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미국, 인도, 호주 그리고 아세안 국가들과 함께 자유롭게 개방된 인도 · 태평양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도 역시 새로운 실크로드 경제권인 일대일로 구상을 추진하면서 미국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일본은 미국, 인도, 호주 그리고 아세안 국가들과 함께 자유롭게 개방된 인도 · 태평양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도 역시 새로운 실크로드 경제권인 일대일로 구상을 추진하면서 미국과 ...
일본은 미국, 인도, 호주 그리고 아세안 국가들과 함께 자유롭게 개방된 인도 · 태평양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도 역시 새로운 실크로드 경제권인 일대일로 구상을 추진하면서 미국과 일본 대 중국이 헤게모니 경쟁을 전개하고 있다. 아세안은 특유의 아세안 방식(ASEAN Way)을 통해 미일과 중국 사이에서 균형전략(balancing strategy)과 헤징전략(hedging strategy)을 통해 독자적인 생존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미일 주도의 인도 · 태평양 전략과 중국의 일대일로 구상이라는 새로운 지역 질서 확립 전략의 중요한 요소로서 일본이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 · 태평양 전략(FOIPS)의 이름으로 추구해온 세 가지 측면의 안정적이고 다각적인 세력균형의 창출, 지역적인 회복력(regional resiliency)과 발전의 연결성 증진 그리고 규칙 제정과 규범의 확립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이 논문은 일본과 아세안과의 협력이 지역의 신 냉전 출현을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지역 질서 구축 전략으로 이 지역의 협력, 번영, 그리고 평화적인 안정에 핵심적 역할을 달성한다는 전망으로 결론을 내릴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진, "인도-태평양 구상 발원지는 일본, 전개 방향 주시 필요"
2 김석수, "아베 정부의 인도⋅태평양 구상의 전개 과정" 한국세계지역학회 37 (37): 205-230, 2019
3 정구연, "미중 세력전이와 미국 해양전략의 변화: 회색지대갈등을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24 (24): 87-112, 2018
4 "独自のインド太平洋構想など採択 ASEAN 首脳会議が閉幕"
5 Ministry of Defense of Japan, "‘Vientiane Vision: Japan’s Defense Cooperation Initiative with ASEAN"
6 Jiechi, Yang, "Working Together to Build a World of Lasting Peace and Universal Security and a Community with a Shared Future for Mankind" 2018
7 Tham, Jansen, "What’s in Indonesia’s Indo-Pacific Cooperation Concept?" 16 : 2018
8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Toward a free and open Indo-Pacific"
9 Akihiko, Tanaka, "The scope of free and Indo-Pacific strategy" 47 : 2018
10 Hoffman, Frank G, "The Contemporary Spectrum of Conflict: Protracted, Gray zone, Ambiguous and Hybrid Modes of War" The Heritage Foundation 2015
1 박성진, "인도-태평양 구상 발원지는 일본, 전개 방향 주시 필요"
2 김석수, "아베 정부의 인도⋅태평양 구상의 전개 과정" 한국세계지역학회 37 (37): 205-230, 2019
3 정구연, "미중 세력전이와 미국 해양전략의 변화: 회색지대갈등을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24 (24): 87-112, 2018
4 "独自のインド太平洋構想など採択 ASEAN 首脳会議が閉幕"
5 Ministry of Defense of Japan, "‘Vientiane Vision: Japan’s Defense Cooperation Initiative with ASEAN"
6 Jiechi, Yang, "Working Together to Build a World of Lasting Peace and Universal Security and a Community with a Shared Future for Mankind" 2018
7 Tham, Jansen, "What’s in Indonesia’s Indo-Pacific Cooperation Concept?" 16 : 2018
8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Toward a free and open Indo-Pacific"
9 Akihiko, Tanaka, "The scope of free and Indo-Pacific strategy" 47 : 2018
10 Hoffman, Frank G, "The Contemporary Spectrum of Conflict: Protracted, Gray zone, Ambiguous and Hybrid Modes of War" The Heritage Foundation 2015
11 Economic Research Institute for ASEAN and East Asia, "The Comprehensive Asia Deve lopment Plan"
12 Roberts Brad, "The Case for US Nuclear Weapons in the 21st century"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6
13 Charissa. Yong, "Singapore Will Not Join Indo-Pacific Bloc for Now: Vivian"
14 Kamiya, "Security order in Asia" JIIA 2013
15 The White House, "Remarks by Vice President Pence at the 6th U.S.-ASEA N Summit"
16 The White House, "Remarks by President Trump at APEC CEO Summit"
17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RCEP) Summit"
18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Priority Policies for Development Cooperation FY"
19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Prime Minister Abe Visits China"
20 Tammen, Ronald L, "Power Transitions: Strategies for the 21st Century" CQ Press 2000
21 "MOD’s capacity-building assistance in Timor-Lestle"
22 Corey Wallace, "Leaving (North-east) Asia?" 94 (94): 2018
23 Maslow, Sebastian, "Japan’s ‘Pivot to Asia’: Tokyo Discovers the Indo-Pacific" 2018
24 Suzuki, Yoshikatsu, "Japan’s strategic diplomacy" Chikuma Syobo 2017
25 Kamiya, Matake, "Japan’s Asia strategy and Indo-Pacific: Japan’s diplomacy at an era of Indo-Pacific: responses to swing states" JIIA 2015
26 Chanlett-Avery, Emma, "Japan, the Indo-Pacific, and the ‘Quad’" 14 : 2018
27 Kobara, Junnosuke, "Japan and China See Abe’s 3 Principles, Slightly Differently" 30 : 2018
28 "Japan Shifts its Focus on Indo-Pacific"
29 Satake, Tomohiko, "How to Normalise Sino-Japanese Defence Relations" 24 : 2015
30 Ministry of Defense of Japan, "HA/DR"
31 David. A Brewster, "Free and Open Indo-Pacific’ and What It Means for Australia"
32 "Expanding the U.S.-Japan alliance to Indo-Pacific"
33 Satake, Tomohiko, "East Asian Strategic Review" National Institute for Defense Studies 2017
34 Satake, Tomohiko, "East Asian Strategic Review" National Institute for Defense Studies 2018
35 Alison, Graham, "Destined for War: Can America and China Escape Thucydides’s Trap"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7
36 Acquisition, Technology and Logistics Agency, "Defense Equipment and Technology Cooperation"
37 Swaine, D. Michael, "Creating an Unstable Asia: The U.S. ‘Free and Open Indo-Pacific. Strategy" 2 : 2018
38 Michishita, Narushige, "Cooperate and Compete: Abe’s New Approach to China"
39 Wendt, A, "Constructing nternational politics" 20 (20): 1995
40 Kratochwil, F, "Constructing a new orthodoxy? Wendt’s ‘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and the constructivist challenge" 29 (29): 2000
41 Rory Medcalf, "China and the Indo-Pacific: Multipolarity, Solidarity and Strategic Patience" 2018
42 Ministry of Defense of Japan, "Capacity Building Assistance"
43 Ministry of Defense of Japan, "Capacity Building Assistance"
44 Grace, Abigail, "Beyond Defining a ‘Free and Open Indo-Pacific"
45 Abe, Shinzo, "Asia’s Democratic Security Diamond"
46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Address by Prime Minister Shinzo Abe at the Opening Session of the Sixth Tokyo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frican Development(TICAD VI)"
47 Ministry of Defense of Japan, "Achievements of Japan-ASEAN Defense Cooperation Based on the ‘Vientiane Vision’"
48 Parameswaran, Prashanth, "ASEAN’s Role in a U.S. Indo-Pacific Strategy"
49 Sen Ashish, Kumar, "A Free and Open Indo-Pacific" 31 : 2018
50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14th ASEAN-Japan Summit (Overview)"
인도태평양 시대 한국의 ‘신남방정책’과 새로운 지역주의 전략의 모색
신기후체제와 동북아시아 에너지협력: 차별화된 책임에서 지역책임으로
시진핑 체제 이후 중국의 경제적 국가책략: 경쟁, 관여와 강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9-06-30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동북아연구소 ->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 |
2009-06-1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통일문제연구소 -> 동북아연구소영문명 : The Institute of National Unification -> The Institute for Northeast Asia Research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2 | 0.35 | 0.605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