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적 인간을 키우기 위한 유교적 가르침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공자의 ‘배움(學)’의 개념을 비교철학적으로 연구하여, 이것이 후기 근대적 관점에서 의미 있게 재해석될 수 있는 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89214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도덕적 인간을 키우기 위한 유교적 가르침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공자의 ‘배움(學)’의 개념을 비교철학적으로 연구하여, 이것이 후기 근대적 관점에서 의미 있게 재해석될 수 있는 방...
도덕적 인간을 키우기 위한 유교적 가르침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공자의 ‘배움(學)’의 개념을 비교철학적으로 연구하여, 이것이 후기 근대적 관점에서 의미 있게 재해석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할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후기 근대적 관점에서 서구의 ‘철학적 사유’ 개념을 새롭게 분석하고 독창적으로 재해석한 한나 아렌트의 논의를 살펴본다. 이어서 공자의 ‘배움(學)’ 개념에서 ‘사유(思)’가 관여하는 방식과 그 성격을 분석할 것이다. 그리하여 동서양 인문적 전통에서 인격의 형성에 ‘사유’가 개입하는 두 가지 차별적 방식을 드러내고, 이것이 후기근대 인문성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살펴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