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황진이』소재 서사물의 궤적을 통해 이태준의 소설『황진이』의 창작배경과 서술방식을 검토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그동안 선행된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와 황진이를 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67657
2014
Korean
황진이 ; 이태준 ; 자유의지 ; 신문연재소설 ; 1930년대 ; 조선조 ; 고려 ; 『Hwang ; Jinee』 ; Taejun Lee's novel ; free will ; writer's consciousness ; Narrative method ; third-person's perspective
KCI등재
학술저널
187-221(35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황진이』소재 서사물의 궤적을 통해 이태준의 소설『황진이』의 창작배경과 서술방식을 검토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그동안 선행된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와 황진이를 소...
이 글은『황진이』소재 서사물의 궤적을 통해 이태준의 소설『황진이』의 창작배경과 서술방식을 검토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그동안 선행된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와 황진이를 소재로 한 서사물의 경향을 검토하였다. 또한 다양한 황진이 소재 서사물을 양산하게 한 황진이를 다룬 문헌자료 검토를 통해 황진이가 남긴 특이한 행적을 살폈다.
이태준의 『황진이』?는 황진이 서사를 처음으로 소설화한 작품이라는 측면에서 일차적인 의미를 가지며 이후의 창작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이태준『황진이』의 창작배경은 1930년대의 시대적 상황과 신문사가 직면한 경영상의 수익을 높이기 위한 신문연재소설로서의 상업성과 관련이 깊다.
이태준 『황진이』?의 서술방식과 작가의식은 삼인칭 전지적 서술을 통해 드러난다. 삼인칭 전지적 서술방식은 작가가 서술자를 통해 작중 인물 황진이를 자유자재로 이끌고 통제할 수 있다. 이태준은 황진이를 1930년 당대 여성들의 심리적 분출의 대상으로 여겨, 시대적 불행을 극복하고 자신의 의지로 삶을 엮어가면서 자유의지를 실현하는 인물로 부각시켰다. 이태준이 조선조를 부정하고 고려를 긍정하고자 했던 밑바탕엔 불교를 통치 이념으로 삶을 경영한 고려시대 삶의 방식이 황진이의 자유의지를 실현하기에 적합한 공간으로 판단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황진이의 삶은 서사과정을 통해 일관되게 자유의지를 실현하는 공간으로 설정되었기에 종결부분에 있어서도 ‘금강산’을 선택함으로써 세속적인 것을 초탈한 여성의 모습을 강하게 각인시키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various aspects of narratives dealing with the life of Hwang, Jinee. For this, The achievement of previous studies and various trends of narratives dealing with the life of Hwang, Jinee have been examined beforehand. Als...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various aspects of narratives dealing with the life of Hwang, Jinee. For this, The achievement of previous studies and various trends of narratives dealing with the life of Hwang, Jinee have been examined beforehand. Also her peculiar processes in life such as entering geisha world, contract marriage and death have been focused on. This paper makes a main target of Taejun Lee"s novel,?『Hwang, Jinee』which dealt with the life of Hwang for the first time, and examines its background and narrative method related with the writer"s consciousness.
Many novels dealing with her life has similarity in trying to show their own problems through her, even though published in different periods. That is, writers can be said to have tried to present the consciousness and value of their own times by putting Hwang, Jinee as a main character in their story or drama.
Narrative method and the writer"s consciousness in Taejun Lee"s novel,?『Hwang, Jinee』are presented through third-person"s perspective of knowing everything, which makes it possible for the writer to lead and control freely its main character, Hwang, Jinee. Taejun Lee considers Hwang, Jinee as the object of psychological outburst of women at that time and presents her as a character accomplishing her own free will. Also The life of Hwang, Jinee is positioned as a space accomplishing the free will through the narrativ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동호, "황진이의 양면성과 현대적 변용" 18 : 1977
2 백승화, "황진이의 시에 나타난 만남의 실존주의교육학적 의미" 48 : 2010
3 문미희, "황진이의 삶, 사랑(愛) 그리고 교육" 안암교육학회 17 (17): 57-81, 2011
4 김용숙, "황진이연구" 창학사 1985
5 안남연, "황진이 재조명" 49 : 2007
6 박철순, "황진이 시조에 나타난 표현기교의 고찰" 4 : 1991
7 장선희, "황진이 소재 역사소설의 사적 고찰"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0
8 이동준, "황진이 설화의 문학적 연구" 60 : 1997
9 장시광, "황진이 관련 자료" 3 : 1997
10 이태준, "황진이" 깊은샘 1999
1 최동호, "황진이의 양면성과 현대적 변용" 18 : 1977
2 백승화, "황진이의 시에 나타난 만남의 실존주의교육학적 의미" 48 : 2010
3 문미희, "황진이의 삶, 사랑(愛) 그리고 교육" 안암교육학회 17 (17): 57-81, 2011
4 김용숙, "황진이연구" 창학사 1985
5 안남연, "황진이 재조명" 49 : 2007
6 박철순, "황진이 시조에 나타난 표현기교의 고찰" 4 : 1991
7 장선희, "황진이 소재 역사소설의 사적 고찰"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0
8 이동준, "황진이 설화의 문학적 연구" 60 : 1997
9 장시광, "황진이 관련 자료" 3 : 1997
10 이태준, "황진이" 깊은샘 1999
11 전현례, "홍석중의 『황진이』 연구" 17 : 2006
12 이현경, "현대영화가 ‘황진이’를 소환하고 재현하는 방식-<황진이>(배창호, 1986)와 <황진이>(장윤현, 2007)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5 (15): 93-122, 2007
13 차상찬, "해동염사 서" 한성도서주식회사 1942
14 최준, "한국신문사" 일조각 1977
15 이재선, "한국소설사" 민음사 2000
16 이주형, "한국근대소설연구" 창작과비평사 1995
17 홍랑, "추락한 민간신문"
1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원 언어문학연구소, "조선문학통사 3" 화다 1989
19 강동진, "일제의 한국침략정책사" 한길사 1980
20 김택호, "이태준의 정신적 문화주의" 월인 2003
21 안미영, "이태준의 『황진이』에 나타난 ‘고려’의 성격" 한국비교문학회 (44) : 165-191, 2008
22 이 건, "이태준의 <황진이>연구" 祥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23 박노현, "이태준과 현대소설사" 깊은샘 2004
24 최소영, "이태준 신문연재소설 연구 : 독자 공감요소를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25 임주탁, "이야기 문맥을 고려한 황진이 시조의 새로운 해석" 우리말글학회 38 : 199-228, 2006
26 신은영, "원작 소설에 나타난 여성성 묘사 차이에 따른 인물 캐릭터 이미지-영화 "황진이"와 드라마 "황진이" 비교를 중심으로" 4 (4): 2008
27 김시나, "우리 문화 컨텐츠를 활용한 캐릭터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국내외 캐릭터 분석을 통한 국내 캐릭터의 문제점 극복을 위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8 이병렬, "역사적 인물의 소설적 형상화" 14 : 1998
29 김탁환, "역사인물소설 창작방법론 서설 - 이태준의 장편소설 <<황진이>>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학회 22 : 23-41, 2002
30 주창윤, "역사드라마의 장르와 유형변화" 한국언어문화학회 (28) : 401-418, 2005
31 박광용, "역사가 입장에서 보는 역사소설과 사료 해석-홍석중의 『황진이』를 중심으로" 2006
32 "어우야담(於于野談)"
33 공임순, "식민지의 적자들-조선적인 것과 한국 근대사의 굴절된 이면들" 푸른 역사 2005
34 "수촌만록(水村漫錄)"
35 "송도인물지(松都人物志)"
36 "송도기이(松都記異)"
37 명형대, "소설 <황진이> 연구 - 이태준, 홍석중, 전경린의 『황진이』를 대상으로 -" 한국문학회 (50) : 471-500, 2008
38 "성옹지소록(惺翁識小錄)"
39 김진, "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 현실문화연구 1999
40 이태준, "상허문학독본 평론" 서음출판사 1988
41 김경연, "살아 있는 신화, 황진이" 대훈 2006
42 김종회, "살아 있는 신화 황진이" 대훈 2006
43 박태상, "북한의 문화와 예술" 깊은샘 2004
44 오태호, "북한소설 <황진이>와 남한영화 <황진이>의 서사적 특징 비교 연구" 2012
45 이태준, "문장강화" 창작과비평사 2006
46 신선원, "드라마 <황진이> 의 대중코드 읽기" 민족문화연구소 35 : 2007
47 황국명, "남북한 역사소설의 거리-『황진이』를 중심으로" 32 : 2005
48 전명희, "남북한 문학 속에 투영된 여성미 비교고찰- 김탁환의나, 황진이와 홍석중의 황진이를 중심으로" 국제비교한국학회 15 (15): 217-244, 2007
49 "금계필담(錦溪筆談)"
50 권순형, "고려의 혼인제와 여성의 삶" 혜안 2006
51 김창현, "고려의 여성과 문화" 신서원 2007
52 한국역사연구회, "개경의 생활사" 휴머니스트 2007
53 김연옥, "黃眞伊 시조의 멋과 풍류" 한국국어교육학회 63 : 209-222, 2002
54 김성문, "黃眞伊 時調의 離別 形象化와 對應樣相" 한국시조학회 (30) : 319-332, 2009
55 우미영, "‘황진이’ 담론의 형성 방식과 여성의 재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9 (9): 163-189, 2005
56 윤분희, "‘황진이 이야기’의 의미 생성과 변모" 우리말글학회 34 : 151-184, 2005
57 고명철, "‘황진이 서사’를 다룬 남과 북의 역사소설, 그 허구적 진실 - 홍석중과 김탁환의 ‘황진이 서사’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16) : 43-66, 2009
58 성경희, "TV드라마 <황진이>의 복식과 색채 연구 : 황진이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59 崔承浩, "1930년대 후반기 시의 전통지향적 미의식 연구 : 문장파 자연시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60 김예림, "1930년대 후반 근대인식의 틀과 미의식" 소명출판 2004
61 김경연, "'황진이'의 서사적 변형과 생산에 관한 고찰" 21 : 2006
62 하성란, "'허난설헌'과 '황진이'의 문학에 대한 페미니즘 연구" 9 : 1996
‘우리’를 상상하는 몇 가지 방식-1970년대 소설과 집단주의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7-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3-21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우리문학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2 | 0.62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7 | 0.61 | 1.35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