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호흡훈련기를 활용한 성대에어로빅치료 프로그램의 음성개선 효과 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the Effects of Respiration Trainers on Vocal Aerobic Treatment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67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재활치료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호흡훈련기를 최근에 개발된 총체적 음성치료인 성대에어로빅치료 프로그램에 접목시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에 호흡훈련...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재활치료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호흡훈련기를 최근에 개발된 총체적 음성치료인 성대에어로빅치료 프로그램에 접목시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에 호흡훈련기를 활용한 VAT 프로그램을 음성장애인에게 적용하여 음성개선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과기능적 음성장애인 4명(여 3명, 남 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호흡훈련기를 활용한 VAT 프로그램은 이완단계, 호흡단계, 발성단계, 발화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음성개선의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 중재·사후로 음향학적 및 공기역 학적 매개변수의 변화를 살펴보고 사전·사후로 음성설문지, 청지각적 평가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본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음도와 발화 음도가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음역대가 넓어졌으며 음향학적 매개변수 수치가 감소하여 음질이 향상되었다. 또한 공기역학적 매개변수가 개선되어 호흡능력이 향상되었고 음성장애지수가 감소하고 음성관련 삶의 질이 높아져 음성만족도가 높아졌다. 대상자 들은 좀 더 편안하고 부드러운 음성을 산출하여 청지각적으로도 음성이 개선되었다. 논의 및 결론: 호흡훈련기를 활용한 VAT 프로그 램은 과기능적 음성장애인의 음성을 개선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으며 음성치료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보여 진다. 차후에는 더 다양하고 많은 대상자를 중심으로 본 프로그램을 실시한다면 음성치료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spiration trainers on voice enhancement during a vocal aerobic treatment (VAT) program developed for holistic voice therapy. Methods: This study consisted of four patients (3 fem...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spiration trainers on voice enhancement during a vocal aerobic treatment (VAT) program developed for holistic voice therapy. Methods: This study consisted of four patients (3 females and 1 male) diagnosed with hyperfunctional dysphonia. The program involved activities including relaxation, breathing, and phonation exercises, as well as a speaking stage. In order to examine the degree of voice improvement, the changes in the acoustic and aerodynamic parameters were compared pre and post intervention. Voice questionnaires and an auditory evaluation were also evaluated using a pre-post process. Results: As a result of this program, each of the subject’s pitch and speaking fundamental pitch increased overall. The pitch range was widened, and their voice quality improved based on the reduced values of their acoustic parameters. In addition, the aerodynamic parameters and breathing ability of the subjects improved. The Voice Handicap Index of the subjects decreased and their Korean-Voice Related Quality of Life increased. Moreover, their voice satisfaction also improved. The subjects were more comfortable and projected a softer voice. The overall auditory voice improved. Conclusion: The VAT program using respiration trainers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voice of subjects with hyperfunctional dysphonia, and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a useful program in the voice therapy field. In the future, if the program is applied to a large sample of heterogeneous subjects, more useful information for voice therapy can be obtain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명진, "흡기근 강화훈련이만성 뇌졸중 환자의 발성 산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8 (8): 81-92, 2017

      2 김지성, "후두마사지와 반폐쇄성도훈련이 과기능적 음성장애 환자의 음성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2 (22): 806-817, 2017

      3 김재옥, "호기근 강화훈련이 건강한 노인의 말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1 (11): 1-16, 2006

      4 김재옥, "한국어판 음성장애지수와 음성관련 삶의 질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한국음성과학회 14 (14): 111-125, 2007

      5 윤영선, "한국어판 음성장애지수(Voice Handicap Index, VHI)의 타당도 및 VHI-10의 임상적 유용성"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3 (13): 216-241, 2008

      6 한지용, "총체적 음성관리 프로그램을 통한 직업적 음성사용자의 음성중재" 한국언어치료학회 11 (11): 141-174, 2002

      7 임혜진, "연축성 발성장애 환자의 Lax Vox 음성치료 효과" 한국음성학회 8 (8): 57-63, 2016

      8 유재연, "성악가를 위한 VAT 음성치료 개발 및 적용 사례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2 (22): 157-168, 2018

      9 임혜진, "성대 기능 훈련이 성대결절 환자의 음성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음성학회 1 (1): 37-42, 2009

      10 권순복, "복식호흡 훈련과 Self Voice Feedback 프로그램이성대결절 환자의 음성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음성과학회 13 (13): 133-153, 2006

      1 허명진, "흡기근 강화훈련이만성 뇌졸중 환자의 발성 산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8 (8): 81-92, 2017

      2 김지성, "후두마사지와 반폐쇄성도훈련이 과기능적 음성장애 환자의 음성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2 (22): 806-817, 2017

      3 김재옥, "호기근 강화훈련이 건강한 노인의 말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1 (11): 1-16, 2006

      4 김재옥, "한국어판 음성장애지수와 음성관련 삶의 질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한국음성과학회 14 (14): 111-125, 2007

      5 윤영선, "한국어판 음성장애지수(Voice Handicap Index, VHI)의 타당도 및 VHI-10의 임상적 유용성"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3 (13): 216-241, 2008

      6 한지용, "총체적 음성관리 프로그램을 통한 직업적 음성사용자의 음성중재" 한국언어치료학회 11 (11): 141-174, 2002

      7 임혜진, "연축성 발성장애 환자의 Lax Vox 음성치료 효과" 한국음성학회 8 (8): 57-63, 2016

      8 유재연, "성악가를 위한 VAT 음성치료 개발 및 적용 사례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2 (22): 157-168, 2018

      9 임혜진, "성대 기능 훈련이 성대결절 환자의 음성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음성학회 1 (1): 37-42, 2009

      10 권순복, "복식호흡 훈련과 Self Voice Feedback 프로그램이성대결절 환자의 음성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음성과학회 13 (13): 133-153, 2006

      11 Kandogan, T., "Voice Handicap Index(VHI)in partial laryngectomy patients" 4 (4): 15-17, 2005

      12 Hogikyan, N. 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measure voice-related quality of life(V-RQOL)" 13 (13): 557-569, 1999

      13 Wingate, J. M., "Treatment outcomes for professional voice users" 21 (21): 433-449, 2007

      14 Jacobson, B. H., "The voice handicap index(VHI)development and validation" 6 (6): 66-70, 1997

      15 Sabol, J. W., "The value of vocal function exercises in the practice regimen of singers" 9 (9): 27-36, 1995

      16 Darling-White, M., "The impact of expiratory muscle strength training on speech breathing in individuals with Parkinson’s disease : a preliminary study" 26 (26): 1159-1166, 2017

      17 Tsai, Y. C., "The effects of expiratory muscle strength training on voice and associated factors in medical professionals with voice disorders" 30 (30): 759.e21-759.e27, 2016

      18 Gillivan-Murphy, P., "The effectiveness of a voice treatment approach for teachers with self-reported voice problems" 20 (20): 423-431, 2006

      19 Johnston, C. L., "The current use of positive expiratory pressure(PEP)therapy by public hospital physiotherapists in New South Wales" 41 (41): 88-93, 2013

      20 Nguyen, D. 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vocal function exercises on muscle tension dysphonia in Vietnamese female teachers" 38 (38): 261-278, 2009

      21 Philips Respironics, "Pressure that’s good for you: threshold PEP and IMT"

      22 Chen, S. H., "Outcome of resonant voice therapy for female teachers with voice disorders : perceptual, physiological, acoustic, aerodynamic, and functional measurements" 21 (21): 415-425, 2007

      23 Fadel, C. B. X., "Immediate effects of the semi-occluded vocal tract exercise with LaxVox tube in singers" 28 (28): 618-624, 2016

      24 Stemple, J. C., "Efficacy of vocal function exercises as a method of improving voice production" 8 (8): 271-278, 1994

      25 Fernandes, F. E., "Efeito do treinamento muscular respiratório por meio do manovacuômetro e do Threshold Pep em pacientes hemiparéticos hospitalizados" 18 : 1199-1202, 2007

      26 Aspire, "EMST150 how it works"

      27 Guzman, M., "Do different semi-occluded voice exercises affect vocal fold adduction differently in subjects diagnosed with hyperfunctional dysphonia?" 67 (67): 68-75, 2015

      28 Hirano, M., "Clinical examination of voice" Springer 81-84, 1981

      29 Agarwal, S. K., "Assessment of voice related quality of life and its correlation with socioeconomic status after total laryngectomy" 4 (4): 169-175, 2015

      30 Roy, N., "An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two treatment approaches for teachers with voice disorders" 44 (44): 286-296, 2001

      31 Moon, Y. I., "Aerodynamic and acoustic analysis of respiration and phonation methods in normal adults" 42 (42): 756-761,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등재유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13-03-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br>외국어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KCI등재
      2012-1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7-06-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6-09-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8 1.62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