐츠와 연계한 문화예술관광과 공연예술 축제의 성공 가능성을 알아본 후 문화콘텐츠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전략으로 스토리텔링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치밀한 스토리텔링 전략을 통해 차별화된 음악 축제로써 잘츠부르크 페스티벌, 브레겐츠 페스티벌, 몬트리올 국제 재즈 페스티벌의 사례를 검토한 후 국내 음악 축제에 스토리텔링을 적용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연구하였다. 끝으로, 저자가 개최했던 한국 · 러시아의 여러 축제 및 연주회를 스토리텔링이 적용된 축제의 성공적인 개최 사례로 제시하였으며, 향후 음악 축제의 전망을 밝혔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지역 축제의 문제점을 살펴본 후 지역 축제가 나아갈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세계적으로 문화예술이 강조되는 관광산업의 추세 속에서 음악을 연계하여 지역 축제를 활...

      본 논문은 지역 축제의 문제점을 살펴본 후 지역 축제가 나아갈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세계적으로 문화예술이 강조되는 관광산업의 추세 속에서 음악을 연계하여 지역 축제를 활성화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개최되고 있는 지역 축제의 발전과정과 문제점을 짚어보고, 현재 정부가 주도하는 관광 전략을 확인하였으며, 문화콘텐츠와 연계한 문화예술관광과 공연예술 축제의 성공 가능성을 알아본 후 문화콘텐츠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전략으로 스토리텔링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치밀한 스토리텔링 전략을 통해 차별화된 음악 축제로써 잘츠부르크 페스티벌, 브레겐츠 페스티벌, 몬트리올 국제 재즈 페스티벌의 사례를 검토한 후 국내 음악 축제에 스토리텔링을 적용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연구하였다. 끝으로, 저자가 개최했던 한국 · 러시아의 여러 축제 및 연주회를 스토리텔링이 적용된 축제의 성공적인 개최 사례로 제시하였으며, 향후 음악 축제의 전망을 밝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tried to examine the problems of local festivals and to examine the future direction of local festivals. In particular, it tried to find a way to revitalize local festivals by linking music in the trend of the tourism industry, where culture and arts are emphasized worldwide. To this end, it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and problems of local festivals held in Korea, and confirms the tourism strategy currently led by the government. In addition, it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success of cultural art tourism and performing arts festivals linked with cultural contents. After that, it presented storytelling as a strategy to effectively show cultural contents. And after examining the cases of Salzburg Festival, Bregenz Festival, and Montreal International Jazz Festival as differentiated music festivals through a detailed storytelling strategy, I studied specific ways to apply storytelling to domestic music festival. Finally, I presented the various festivals and concerts in Korea and Russia that I had hosted as successful cases of festivals that applied storytelling, and revealed the prospects for future music festivals.
      번역하기

      This thesis tried to examine the problems of local festivals and to examine the future direction of local festivals. In particular, it tried to find a way to revitalize local festivals by linking music in the trend of the tourism industry, where cultu...

      This thesis tried to examine the problems of local festivals and to examine the future direction of local festivals. In particular, it tried to find a way to revitalize local festivals by linking music in the trend of the tourism industry, where culture and arts are emphasized worldwide. To this end, it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and problems of local festivals held in Korea, and confirms the tourism strategy currently led by the government. In addition, it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success of cultural art tourism and performing arts festivals linked with cultural contents. After that, it presented storytelling as a strategy to effectively show cultural contents. And after examining the cases of Salzburg Festival, Bregenz Festival, and Montreal International Jazz Festival as differentiated music festivals through a detailed storytelling strategy, I studied specific ways to apply storytelling to domestic music festival. Finally, I presented the various festivals and concerts in Korea and Russia that I had hosted as successful cases of festivals that applied storytelling, and revealed the prospects for future music festiva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지역 축제의 의미와 현황
      • Ⅲ.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을 연계한 축제
      • Ⅳ. 지역 축제의 활성화 방안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지역 축제의 의미와 현황
      • Ⅲ.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을 연계한 축제
      • Ⅳ. 지역 축제의 활성화 방안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함양산삼항노화EXPO 홈페이지"

      2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3 이상일, "한국인의 굿과 놀이" 문음사 1987

      4 박미경, "한국의 음악축제 현황" 아시아음악학 총서 439-455, 2008

      5 임재해, "한국민속과 오늘의 문화" ㈜지식산업사 1994

      6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7 이태희, "한국관광지 이미지 측정척도의 개발" 20 (20): 80-95, 1997

      8 류정아, "한국 축제와 지역문화 콘텐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9 대한경제, "파주도시관광공사의 반려동물 종합테마파크 조성사업타당성 및 기본구상 용역 착수보고회 개최"

      10 "통계청"

      1 "함양산삼항노화EXPO 홈페이지"

      2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3 이상일, "한국인의 굿과 놀이" 문음사 1987

      4 박미경, "한국의 음악축제 현황" 아시아음악학 총서 439-455, 2008

      5 임재해, "한국민속과 오늘의 문화" ㈜지식산업사 1994

      6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7 이태희, "한국관광지 이미지 측정척도의 개발" 20 (20): 80-95, 1997

      8 류정아, "한국 축제와 지역문화 콘텐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9 대한경제, "파주도시관광공사의 반려동물 종합테마파크 조성사업타당성 및 기본구상 용역 착수보고회 개최"

      10 "통계청"

      11 옴스크 뉴스, "클래식 음악 축제가 옴스크에 돌아온다"

      12 정지은, "케이팝(K-POP)을 위한 스토리텔링 전략에 관한 연구 : 방탄소년단(BTS)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산업학회 19 (19): 63-72, 2019

      13 김영순, "축제와 문화콘텐츠" 다할미디어 2006

      14 전영신 ; 김현지, "축제 스토리텔링이 축제 브랜드자산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독경상학회 38 (38): 107-133, 2020

      15 박미경, "지역축제문화에서의 음악축제 위상" 3 : 25-44, 2010

      16 한호성, "지역축제 스토리텔링속성에 의한 몰입이 브랜드이미지와 지역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30 (30): 73-90, 2016

      17 이장한, "지역축제 성공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연구 : 파주지역 축제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07

      18 박종일, "지역문화정책 거버넌스 활성화 요인 및 참여 주체 간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 충남 계룡시의 지역축제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0

      19 김태헌 ; 박숙진,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관광자원개발과 관광정책의 역할" 한국콘텐츠학회 11 (11): 403-412, 2011

      20 김종원,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경영전략 방안연구 -지역축제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50) : 45-64, 2008

      21 전명숙 ; 김근종, "지속가능한 지역축제의 스토리텔링 요소 분석 -2010 세계대백제전을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 20 (20): 87-95, 2010

      22 "정책연구관리시스템"

      23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전통문화와 서양문화-그 충격과 수용의측면에서 2, 총 2권"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7

      24 "잘츠부르크 관광 프로그램"

      25 김태관, "음악축제 활성화요인에 관한 분석 연구 : 제주국제관악제와 제주국제합창제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1

      26 정혜윤, "음악에 대한 공감, 가능하며 유효한가?" 음악연구소 25 (25): 171-202, 2018

      27 유럽문화정보센터, "유럽의 축제문화"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

      28 박종호, "유럽 음악축제 순례기" 시공사 2012

      29 김광호,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길잡이"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20

      30 김정희, "영상콘텐츠 기획을 위한 스토리텔링 전략 - 서사적 보편소 모델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산업학회 10 (10): 168-184, 2010

      31 서정미, "에든버러 공연예술 축제의 구조와 기능 연구 - 인터내셔널, 프린지, 로열 밀리터리 타투를 중심으로 -"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41) : 115-130, 2019

      32 백미숙, "스피치"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33 윤웅세 ; 정성화,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한국전통문화 세계화 방안 연구: 의례 상차림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산업학회 14 (14): 9-19, 2013

      34 "세계여행관광협회 홈페이지"

      35 류정아, "세계 축제의 향연" 도서출판 심미안 2015

      36 김춘식, "세계 축제경영" 김영사 2002

      37 다빈치 축제 편집팀, "세계 축제 100" ㈜도서출판 다빈치 2016

      38 송은아 ; 임준묵, "성공적인 지역축제를 위한 스토리텔링의 도입– 산수유 축제를 중심으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1 (11): 37-46, 2017

      39 "빌보드 박스 스코어"

      40 "브레겐츠 페스티벌 홈페이지"

      41 Jensen, Rolf, "미래 경영의 지배자들" 리드리드 출판사 2017

      42 인문콘텐츠학회, "문화콘텐츠 입문" 북코리아 2006

      43 김현식, "문화콘텐츠 DNA스토리텔링" 북코리아 2019

      44 "문화체육관광부"

      45 뉴스저널, "문화예술을 고부가가치산업으로 활용한 성공사례: 오스트리아 브레겐츠 오페라 페스티벌"

      46 윤장원, "문화예술 축제의 운영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통영국제음악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2014

      47 신현식, "문화관광축제 스토리텔링 속성 분석에 관한 연구 -효석문화제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19) : 511-532, 2010

      48 안대희, "문화관광론" 백산출판사 2020

      49 "몬트리올 국제 재즈 페스티벌"

      50 길윤미, "러시아-유라시아 지역의 축제문화 비교 연구" 1 (1): 99-125, 2019

      51 황영삼, "러시아 축제문화 속에 나타난 러시아인의 특징" 17 (17): 77-94, 2001

      52 전혜진, "러시아 축제 문화와 언어 연구 -고골의 “이반 꾸빨라 전야”와 “크리스마스 이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슬라브어학회 22 (22): 101-117, 2017

      53 "러시아 옴스크 국제 문화 교류 협업 파트너 회담"

      54 "러시아 연방 정부의 통계 사이트"

      55 이광희, "도시를 살리는 문화관광" 박영사 2020

      56 박송희, "대중음악축제의 기획에 관한 연구 : 주요 대중음악축제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2006

      57 장용석, "대중음악축제 활성화 방안 연구 : 광주월드뮤직페스티벌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3

      58 서수진, "대구음악제의 활성화방안 연구"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2011

      59 정은정, "다차원적도법을 이용한 대중음악축제 지각도 분석-이미지, 속성 및 선호도 분석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2011

      60 송시열, "광주·전남지역축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8 (8): 385-408, 2003

      61 이종관 ; 황규봉 ; 전기흥, "관광지의 스토리텔링과 재방문의도: 전주한옥마을을 대상으로" 한국문화산업학회 14 (14): 75-82, 2014

      62 김주연, "관광 스토리텔링" ㈜백산출판사 2021

      63 이채영, "경주 지역 축제의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제47회 신라문화제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회 (56) : 87-122, 2019

      64 Robinson, Jenefer, "감정, 이성보다 깊은: 감정 그리고 문학·음악·예술에서의 감정의 역할" 북코리아 2015

      65 Wirtschaftskammer Salzburg, "Report Salzburg Festival: Economic engine, excellence infusion for the location" 2017

      66 Wynn, Jonathan R., "Music/Ci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5

      67 EKOS, "Music Sector Review—Final Report for Creative Scotland" EKOS(Ecomoics and Social Developement) 2014

      68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69 Webster, Emma, "FromGlyndebourne toGlastonbury:The Impact of British Festivals" Art and Humanities Research Council/University of East Anglia 2016

      70 Donlon, Jon Griffin, "Festival Events and Cultural Capital" 10 : 181-188, 2009

      71 Richards, Gerg, "Eventful Cities: Cultural Management andUrban Revitalisation" Elsevier 2010

      72 Mintel Group, "Cultural and Heritage Tourism-International Travel &TourismAnalyst" Mintel International Group Ltd. 2004

      73 Smith, Melanie, "Cultural Tourism in a Changing World: Politics, Participation and (Re)presentation" Channel ViewPublications 2006

      74 경남도민신문, "2020함양산삼항노화엑스포 함양 미래 먹거 리, 산삼이 답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무역학회 -> 한국문화산업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Culture And International Trade -> Korea Society of Culture Industr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3 1.366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