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브랜드 진정성 차원으로서 브랜드 독창성 및 신뢰성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이 브랜드에 대한 태도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러한 영향력이 소비자의 자아해석에 따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505968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3-30(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브랜드 진정성 차원으로서 브랜드 독창성 및 신뢰성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이 브랜드에 대한 태도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러한 영향력이 소비자의 자아해석에 따라...
본 연구는 브랜드 진정성 차원으로서 브랜드 독창성 및 신뢰성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이 브랜드에 대한 태도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러한 영향력이 소비자의 자아해석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소비자의 자아와 진정성 브랜드와의 연결 지각이 브랜드 태도 및 충성도를 향상시키는 과정에서도 자아해석이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총 227명이 429개의 브랜드에 대하여 평가한 설문 조사 결과, 독립적 자아해석 집단에서는 브랜드 독창성이 브랜드 태도나 충성도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신뢰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자아해석 유형에 관계없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신뢰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호의존적 자아해석 집단에서 보다 크게 나타났다. 상호의존적 자아해석 집단에 비해 독립적 자아해석 집단에서 자아-브랜드 연결 인식이 브랜드 태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how perceptions and impacts of brand authenticity differ depending on a consumer’s self-construal(SC). After eliminating data that could not be used due to incomplete responses, the final sample consisted of 227 respondents w...
This study investigates how perceptions and impacts of brand authenticity differ depending on a consumer’s self-construal(SC). After eliminating data that could not be used due to incomplete responses, the final sample consisted of 227 respondents who evaluated 429 brands. Respondents were asked to select brands which they perceive highly authentic as well as brands from an identical or closely related product category which they perceive inauthentic. The results show that original or reliable brands were regarded as more authentic brands for independent SC compared to interdependent SC. Moreover, the self-construa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originality and brand attitude with authentic brands having more pronounced effects for independent SC compared to interdependent SC. Brand reliability increased brand attitude for both of the groups and raised more brand loyalty among interdependent SC. SC also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brand connection and brand attitude.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브랜드 진정성 차원으로서 브랜드 독창성 및 신뢰성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이 브랜드에 대한 태도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러한 영향력이 소비자의 자아해석에 따라...
본 연구는 브랜드 진정성 차원으로서 브랜드 독창성 및 신뢰성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이 브랜드에 대한 태도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러한 영향력이 소비자의 자아해석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소비자의 자아와 진정성 브랜드와의 연결 지각이 브랜드 태도 및 충성도를 향상시키는 과정에서도 자아해석이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총 227명이 429개의 브랜드에 대하여 평가한 설문 조사 결과, 독립적 자아해석 집단에서는 브랜드 독창성이 브랜드 태도나 충성도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신뢰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자아해석 유형에 관계없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신뢰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호의존적 자아해석 집단에서 보다 크게 나타났다. 상호의존적 자아해석 집단에 비해 독립적 자아해석 집단에서 자아-브랜드 연결 인식이 브랜드 태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how perceptions and impacts of brand authenticity differ depending on a consumer’s self-construal(SC). After eliminating data that could not be used due to incomplete responses, the final sample consisted of 227 respondents w...
This study investigates how perceptions and impacts of brand authenticity differ depending on a consumer’s self-construal(SC). After eliminating data that could not be used due to incomplete responses, the final sample consisted of 227 respondents who evaluated 429 brands. Respondents were asked to select brands which they perceive highly authentic as well as brands from an identical or closely related product category which they perceive inauthentic. The results show that original or reliable brands were regarded as more authentic brands for independent SC compared to interdependent SC. Moreover, the self-construa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originality and brand attitude with authentic brands having more pronounced effects for independent SC compared to interdependent SC. Brand reliability increased brand attitude for both of the groups and raised more brand loyalty among interdependent SC. SC also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brand connection and brand attitude.
목차 (Table of Contents)
From Industrial to Cultural: A Case of Manchester in Visual Transformation
미술관 도슨트의 미술작품 해설 유형이 관람자 감상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