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북한의 관광지식체계를 분석하고 국내외 문헌과 비교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현실적으로 북한 관광의 실재 파악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북한 학문공동체의 관광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32492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27(2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북한의 관광지식체계를 분석하고 국내외 문헌과 비교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현실적으로 북한 관광의 실재 파악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북한 학문공동체의 관광에 ...
본 연구는 북한의 관광지식체계를 분석하고 국내외 문헌과 비교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현실적으로 북한 관광의 실재 파악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북한 학문공동체의 관광에 대한 지식을 학문적 산출물을 바탕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분석결과 북한 관광지식체계가 관광 연구의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생각보다 충실하고 짜임새 있게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관광의 개념적 정의와 관광산업 분류 방식이 국내외 관광학 서적과 상당히 유사하였다. 반면, 북한에서 관광을 발전시키려는 이유는 경제발전과 함께 사회주의제도와 정치체제를 대외적으로 선전하기 위해서라고 강조하고 있으며, 외래 문화유입에 따른 사회 문화적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사회주의 원칙에 입각한 자주적이고 주체적인 관광 개발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알려진 바 없던 북한의 관광지식과 관광산업 인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북한 관광에 관한 이해도를 높일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입수가 어려운 북한 문헌의 주요 내용을 제공함으로써 국내외 연구자들의 정보 접근성 향상과 지식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tourism knowledge system in North Korea in line with the theoretical framework suggested by the previous study. A book published by the North Korean academic community was used for the literature analysis. The analysis in this ...
This study analyzed the tourism knowledge system in North Korea in line with the theoretical framework suggested by the previous study. A book published by the North Korean academic community was used for the literature analysis. The analysis in this study followed the epistemological thinking, which is built on the philosophical canon of the tourism knowledge system. Results showed that, contrary to expectations, the tourism knowledge system in North Korea is well-structured. In particular, the definition of tourism and classifications of the tourism industry are fairly consistent with those in the frequently-used literature in other countries. In contrast, the knowledge output in North Korea places emphasis the role of tourism in propagating the political system and regime of the country to visitors, and suggests that the tourism in that country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socialism. The findings coul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how much and accurate North Korea comprehends the tourism phenomenon and its industry. By sharing and disseminating of what has been never discovered in the literature, this study will give rise to further studies regarding the North Korea touris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정진영, "중국-북한 두만강 국제관광협력 현황과 시사점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관광학회 44 (44): 33-55, 2020
3 신용석, "신남북관광협력의 정책방향과 과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9
4 김영만, "북한의 조선사회과학학술집에 나타난 맨손무술에 관한 연구 -날파람, 수박, 수박희, 태권도, 택견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56 (56): 1-11, 2017
5 한국정책금융공사, "북한의 산업" 2010
6 박은진, "북한의 관광산업 변화와 특징" KDB산업은행 2018
7 임을출, "북한관광의 이해" 대왕사 2017
8 이완구, "북한과 노스탤지어 관광- 친숙성-신기성 연속체 패러다임에 대한 이론적 반증 -" 관광연구소 30 (30): 81-107, 2018
9 김수현, "북한「경제연구」로 분석한 경제정책 변화:텍스트 마이닝 접근법" BOK 1-34, 2020
10 데일리NK, "북한, 느닷없는 보험 가입 종용...“살림집 가정재산 손해 보상”"
1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정진영, "중국-북한 두만강 국제관광협력 현황과 시사점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관광학회 44 (44): 33-55, 2020
3 신용석, "신남북관광협력의 정책방향과 과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9
4 김영만, "북한의 조선사회과학학술집에 나타난 맨손무술에 관한 연구 -날파람, 수박, 수박희, 태권도, 택견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56 (56): 1-11, 2017
5 한국정책금융공사, "북한의 산업" 2010
6 박은진, "북한의 관광산업 변화와 특징" KDB산업은행 2018
7 임을출, "북한관광의 이해" 대왕사 2017
8 이완구, "북한과 노스탤지어 관광- 친숙성-신기성 연속체 패러다임에 대한 이론적 반증 -" 관광연구소 30 (30): 81-107, 2018
9 김수현, "북한「경제연구」로 분석한 경제정책 변화:텍스트 마이닝 접근법" BOK 1-34, 2020
10 데일리NK, "북한, 느닷없는 보험 가입 종용...“살림집 가정재산 손해 보상”"
11 김한규, "북한 외래관광 연구: 담당조직과 유치 구조 및 전략을 중심으로" 북한대학원대학교 2015
12 안철경, "북한 보험산업의 이해와 대응" 보험연구원 2018
13 김영국, "대학생의 남북통일에 대한 지각된 편익과 우려를 통한 북한관광 태도 형성"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2 (32): 431-446, 2020
14 고동완, "남북교류활동으로 본 금강산 관광과 한반도 평화의 쌍방적 관계" 한국관광학회 44 (44): 9-29, 2020
15 정진영, "남북관광교류협력에서의 전시·컨벤션산업 역할에 관한 탐색적 고찰" 관광연구소 32 (32): 43-64, 2020
16 정진영, "남북관광교류협력과 제주의 미래" 10 (10): 37-58, 2019
17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남북관계 변화와 남북관광 전망" (72) : 62-77, 2018
18 김차영, "김정은 시대 북한의 경제 변화 방향성에 관한 연구-북한 학술지 『경제연구』 주제 분석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3 (23): 83-113, 2019
19 한국관광학회, "관광학총론" 백산출판사 2009
20 한국관광학회, "관광학원론" 백산출판사 2017
21 이연택, "관광학" 백산출판사 2015
22 심원섭, "관광정책연구의 학문적 지향과 과제: 「관광학연구」 게재 논문 경향을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44 (44): 57-86, 2020
23 채재득, "관광업과 그 경제적특성" (2) : 32-36, 1996
24 채재득, "관광업경영방법론" 사회과학출판사 2015
25 한국관광학회, "관광사업론" 백산출판사 2017
26 칼포퍼, "객관적지식:진화론적접근" 철학과현실사 1975
27 Jafari, J., "Toward a framework for tourism education : problems and prospects" 8 (8): 13-34, 1981
28 Goeldner, C. R., "Tourism: principles, practices, philosophies" John Wiley & Sons 2012
29 Fletcher, J., "Tourism: principles and practice" Pearson 2018
30 de Esteban, J., "Theory of knowledge of tourism : A sociological and epistemological reflection" 1 (1): 2-15, 2015
31 Mill, R., "The tourism system" Kendall Hunt 2009
32 Leiper, N., "The framework of tourism" 6 (6): 390-407, 1979
33 Echtner, C. M., "The disciplinary dilemma of tourism studies" 24 (24): 868-883, 1997
34 Jafari, J., "Research and scholarship : The basis of tourism education" 1 : 33-41, 1990
35 ERINA, "Recent development of tourism in the DPRK" 152 : 48-52, 2020
36 Li, Z., "Perceiving North Korea through Chinese tourists’ eyes" 76 (76): 150-163, 2021
37 Pritchard, A., "Hopeful tourism : A new transformative perspective" 38 (38): 941-963, 2011
38 Chung, J. Y., "Generational differences in international stereotypes and destination images : tourism between partitioned states" 36 (36): 865-876, 2019
39 Cooper, C., "Essentials of Tourism" Sage 2021
40 정광균, "DMZ 일원지역에 대한 관광정책 변동의 경로의존성 분석" 관광연구소 33 (33): 157-180, 2021
41 Li, F. S., "Border resident perceptions of sanctions and tourism: A case study of North Korea" 38 : 100821-, 2021
42 Cheng, C-K., "An examination of tourism journal development" 32 (32): 53-61, 2011
43 Leiper, N., "An emerging discipline" 27 (27): 805-809, 2000
44 매일경제, "26호 모범기대 창조운동"
관광개발에 따른 지역주민 갈등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제주지역 관광개발 사례 대상으로 -
랜선 투어에 참여하는 관광객의 감동요인 의미 고찰 - 랜선 투어 여행 후기 분석을 중심으로 -
캠핑지 선택속성이 장소성 형성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7 | 1.77 | 1.8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92 | 1.86 | 2.171 | 0.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