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생의 공감지수와 영어 토익 향상점수 간의 상관성 여부를 파악하는 데 있다. 대학생 107명을 대상으로 공감능력지수 측정질문지를 이용하여 공감지수를, 토익 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36086
2014
Korean
TOEIC ; empathy ; correlation ; 영어학습 ; 듣기 ; 말하기 ; 향상점수 ; 토익 ; 공감지수 ; 상관성 ; empathy level ; correlation ; English education ; improvement
KCI등재
학술저널
239-258(20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생의 공감지수와 영어 토익 향상점수 간의 상관성 여부를 파악하는 데 있다. 대학생 107명을 대상으로 공감능력지수 측정질문지를 이용하여 공감지수를, 토익 진...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생의 공감지수와 영어 토익 향상점수 간의 상관성 여부를 파악하는 데 있다. 대학생 107명을 대상으로 공감능력지수 측정질문지를 이용하여 공감지수를, 토익 진단고사, 평가고사 두 시험을 통해 토익 향상점수를 산출하여 두 요인 간의 상관성에 주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공감지수와 진단고사 대비 평가고사 토익 향상점수 간에 유의미한 상관성이 있었다(r=.340, p<.01). 둘째, 공감지수와 진단고사, 평가고사 토익 점수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진단고사 대비 평가고사 토익 향상점수를 살펴보았을 때, 공감지수 상위 집단, 공감지수 중간 집단, 공감지수 하위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했으며(F=4.540, p<.05), 구체적으로 공감지수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보다 향상점수가 높았다. 공감지수 중간 집단은 어떤 집단과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students’ TOEIC listening and reading improvement after 26 hours" classes and their empathy levels were measured in order to see whether or not there exist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m. Two TOEIC tests, a diagnostic test and a final ...
Korean students’ TOEIC listening and reading improvement after 26 hours" classes and their empathy levels were measured in order to see whether or not there exist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m. Two TOEIC tests, a diagnostic test and a final evaluation test were taken by 107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taking a TOEIC beginning clas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agnostic test and the evaluation test was accepted as their improvement score and it was supposed to be us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empathy level and their TOEIC improvement score. Their empathy level was extra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proved trusty by 이찬종 and 허재홍.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the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 high-empathy level group, intermediate-empathy level group, and lowempathy level group. In conclusion,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mpathy level and the improvement score shown in the evaluation test were found(r=.340, p<.01). The higher the empathy level is, the better TOEIC score improv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found between the empathy levels and TOEIC listening and reading scores of the three groups which supports the results of the article by 최미옥(2013).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improvement score and empathy level between the high-empathy level group and the low-empathy level group was found(F=4.540, p<.05).
Therefore, the outcomes indicate that students" empathy level plays an important role i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We suggest that, the acquisition of L2 language is a dynamic process, requiring more to be considered than only teaching knowledg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장대익, "호모 리플리쿠스(Homo replicus): 모방, 거울뉴런, 그리고 밈" 한국인지과학회 23 (23): 517-551, 2012
2 최미옥, "토익듣기 성취도와 공감"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55 (55): 553-569, 2013
3 김정원,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자기표현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107-117, 2008
4 연세대학교 언어정보 개발연구원, "연세한국어 사전" 두산동아 2008
5 이재성, "글쓰기의 전략" 들녘 119-, 2005
6 박성희, "공감학" 학지사 2004
7 허재홍, "공감지수(EQ) 척도의 심리측정 속성" 인문과학연구소 (24) : 183-200, 2010
8 김규훈, "공감적 듣기 교육의 평가 방안 모색" 11 : 109-138, 2007
9 신미경, "개인화(Personalization)가 초등영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2 (12): 69-89, 2013
10 Montag, C., "Theodor Lipps and the Concept of Empathy: 1851-1914" 65 (65): 1261-1261, 2008
1 장대익, "호모 리플리쿠스(Homo replicus): 모방, 거울뉴런, 그리고 밈" 한국인지과학회 23 (23): 517-551, 2012
2 최미옥, "토익듣기 성취도와 공감"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55 (55): 553-569, 2013
3 김정원,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자기표현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107-117, 2008
4 연세대학교 언어정보 개발연구원, "연세한국어 사전" 두산동아 2008
5 이재성, "글쓰기의 전략" 들녘 119-, 2005
6 박성희, "공감학" 학지사 2004
7 허재홍, "공감지수(EQ) 척도의 심리측정 속성" 인문과학연구소 (24) : 183-200, 2010
8 김규훈, "공감적 듣기 교육의 평가 방안 모색" 11 : 109-138, 2007
9 신미경, "개인화(Personalization)가 초등영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2 (12): 69-89, 2013
10 Montag, C., "Theodor Lipps and the Concept of Empathy: 1851-1914" 65 (65): 1261-1261, 2008
11 Freud, S.,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Vol. 19)" Hogarth Press 3-66, 1961
12 Taylor, J. D., "The shell structure and mineralogy of the Bivalvia, introduction. Nuculacea- Trigonacea. Bulletin of the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3 : 1-125, 1969
13 Piaget, J., "The psychology of the child" Basic Books, Inc 1969
14 Chen, L, "The effect of empathy on college English speaking" 4 : 142-146, 2008
15 이효웅, "TOEIC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영어교육학회 58 (58): 27-42, 2003
16 Burrell, G., "Sociological paradigms and organizational analysis" Heinemann 1979
17 Rogers, C. R., "Psychology:A study of a science: Formulations of the person and the social context (Vol. 3)" McgrawHill 1959
18 Baron-Cohen, S., "Mindblindness" MIT Press 1995
19 Mead, G. H., "Mind, self and socie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34
20 Vygotsky, L. S., "Mind in Society"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21 Olivares-Cuhat, G, "Learning strategies and achievement in the Spanish writing Classroom: A Case Study" 35 (35): 561-570, 2002
22 Meltzoff, A. N., "Imitation in Newborn Infants: Exploring the Range of Gestures Imitated and the Underlying Mechanisms" 25 : 954-962, 1989
23 Adank, P., "Imitation improves language comprehension" 21 : 1903-1909, 2010
24 Mayer, J., "Human Abilities: Emotional Intelligence" 59 : 507-536, 2008
25 Lakin, M, "Group sensitivity training and encounter: Uses and abuses of a method" 2 (2): 66-70, 1970
26 Yalcin-Tilfarlioglu, F., "Empathy level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foreign language learners" 46 : 4428-4430, 2012
27 Guiora, A. Z., "Empathy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22 (22): 111-130, 1972
28 Hoffman, M. L., "Empathy and its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47-80, 1987
29 Rogers, C. R, "Empathic: An unappreciated way of being" 5 : 2-10, 1975
30 Scherz, M., "Empathic pedagogy : community of inquiry and access to the other" 2005
31 Farkas, R. D., "Effects of traditional versus learning-styles instructional methods on middle school students" 97 (97): 42-51, 2003
32 Kyriacou, C., "Effective Teaching in Schools" Blackwell 1986
33 Elias, M. J., "Educational Practice Series 11" International Academy of Education 2003
34 Batson, C. D., "Altruism in Humans"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35 Guiora, A. Z., "A contribution to the psychology of second language behavior" 585-588, 1969
<사고와 표현> 수업에 적용해 본 ‘3분 스피치’ 교육의 효용성과 피드백의 실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 | 0.80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