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아티아 역사에서 동유럽 공산주의 정권의 몰락과 체제 변환은 ‘거대한 전환’이었다. 공산주의 정권으로부터 시장 자본주의;민주주의로의 전환에서 크로아티아는 새로운 유럽의 일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26994
2021
-
크로아티아 ; 체제 전환 ; 엘리트 ; 엘리트 재편 ; 엘리트 순환 ; 엘리트 재생산 ; Croatia ; Transition ; Political Transformation ; Elite Formation ; Elite Circulation ; Elite Reproduction
920
KCI등재
학술저널
61-87(2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크로아티아 역사에서 동유럽 공산주의 정권의 몰락과 체제 변환은 ‘거대한 전환’이었다. 공산주의 정권으로부터 시장 자본주의;민주주의로의 전환에서 크로아티아는 새로운 유럽의 일원...
크로아티아 역사에서 동유럽 공산주의 정권의 몰락과 체제 변환은 ‘거대한 전환’이었다. 공산주의 정권으로부터 시장 자본주의;민주주의로의 전환에서 크로아티아는 새로운 유럽의 일원으로 재탄생해야 했다. 대규모 사회 전환이나 체제 전환에는 자연스럽게 정치;사회;경제 엘리트들의 대규모 재편이 발생한다. 혁명적 체제 전환에서 엘리트 재편에 관심을 두는 이유는 엘리트 재편의 결과가 해당 국가나 사회의 방향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척도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새로운 체제는 누군가에게는 새로운 질서에 적응하고 변신해야 하는 생존의 문제이고;누군가에게는 패배만이 있는 도태의 시작이고;또 누군가에게는 새로운 기득권을 쟁취할 기회일 수도 있다. 체제 전환 이후 동유럽 국가에서 발생하였던 엘리트 재편은 한 영역이 아닌 사회 전체 영역에서 발생한 장기적 변동의 시작점이었다. 이 연구는 ‘공산주의 정권 권력 엘리트 계층이 체제 전환기 피지배 계층으로 전락하고;이전 피지배 계층이 권력 계층 지위를 획득했는가? 어떤 계층이 새로운 지배 엘리트로 새롭게 편입되었는가?’를 체제 전환기 신 엘리트와 구 엘리트의 내용적 비교 분석을 통해 크로아티아 엘리트 재편의 양상과 특징을 설명했다. 혁명적 체제 전환기 크로아티아 권력 엘리트의 순환은 매우 제한적이었다. 크로아티아에서는 역동적이고 단계적 발전의 엘리트 재편은 전쟁과 독재로 인해 발생하지 못했다. 크로아티아의 진정한 민주화와 체제 전환은 독재가 종식되는 ‘크로아티아 2차 체제 전환’ 시기인 2000년 이후에나 진행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history of Croatia;the collapse) of communism and the ‘Transition’ in Eastern Europe were ‘great transformation’. The transition from the socialist federation system forced Croatia to show itself as a new member of Europe. It is common ...
In the history of Croatia;the collapse) of communism and the ‘Transition’ in Eastern Europe were ‘great transformation’. The transition from the socialist federation system forced Croatia to show itself as a new member of Europe. It is common for large scale social or system transformation to generate huge changes in political;social and economic elites. The reason we are interested in the elite change in such a transitional society is that the elite change is an important measure for understanding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y or group. A new system may be a matter of survival to adapt and transform to the new order for some people;the beginning of a cull that only defeat remains for others;and an opportunity for some others to win a new vested interest. The ‘elite circulation’ or ‘elite replacement’ that occurred in Middle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after the Transition was the starting point of long term shift not in one area but in the entire society. After the Transition;did the communist power elite fall into the dominated class and the former dominated class acquire the status of the power class? What class has been newly formed as a new dominant elite? The composition of elites before and after the Transition was compared and analyzed to identify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in Croatian elite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ower elite cycle of Croatia was very limited. The reorganization of the elite during the transition period;which were expected to bring dynamic and phased evolution;did not occur in Croatia.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real democratization and system transition did not take place until the “Croatian 2th System Transition” in 2000;when the dictatorship of Croatia end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흥모, "체제전환기의 엘리트와 민주주의: 헝가리·폴란드를 중심으로" 10 (10): 23-42, 2003
2 권혁재, "세계화와 세르비아/크로아티아 지식인의 의식구조 변화연구: 전환기 지식인과 세계화 의식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1 (11): 33-54, 2007
3 고영복, "사회학 사전" 사회문화연구소 2000
4 Bičanić, Ivo, "Understanding Reform: the Case of Croatia"
5 Szelényi, Szonja, "The making of the Hungarian postcommunist elite: circulation in politics, reproduction in the economy" 24 (24): 697-722, 1995
6 Staniszkis, Jadwiga, "The Dynamics of Breakthrough in Eastern Europ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
7 Beyme, Klaus von, "Systemwechsel in Osteuropa" Suhrkamp Verlag 2016
8 Kaminski, Antoni Z, "Social Change and Modernization" Walter de Gruyter 1995
9 Matutinović, Igor, "Quality of Life in Transition Countries: Central East Europe with special Reference to Croatia" 43 : 97-119, 1998
10 Linz, Juan, "Problems of Democratic Transition and Consolida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6
1 정흥모, "체제전환기의 엘리트와 민주주의: 헝가리·폴란드를 중심으로" 10 (10): 23-42, 2003
2 권혁재, "세계화와 세르비아/크로아티아 지식인의 의식구조 변화연구: 전환기 지식인과 세계화 의식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1 (11): 33-54, 2007
3 고영복, "사회학 사전" 사회문화연구소 2000
4 Bičanić, Ivo, "Understanding Reform: the Case of Croatia"
5 Szelényi, Szonja, "The making of the Hungarian postcommunist elite: circulation in politics, reproduction in the economy" 24 (24): 697-722, 1995
6 Staniszkis, Jadwiga, "The Dynamics of Breakthrough in Eastern Europ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
7 Beyme, Klaus von, "Systemwechsel in Osteuropa" Suhrkamp Verlag 2016
8 Kaminski, Antoni Z, "Social Change and Modernization" Walter de Gruyter 1995
9 Matutinović, Igor, "Quality of Life in Transition Countries: Central East Europe with special Reference to Croatia" 43 : 97-119, 1998
10 Linz, Juan, "Problems of Democratic Transition and Consolida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6
11 Sekulic, Dusko, "Political Transformation and Elite Formation in Croatia" 18 (18): 85-100, 200
12 Ramet, Sabrina Petra, "Nationalism and Federalism in Yugoslavia, 1962-1991" Indiana University Press 1992
13 Winderl, Thomas, "Machteliten im Systemwechsel: Über Wandel und Kontinuität osteuropäischer Eliten" Südosteuropa 3. Jhg 613-627, 1994
14 Sterbling, Anton, "Intellektuelle, Eliten, Institutionenwandel" Kämer 2001
15 Budimir, Davorka, "Hrvatska politička elita na početku demokratske tranzicije" 7 (7): 73-97, 2010
16 Bilandzić, Dušan, "Historija Socijalističke Federativne Republike Jugoslavije" Školska Knjiga 1985
17 Iglič, Hajdeja, "From Elite Reproduction to Elite Adaptation:The Dynamics of Change in Personal Network of Slovenian Elites" XVI (XVI): 95-111, 2000
18 White, Stephen, "Elites, Crises, and the Origins of Regimes" Rowman and Littlefield 125-146, 1998
19 Wasilewski, Jacek, "Elites, Crises and the Origins of Regimes" Rowman and Littlefield, 147-167, 1998
20 Hoffmann-Lange, Ursula, "Eliten, Macht und Konflikt in der Bundesrepublik" Leske und Budrich 1992
21 Zakošek, Nenad, "Eliten in Suedosteuropa. Rolle, Kontinuitaeten, Brüche in Geschichte und Gegenwart" Otto Sagner 279-288, 1998
22 Hankiss, Elemer, "East European Alternative"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23 Sekelj, Laslo, "Drei Modell der Eliten Transformation in Osteuropa in der ersten Phase des Transformationsprozesses" 50 (50): 440-459, 2001
24 Zlatar, Andrea, "Culture in Croatia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25 Tanner, Marcus, "Croatia: A Nation Forged in War" Yale University Press 1997
26 Pusić, Vesna, "A Country by Any Other Name: Transition and Stability in Croatia and Yugoslavia" 06 : 242-259, 1992
푸틴 4기 러시아의 석탄산업 정책과 석탄 수출 : 동북아시아 국가들과의 연계와 협력을 중심으로
코로나19 시대 글로벌 격변과 우크라이나의 반부패 노력 및 개혁과제
1990년대 신생 독립국 크로아티아에 있어서 ‘유고슬라비아’의 의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3-01-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 ![]()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3 | 0.13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6 | 0.15 | 0.459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