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중교통환승을 중심으로 한 자전거 접근 시설의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0280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친환경적 교통수단으로의 전환은 교통정책의 국제화 추세이며 우리나라도 세계적인 추세에 적합한 교통전략으로의 전환이 불가피 해졌다. 이러한 시점에서 대두되는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교통전략으로서 자전거의 이용과 대중교통의 활성화를 들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자전거를 교통수단으로 인식하는 것과 자전거를 대중교통과 연계하여 이용 가능한 자전거 연계환승시설의 설치가 필요하다.
      자전거와 대중교통수단과의 연계를 통해 교통수단으로서의 활용성을 높이면 대중교통 특히 도시철도의 문제점인 출발지와 도착지의 문전 접근성을 높일 수 있으며 기존의 교통 수요를 대체하여 친환경 교통으로 전환을 기대할 수 있다. 자전거 교통의 선진국에서는 자전거 이용활성화 사업을 대규모로 추진하였고 그 결과 커다란 효과를 얻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자전거 이용활성화에 대한 사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자전거를 교통수단으로서 이용하기위한 대중교통과 자전거의 연계에 관한 실제적인 환경, 디자인 기준이 미약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를 중심으로 한 대중교통 환승센터의 자전거 접근시설을 역사유형과 동선에 따라 분류하고 교통, 공공시설로서의 디자인 평가를 통하여 분석하고 디자인 요소를 제시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대중교통환승에 따른 자전거 접근시설의 디자인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먼저 선행연구와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서 근거리대중교통환승의 유형과 자전거와 연계된 교통환승 유형을 분류 하여 도식화 한다. 근거리 대중교통환승은 도시철도 역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시철도역사 유형을 고려하여 자전거의 접근에 대한 연계환승시설의 주요 요소를 공간의 연결에 따라 재배열한다. 디자인평가 논문, 공공디자인사례, 자전거 관련 법규 분석을 통해 디자인평가 요소를 도출하여 평가표를 작성한다. 서울과 인천의 근거리 대중교통환승과 자전거 연계현황, 연계환승시설의 사례조사와 평가표를 통한 분석을 통해 자전거 접근시설 디자인평가 요소의 적정성 검토와 디자인방향에 대해 종합한 후, 디자인 요소를 정의 한다.
      이상의 과정을 전개한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거리 대중교통환승의 중심인 도시철도 역사의 형태를 역시설의 위치에 따라 분류하고 승하차 동선에 따라 자전거 접근 시설을 역 외부시설, 내부시설, 이동시설, 차량 내 시설로 분류하였다.
      둘째, 자전거 시설관련 지침, 규칙과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 공공디자인평가 논문의 사례분석을 통해 디자인 고려요소를 접근성, 안전성, 사용성, 공간합리성으로 정리하고 4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평가표를 작성하였다. 시설에 대한 요소의 중요도는 접근성, 안전성, 사용성, 공간합리성 순이다.
      셋째, 서울, 인천 4개역의 환승 공간 동선분석, 국내, 국외자전거 주차시설, 경사로와 전동슬로프, 입구와 연결로, 열차 내 자전거 거치 시설, 자전거 사인시스템을 조사하였다.
      넷째, 평가표를 기준으로 분석을 통해 자전거 주차시설의 공간부족, 주차대수의 부족, 대중교통과의 접근성, 자전거 도로와의 단절, 체계적인 자전거 사인시스템의 부재의 문제와 자전거 휴대 탑승시 역사 내 이동과 차량 고정시설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향으로 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다층 주차시스템과 공간 활용방안, 사용요구에 따른 주차시설 다변화, 보행로?자전거도로?차도의 분리와 자전거도로의 연결, 제한적인 시설의 효율적 이용과 동선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위한 안내 및 유도 사인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그에 따른 디자인 요소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친환경적 교통수단으로의 전환은 교통정책의 국제화 추세이며 우리나라도 세계적인 추세에 적합한 교통전략으로의 전환이 불가피 해졌다. 이러한 시점에서 대두되는 환경적으로 지속가능...

      친환경적 교통수단으로의 전환은 교통정책의 국제화 추세이며 우리나라도 세계적인 추세에 적합한 교통전략으로의 전환이 불가피 해졌다. 이러한 시점에서 대두되는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교통전략으로서 자전거의 이용과 대중교통의 활성화를 들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자전거를 교통수단으로 인식하는 것과 자전거를 대중교통과 연계하여 이용 가능한 자전거 연계환승시설의 설치가 필요하다.
      자전거와 대중교통수단과의 연계를 통해 교통수단으로서의 활용성을 높이면 대중교통 특히 도시철도의 문제점인 출발지와 도착지의 문전 접근성을 높일 수 있으며 기존의 교통 수요를 대체하여 친환경 교통으로 전환을 기대할 수 있다. 자전거 교통의 선진국에서는 자전거 이용활성화 사업을 대규모로 추진하였고 그 결과 커다란 효과를 얻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자전거 이용활성화에 대한 사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자전거를 교통수단으로서 이용하기위한 대중교통과 자전거의 연계에 관한 실제적인 환경, 디자인 기준이 미약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를 중심으로 한 대중교통 환승센터의 자전거 접근시설을 역사유형과 동선에 따라 분류하고 교통, 공공시설로서의 디자인 평가를 통하여 분석하고 디자인 요소를 제시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대중교통환승에 따른 자전거 접근시설의 디자인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먼저 선행연구와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서 근거리대중교통환승의 유형과 자전거와 연계된 교통환승 유형을 분류 하여 도식화 한다. 근거리 대중교통환승은 도시철도 역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시철도역사 유형을 고려하여 자전거의 접근에 대한 연계환승시설의 주요 요소를 공간의 연결에 따라 재배열한다. 디자인평가 논문, 공공디자인사례, 자전거 관련 법규 분석을 통해 디자인평가 요소를 도출하여 평가표를 작성한다. 서울과 인천의 근거리 대중교통환승과 자전거 연계현황, 연계환승시설의 사례조사와 평가표를 통한 분석을 통해 자전거 접근시설 디자인평가 요소의 적정성 검토와 디자인방향에 대해 종합한 후, 디자인 요소를 정의 한다.
      이상의 과정을 전개한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거리 대중교통환승의 중심인 도시철도 역사의 형태를 역시설의 위치에 따라 분류하고 승하차 동선에 따라 자전거 접근 시설을 역 외부시설, 내부시설, 이동시설, 차량 내 시설로 분류하였다.
      둘째, 자전거 시설관련 지침, 규칙과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 공공디자인평가 논문의 사례분석을 통해 디자인 고려요소를 접근성, 안전성, 사용성, 공간합리성으로 정리하고 4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평가표를 작성하였다. 시설에 대한 요소의 중요도는 접근성, 안전성, 사용성, 공간합리성 순이다.
      셋째, 서울, 인천 4개역의 환승 공간 동선분석, 국내, 국외자전거 주차시설, 경사로와 전동슬로프, 입구와 연결로, 열차 내 자전거 거치 시설, 자전거 사인시스템을 조사하였다.
      넷째, 평가표를 기준으로 분석을 통해 자전거 주차시설의 공간부족, 주차대수의 부족, 대중교통과의 접근성, 자전거 도로와의 단절, 체계적인 자전거 사인시스템의 부재의 문제와 자전거 휴대 탑승시 역사 내 이동과 차량 고정시설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향으로 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다층 주차시스템과 공간 활용방안, 사용요구에 따른 주차시설 다변화, 보행로?자전거도로?차도의 분리와 자전거도로의 연결, 제한적인 시설의 효율적 이용과 동선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위한 안내 및 유도 사인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그에 따른 디자인 요소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ransition to environment- friendly transport means is international trend and it is unavoidable for our country to move toward the transport strategy which fits this trend. As th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transport strategy raised at this point, riding a bicycle and activation of public transport can be said. For this, it is necessary for people to recognize bicycle as the means of transport and the connected transfer facilities for bicycle to connect public transport should be arranged.
      If bicycle is more used as the means of transport through connection between bicycle and public transport, the accessibility to entrance of starting point and destination can be improved. Now public transport, especially urban railroad shows problem in the accessibility to entrance of starting point and destination. The transition to environment-friendly transport is expected replacing existing transport demand through smooth connection bicycle and public transport. The advanced countries in the field of bicycle transport proceeded, in large scale, activation of riding bicycle to solve rapidly growing urban environment problems and the endeavor is leading to successful result. Though our country is proceeding business for activation of riding bicycle, it is true that practical environment and the design standard related to connection between public transport and bicycle is poo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ransfer center of public transport and facilities accessible by bicycle centered on railway station according to type and moving line of railway station, and to analyze through evaluation on design as transport and public facilities and to suggest design element.
      The study method and procedure is as follows. This study made diagram classifying the types of short distance public transport transfer and the types of transport transfer connected to bicycle to draw design element of facilities accessible by bicycle based on public transport transfer through precedent research and internet site. Because short distance public transport transfer is made focusing on urban railroad station, main elements of connected transfer facilities for access of bicycle are re-arranged according to connection of space considering the types of urban railroad station. The evaluation sheet is made out drawing elements for design evaluation through analysis of articles for design evaluation, public design cases and bicycle related law. And design elements are defined after review on reasonableness of design evaluation elements for facilities accessible by bicycle and synthesis of design direction through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connection bicycle and short distance public transport transfer in Seoul and Incheon, case survey of connected transfer facilities and evaluation sheet.
      The result based on above procedure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lassified the forms of railroad station which is the center of short distance public transport transfer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station facilities and also classified the facilities accessible by bicycle into external facility, internal facility, movable facility and facility inside vehicles according to the flow line of take- on and get- off.
      Second, this study clarified design consideration elements into accessibility, safety, usability and space reasonableness through analysis of guidances related to bicycle facilities, rules and urban design guidelines and cases of public design evaluation articles, and then the evaluation sheet was made out based on these four elements. The order based on the importance degree of elements for facilities is accessibility which is most, safety, usability and space reasonableness, the least.
      Third, this study analysed the line of flow in the transfer space of four stations in Seoul and Incheon, and examined domestic and foreign parking facility for bicycle, inclined road and motorized slope, entrance and connecting road, facility fixing bicycle inside train and bicycle sign system.
      Fourth, through analysis based on evaluation sheet, this study drew the problems : lack of space for parking bicycle, lack of bicycles parked,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 severance to bicycle road, absence of systematic bicycle sign system. And there is problem in movement of bicycle in the station and fixing facility, when people take on train carrying bicycle. Thus this study suggests the solution for improvement : multiple floor parking system for efficient use of space and space use methods, diversification of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needs, separation of walk road, bicycle road and drive way, connection of bicycle road. And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necessity of guide sign system for efficient use of limited facility and natural flow line together with design elements for the suggestions.
      번역하기

      The transition to environment- friendly transport means is international trend and it is unavoidable for our country to move toward the transport strategy which fits this trend. As th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transport strategy raised at this poin...

      The transition to environment- friendly transport means is international trend and it is unavoidable for our country to move toward the transport strategy which fits this trend. As th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transport strategy raised at this point, riding a bicycle and activation of public transport can be said. For this, it is necessary for people to recognize bicycle as the means of transport and the connected transfer facilities for bicycle to connect public transport should be arranged.
      If bicycle is more used as the means of transport through connection between bicycle and public transport, the accessibility to entrance of starting point and destination can be improved. Now public transport, especially urban railroad shows problem in the accessibility to entrance of starting point and destination. The transition to environment-friendly transport is expected replacing existing transport demand through smooth connection bicycle and public transport. The advanced countries in the field of bicycle transport proceeded, in large scale, activation of riding bicycle to solve rapidly growing urban environment problems and the endeavor is leading to successful result. Though our country is proceeding business for activation of riding bicycle, it is true that practical environment and the design standard related to connection between public transport and bicycle is poo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ransfer center of public transport and facilities accessible by bicycle centered on railway station according to type and moving line of railway station, and to analyze through evaluation on design as transport and public facilities and to suggest design element.
      The study method and procedure is as follows. This study made diagram classifying the types of short distance public transport transfer and the types of transport transfer connected to bicycle to draw design element of facilities accessible by bicycle based on public transport transfer through precedent research and internet site. Because short distance public transport transfer is made focusing on urban railroad station, main elements of connected transfer facilities for access of bicycle are re-arranged according to connection of space considering the types of urban railroad station. The evaluation sheet is made out drawing elements for design evaluation through analysis of articles for design evaluation, public design cases and bicycle related law. And design elements are defined after review on reasonableness of design evaluation elements for facilities accessible by bicycle and synthesis of design direction through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connection bicycle and short distance public transport transfer in Seoul and Incheon, case survey of connected transfer facilities and evaluation sheet.
      The result based on above procedure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lassified the forms of railroad station which is the center of short distance public transport transfer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station facilities and also classified the facilities accessible by bicycle into external facility, internal facility, movable facility and facility inside vehicles according to the flow line of take- on and get- off.
      Second, this study clarified design consideration elements into accessibility, safety, usability and space reasonableness through analysis of guidances related to bicycle facilities, rules and urban design guidelines and cases of public design evaluation articles, and then the evaluation sheet was made out based on these four elements. The order based on the importance degree of elements for facilities is accessibility which is most, safety, usability and space reasonableness, the least.
      Third, this study analysed the line of flow in the transfer space of four stations in Seoul and Incheon, and examined domestic and foreign parking facility for bicycle, inclined road and motorized slope, entrance and connecting road, facility fixing bicycle inside train and bicycle sign system.
      Fourth, through analysis based on evaluation sheet, this study drew the problems : lack of space for parking bicycle, lack of bicycles parked,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 severance to bicycle road, absence of systematic bicycle sign system. And there is problem in movement of bicycle in the station and fixing facility, when people take on train carrying bicycle. Thus this study suggests the solution for improvement : multiple floor parking system for efficient use of space and space use methods, diversification of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needs, separation of walk road, bicycle road and drive way, connection of bicycle road. And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necessity of guide sign system for efficient use of limited facility and natural flow line together with design elements for the sugges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 Ⅱ. 근거리대중교통환승과 자전거 이용시설 6
      • 1. 대중교통환승의 개요 6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 Ⅱ. 근거리대중교통환승과 자전거 이용시설 6
      • 1. 대중교통환승의 개요 6
      • 1.1. 대중교통의 개념 6
      • 1.2. 환승의 개념 6
      • 1.3. 대중교통환승체계의 유형과 동선 8
      • 1.3.1. 환승의 유형 8
      • 1.3.2. 자전거와 대중교통 복합연계의 유형 12
      • 1.3.3. 동선분류 14
      • 2. 자전거이용시설의 이해 18
      • 2.1. 공공자전거시설 18
      • 2.2. 자전거 도로 20
      • 2.2.1. 자전거 전용 도로 20
      • 2.2.2. 자전거 보행자 겸용 도로 20
      • 2.2.3. 자전거 자동차 겸용 도로 21
      • 2.3. 자전거 주차시설 23
      • 2.4. 기타시설 29
      • Ⅲ. 선행연구 고찰과 평가요소 31
      • 1. 공공디자인평가사례분석 31
      • 1.1. 공공디자인 31
      • 1.2. 공공디자인평가 논문 32
      • 1.2.1. 공공디자인 평가시스템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32
      • 1.2.2. 공항철도 실내 환경디자인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 33
      • 1.3.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 33
      • 1.3.1.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 34
      • 1.3.2. 캐나다 토론토 디자인 가이드라인 35
      • 1.3.3. 싱가포르 도심부의 디자인 가이드라인 35
      • 1.4. 자전거 시설 관련규정 36
      • 2. 디자인평가 요소 선정 38
      • 2.1. 디자인 평가 구성요소 38
      • 2.2. 공간의 이동에 따른 자전거 접근시설의 구분 40
      • 2.3. 평가구성요소에 따른 중요도 분석 41
      • 2.4. 자전거 접근시설 디자인 평가표 43
      • Ⅳ. 접근시설의 국내외 동향과 환승역 분석 45
      • 1. 국내외 대중교통과 자전거 접근시설 동향 및 분석 45
      • 1.1. 국내 대중교통과 자전거 접근시설 동향 45
      • 1.1.1. 진입로 45
      • 1.1.2. 경사로와 전동슬로프 47
      • 1.1.3. 자전거 주차시설 49
      • 1.1.4. 열차 내 거치시설 54
      • 1.1.5. 개찰구 56
      • 1.1.6. 자전거 사인시스템 57
      • 1.1.7. 소결 58
      • 1.2. 해외 대중교통과 자전거 접근시설 동향 59
      • 1.2.1. 진입로 59
      • 1.2.2. 경사로와 전동슬로프 60
      • 1.2.3. 자전거 주차시설 61
      • 1.2.4. 열차 내 거치시설 64
      • 1.2.5. 자전거 사인시스템 65
      • 1.2.6. 소결 67
      • 2. 대중교통환승과 자전거 접근시설의 동선분석 68
      • 2.1. 대중교통환승과 자전거 접근시설 동선사례 68
      • 2.1.1. 신도림역 69
      • 2.1.2. 송내역 72
      • 2.1.3. 성내역 77
      • 2.1.4. 부평역 81
      • 3. 분석종합 85
      • 3.1. 동선사례 분석종합 85
      • 3.2. 디자인 방향 제안 87
      • 3.2.1. 자전거 주차시설의 위치 선정 88
      • 3.2.2. 자전거 휴대 허용 출입구 선정 89
      • Ⅴ. 결론 90
      • 참고문헌 92
      • 부록 95
      • 영문요약(ABSTRACT) 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