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초급 교재에서‘이/가’, ‘은/는’의 제시 방법에 대한 연구 = Study on Methods of Presenting ‘i/ka’ and ‘eun/neun’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Begin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285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sually ‘i/ka’ is used as a subject marker and ‘eun/neun’ is used as a topic marker in Korean language. These two particles are learned in the early stag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Korean leaners experienc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nd distinguishing the meanings and use of them even after their proficiency is reached to a higher level. This paper supposes the learners‘ difficulties are in large part resulted from lack of systematic learning of ‘i/ka’ and ‘eun/neun’, especially the meanings and contexts of them. Thus, this study sought to suggest methods of presenting ‘i/ka’ and ‘eun/neun’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beginners level. To this end, the meanings and contexts where ‘i/ka’ and ‘eun/neun’ are used were discussed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also analysed to identify problems of presentation methods of ‘i/ka’ and ‘eun/neun’. Contents of explanation, presentation methods, example sentences, and practices of these two particles which should be presented in the textbook were sugges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previous studies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번역하기

      Usually ‘i/ka’ is used as a subject marker and ‘eun/neun’ is used as a topic marker in Korean language. These two particles are learned in the early stag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Korean leaners experience difficulties in unders...

      Usually ‘i/ka’ is used as a subject marker and ‘eun/neun’ is used as a topic marker in Korean language. These two particles are learned in the early stag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Korean leaners experienc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nd distinguishing the meanings and use of them even after their proficiency is reached to a higher level. This paper supposes the learners‘ difficulties are in large part resulted from lack of systematic learning of ‘i/ka’ and ‘eun/neun’, especially the meanings and contexts of them. Thus, this study sought to suggest methods of presenting ‘i/ka’ and ‘eun/neun’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beginners level. To this end, the meanings and contexts where ‘i/ka’ and ‘eun/neun’ are used were discussed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also analysed to identify problems of presentation methods of ‘i/ka’ and ‘eun/neun’. Contents of explanation, presentation methods, example sentences, and practices of these two particles which should be presented in the textbook were sugges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previous studies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석주, "현대 한국어 조사의 연구 I- ‘격 개념’과 조사 ‘가’와 ‘-를’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2004

      2 임홍빈, "한국어의 주제와 통사 분석"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3 이은경,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에 나타난 오류 분석 :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4 이선웅,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 연구" 월인 2012

      5 목정수, "한국어 문법론-비교론적 관점에서 본 조사와 어미의 형태 · 통사론" 도서출판 월인 2003

      6 성기철, "한국어 문법 연구" 글누림 2007

      7 주경희, "한국어 문법 교육론-조사를 대상으로-" 박이정 2009

      8 이해영, "한국어 교재의 문법 영역 분석-‘이/가’와 ‘은/는’을 대상으로" 한국문법교육학회 1 : 231-256, 2004

      9 남기심, "주제어와 주어" 한국어문학회 26 : 128-131, 1972

      10 성기철, "주격 조사 ‘가’의 의미"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2 (22): 277-302, 1994

      1 고석주, "현대 한국어 조사의 연구 I- ‘격 개념’과 조사 ‘가’와 ‘-를’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2004

      2 임홍빈, "한국어의 주제와 통사 분석"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3 이은경,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에 나타난 오류 분석 :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4 이선웅,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 연구" 월인 2012

      5 목정수, "한국어 문법론-비교론적 관점에서 본 조사와 어미의 형태 · 통사론" 도서출판 월인 2003

      6 성기철, "한국어 문법 연구" 글누림 2007

      7 주경희, "한국어 문법 교육론-조사를 대상으로-" 박이정 2009

      8 이해영, "한국어 교재의 문법 영역 분석-‘이/가’와 ‘은/는’을 대상으로" 한국문법교육학회 1 : 231-256, 2004

      9 남기심, "주제어와 주어" 한국어문학회 26 : 128-131, 1972

      10 성기철, "주격 조사 ‘가’의 의미"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2 (22): 277-302, 1994

      11 채완, "조사 ‘는’의 의미" 국어학회 4 : 93-113, 1975

      12 이필영, "조사 ‘가/이’의 의미분석" 관악어문연구회 7 : 417-431, 1982

      13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문화사 1989

      14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8

      15 김정숙,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 오류 분석과 교육 방법 -‘-이/가’와 ‘-은/는’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 (13): 2-46, 2002

      16 이기동, "언어와 인식" 한국어어학당 6 : 1981

      17 오현정, "보조사 {은/는}과 주격조사 {이/가}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 - 한국어 고급 단계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어의미학회 35 : 189-213, 2011

      18 신창순, "국어의 ‘주어문제’ 연구"" 2 : 1975

      19 이익섭, "국어 문법론 강의" 학연사 1999

      20 任洪彬, "國語의 主題化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1972

      21 이훈, "‘은/는’의 순차적 교수에 대하여-중국어권 학습자들의 오류 통계 해것과 문법지식을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35 : 47-68,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6 1.50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