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강점기의 조선 신여성 인식에 관한 일고찰 ‒ 여성잡지 『新女性』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310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여성잡지 新女性에서 나타난 신여성에 관한 담론을 고찰하고 이들 신여성의 소비공간, 그리고 신체의 근대적 인식, 새로운 소비주체로서의 출현 등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신여성이란 일정한 교육을 받고 봉건적인 사회 인습을 과감히 타파하고 자질과 능력을 갖춘 여성으로서 남녀평등을 위한 여성해방운동과 사회적 계급타파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여성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신여성에 대해서 여성잡지 新女性에서는 긍정적인 인식과 더불어 부정적인 인식이 혼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 신여성들은 경제적인 현실상황 뿐만이 아니라 그들의 자아실현과 사회적 활동에 대한 욕구로 인해 활발한 직업 활동을 희망하고 있었다. 신여성들의 사회적 요구와 더불어 당시의 여성잡지들은 여성의 사회적 지위 확보와 직업 진출의 중요성을 촉구하고 있다. 이러한 신여성의 등장과 더불어 경성을 비롯한 주요 도시는 당시의 소비문화가 정착되어 가는 과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소비 공간이었다. 신여성들은 이러한 소비문화가 뿌리를 내리는데 있어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신여성들은 서구식 의상과 장신구, 머리모양, 새로운 화장법 등의 보급을 통해서 신체에 대한 근대적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졌으며, 당시의 새로운 소비문화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여성잡지 新女性에서 나타난 신여성에 관한 담론을 고찰하고 이들 신여성의 소비공간, 그리고 신체의 근대적 인식, 새로운 소비주체로서의 출현 등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신...

      본 연구에서는 여성잡지 新女性에서 나타난 신여성에 관한 담론을 고찰하고 이들 신여성의 소비공간, 그리고 신체의 근대적 인식, 새로운 소비주체로서의 출현 등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신여성이란 일정한 교육을 받고 봉건적인 사회 인습을 과감히 타파하고 자질과 능력을 갖춘 여성으로서 남녀평등을 위한 여성해방운동과 사회적 계급타파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여성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신여성에 대해서 여성잡지 新女性에서는 긍정적인 인식과 더불어 부정적인 인식이 혼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 신여성들은 경제적인 현실상황 뿐만이 아니라 그들의 자아실현과 사회적 활동에 대한 욕구로 인해 활발한 직업 활동을 희망하고 있었다. 신여성들의 사회적 요구와 더불어 당시의 여성잡지들은 여성의 사회적 지위 확보와 직업 진출의 중요성을 촉구하고 있다. 이러한 신여성의 등장과 더불어 경성을 비롯한 주요 도시는 당시의 소비문화가 정착되어 가는 과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소비 공간이었다. 신여성들은 이러한 소비문화가 뿌리를 내리는데 있어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신여성들은 서구식 의상과 장신구, 머리모양, 새로운 화장법 등의 보급을 통해서 신체에 대한 근대적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졌으며, 당시의 새로운 소비문화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discourse on the so-called New Woman emerged in a woman’s magazine entitled “New Woman” with a view to investigating the associated themes that range from women’s consuming space to modern perception towards female body and to the emergence of women as a new major player in consumption and so forth. The New Woman is here defined as an educated, independent – hence capable and qualified – woman who attempts and endeavors to break long-held patriarchal, feudalistic social conventions/customs in society through her active participation in emancipatory movements for improvement of woman’s rights and social/class status within it. The “New Woman” magzine is overall found to have implicitly maintained its both positive and nagative perception/editorial stance towards the New Woman. Furthermore, those new women sought to actively involve themselves in pursuing their career activities not only for economic purpose, but also in the wake of their more fundamental, ultimate desire for self-realization and for taking part in social activities. As with such societal needs mentioned above, women’s magazines in general played an active part in asserting, and making in public, the issues on the need for the betterment of women’s social position and on the importance of women making it to their career paths. In this sense, in relation to the then emergence of those new women as such, major cities in colonial Korea including Kyungsung (Seoul) were deemed as a crucial space i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then culture of consumption in it, thus pivotal in enabling it to become more firmly established there in the long run. Through this process started the wider spread of Westernized clothing and hairstyle and new make-up techniques across colonial Korea, and it was eventually the new women as a trendsetter that played the very leading role in 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then comsumer culture.
      번역하기

      This paper explores the discourse on the so-called New Woman emerged in a woman’s magazine entitled “New Woman” with a view to investigating the associated themes that range from women’s consuming space to modern perception towards female body...

      This paper explores the discourse on the so-called New Woman emerged in a woman’s magazine entitled “New Woman” with a view to investigating the associated themes that range from women’s consuming space to modern perception towards female body and to the emergence of women as a new major player in consumption and so forth. The New Woman is here defined as an educated, independent – hence capable and qualified – woman who attempts and endeavors to break long-held patriarchal, feudalistic social conventions/customs in society through her active participation in emancipatory movements for improvement of woman’s rights and social/class status within it. The “New Woman” magzine is overall found to have implicitly maintained its both positive and nagative perception/editorial stance towards the New Woman. Furthermore, those new women sought to actively involve themselves in pursuing their career activities not only for economic purpose, but also in the wake of their more fundamental, ultimate desire for self-realization and for taking part in social activities. As with such societal needs mentioned above, women’s magazines in general played an active part in asserting, and making in public, the issues on the need for the betterment of women’s social position and on the importance of women making it to their career paths. In this sense, in relation to the then emergence of those new women as such, major cities in colonial Korea including Kyungsung (Seoul) were deemed as a crucial space i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then culture of consumption in it, thus pivotal in enabling it to become more firmly established there in the long run. Through this process started the wider spread of Westernized clothing and hairstyle and new make-up techniques across colonial Korea, and it was eventually the new women as a trendsetter that played the very leading role in 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then comsumer cul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시작하며
      • 2. 『新女性』의 발간 배경과 과정
      • 3. 구여성과 신여성에 관한 담론
      • 4. 새로운 소비문화의 형성
      • 4.1 신여성의 소비공간
      • 1. 시작하며
      • 2. 『新女性』의 발간 배경과 과정
      • 3. 구여성과 신여성에 관한 담론
      • 4. 새로운 소비문화의 형성
      • 4.1 신여성의 소비공간
      • 4.2 신체에 대한 근대적 인식
      • 4.3 새로운 소비주체의 출현
      • 5. 마치며
      • 參考文獻
      • <要旨>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朴露兒, "女性恐慌時代-舊女性" 1933

      2 朴露兒, "女性恐慌時代-無職者-미쓰" 1933

      3 崔 南, "女學生의各人覺觀-商會로서 본 女學生" 1926

      4 金其鎭, "요사히新女性의長處와短處-구식녀자와달른뎜" 1925

      5 김경일,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푸른역사 2004

      6 김수진, "신여성, 근대의 과잉" 소명출판 2009

      7 개벽사편집부, "색상자" 1931

      8 개벽사편집부, "모던 新語辭典" 1931

      9 朴禮洙, "農村女性의 苦悶" 1943

      10 李瑞球, "街頭에서본 모던-女性의 다섯가지 타입" 1931

      1 朴露兒, "女性恐慌時代-舊女性" 1933

      2 朴露兒, "女性恐慌時代-無職者-미쓰" 1933

      3 崔 南, "女學生의各人覺觀-商會로서 본 女學生" 1926

      4 金其鎭, "요사히新女性의長處와短處-구식녀자와달른뎜" 1925

      5 김경일,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푸른역사 2004

      6 김수진, "신여성, 근대의 과잉" 소명출판 2009

      7 개벽사편집부, "색상자" 1931

      8 개벽사편집부, "모던 新語辭典" 1931

      9 朴禮洙, "農村女性의 苦悶" 1943

      10 李瑞球, "街頭에서본 모던-女性의 다섯가지 타입" 1931

      11 개벽사편집부, "街頭雜話" 69-, 1926

      12 개벽사편집부, "色箱子-女俳優의 카페進出" 1931

      13 金蓮花, "第一線上의 新女性" 1933

      14 無 名, "生命을左右하는 流行의 魔力" 1931

      15 月汀生, "新女性이란 何오" 1925

      16 金英熙, "新女性의 煩悶職業을 求하되-新女性의 職業에 對한 煩悶" 1925

      17 金其鎭, "尼奈의세토막記錄" 1931

      18 觀相者, "女性의雜觀雜評" 1926

      19 주창윤, "1920∼1930년대 ‘모던 세대’의 형성과정" 한국언론학회 52 (52): 186-206,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1 0.524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