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수업 실행 연구: 중학교 기권 단원 수업 사례 = Action Research for Co-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s using Smart Devices : The Case of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s on the Atmosphere Unit in Middle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504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is study is a action research for the co-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CCSM) using smart device. The CCSM practices on the unit of atmosphere in the middle school. In contrast to the existing research on CCSM, we propose the process of applying the CCSM to the class in the general school, and try to find a teaching strategy that can activate the formation of the class model. We analyzed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actual CCSM class and executing the CCSM. We have specifically described the steps to design and implement the CCSM modul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model - based teaching & learning strategy to the CCSM in general school. It has also been assisted by smart devices to facilitat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presentation of the expressed model and the evalu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model between the groups. In particular, at the stage of forming the class model, the teacher used the smart device to present the model in the order of model that is far from the target model and close to the target model. We can confirm that interactions occur between groups’ model through model evaluation and model modification. Based on the results, we also proposed a method to practice classroom teaching in general school.
      번역하기

      his study is a action research for the co-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CCSM) using smart device. The CCSM practices on the unit of atmosphere in the middle school. In contrast to the existing research on CCSM, we propose the process of applying th...

      his study is a action research for the co-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CCSM) using smart device. The CCSM practices on the unit of atmosphere in the middle school. In contrast to the existing research on CCSM, we propose the process of applying the CCSM to the class in the general school, and try to find a teaching strategy that can activate the formation of the class model. We analyzed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actual CCSM class and executing the CCSM. We have specifically described the steps to design and implement the CCSM modul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model - based teaching & learning strategy to the CCSM in general school. It has also been assisted by smart devices to facilitat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presentation of the expressed model and the evalu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model between the groups. In particular, at the stage of forming the class model, the teacher used the smart device to present the model in the order of model that is far from the target model and close to the target model. We can confirm that interactions occur between groups’ model through model evaluation and model modification. Based on the results, we also proposed a method to practice classroom teaching in general schoo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중학교 기권 단원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the co-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이하 CCSM) 수업을 실행하기 위한 실천 연구이다. 기존의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즉 CCSM 관련 연구와 달리 일반 학교에서 CCSM를 수업에 적용하는 과정을 제시하고, 학급 모형 형성 단계를 활성화할 수 있는 교수 전략을 찾아보고자 한다. 연구자가 실제 수업을 구성하고 수업 실행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CCSM 수업 모듈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철차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일반학교에서의 CCSM 수업 모듈을 적용하기 위하여 모형 기반 교수-학습 전략의 적용이 필요하였다. 또한, 표현된 모형으로의 표현과 모둠 간 모형 평가와 수정의 상호작용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스마트 기기의 도움을 받았다. 특히, 학급 모형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교사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모둠의 모형을 목표 모형과 거리가 먼 모형부터 가까운 모형 순으로 발표하도록 하였다. 모둠 간 모형 평가와 모형의 수정이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 학교 현장에서 CCSM 수업을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중학교 기권 단원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the co-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이하 CCSM) 수업을 실행하기 위한 실천 연구이다. 기존의 과학적 모형의 사...

      이 연구는 중학교 기권 단원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the co-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이하 CCSM) 수업을 실행하기 위한 실천 연구이다. 기존의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즉 CCSM 관련 연구와 달리 일반 학교에서 CCSM를 수업에 적용하는 과정을 제시하고, 학급 모형 형성 단계를 활성화할 수 있는 교수 전략을 찾아보고자 한다. 연구자가 실제 수업을 구성하고 수업 실행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CCSM 수업 모듈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철차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일반학교에서의 CCSM 수업 모듈을 적용하기 위하여 모형 기반 교수-학습 전략의 적용이 필요하였다. 또한, 표현된 모형으로의 표현과 모둠 간 모형 평가와 수정의 상호작용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스마트 기기의 도움을 받았다. 특히, 학급 모형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교사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모둠의 모형을 목표 모형과 거리가 먼 모형부터 가까운 모형 순으로 발표하도록 하였다. 모둠 간 모형 평가와 모형의 수정이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 학교 현장에서 CCSM 수업을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함동철, "천문 단원 모형 구성 수업에서 또래간 상호작용에 의한 중학생의 모형 변화 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2 오현석, "지구계 수업 모듈 중 그리기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인지 특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30 (30): 96-110, 2009

      3 김유진, "중학생 소집단의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수업에서 제약조건들의 양상과 영향" 서울대학교 2015

      4 김민석, "중학생 소집단의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과정 이해 : 상황 정의와 상호주관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5 신영준, "중학교 과학2" 천재교육 2013

      6 유희원,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과학적 모형 구성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 영재들의 모형 생성 및 발달 과정" 한국영재학회 22 (22): 291-315, 2012

      7 오현석, "단어와 그림으로 표현된 8학년 학생들의 ‘지구’에 대한 심상에서 나타난 지구계 이해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31 (31): 71-87, 2010

      8 최윤성,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수업을 적용한 야외지질학습에서 나타나는 조별 모형 구성과정 이해-제약조건을 중심으로 서울 화강암을 기반으로 하는 산의 형성에 관한 설명 모델" 서울대학교 2016

      9 최요한,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과정을 적용한 야외 지질 답사 사례 연구: 모형 구성 과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5

      10 유희원,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공동구성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 영재 학생들의 상호작용 역할과 개인의 내적, 관계적 요인 사이의 관련성" 한국영재학회 22 (22): 265-290, 2012

      1 함동철, "천문 단원 모형 구성 수업에서 또래간 상호작용에 의한 중학생의 모형 변화 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2 오현석, "지구계 수업 모듈 중 그리기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인지 특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30 (30): 96-110, 2009

      3 김유진, "중학생 소집단의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수업에서 제약조건들의 양상과 영향" 서울대학교 2015

      4 김민석, "중학생 소집단의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과정 이해 : 상황 정의와 상호주관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5 신영준, "중학교 과학2" 천재교육 2013

      6 유희원,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과학적 모형 구성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 영재들의 모형 생성 및 발달 과정" 한국영재학회 22 (22): 291-315, 2012

      7 오현석, "단어와 그림으로 표현된 8학년 학생들의 ‘지구’에 대한 심상에서 나타난 지구계 이해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31 (31): 71-87, 2010

      8 최윤성,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수업을 적용한 야외지질학습에서 나타나는 조별 모형 구성과정 이해-제약조건을 중심으로 서울 화강암을 기반으로 하는 산의 형성에 관한 설명 모델" 서울대학교 2016

      9 최요한,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과정을 적용한 야외 지질 답사 사례 연구: 모형 구성 과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5

      10 유희원,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공동구성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 영재 학생들의 상호작용 역할과 개인의 내적, 관계적 요인 사이의 관련성" 한국영재학회 22 (22): 265-290, 2012

      11 오필석, "과학 교사 전문성 연구의 방법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47-66, 2008

      12 소경희, "’교사 전문성’의 재개념화 방향 탐색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1 (21): 4-96, 2003

      13 Kosslyn SM, "When is early visual cortex activated during visual mental imagery?" 129 (129): 723-746, 2003

      14 Justi R,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s’ knowledge on models and modelling: Promoting, characterizing, and understanding the process" 27 (27): 549-573, 2005

      15 Kim C,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in the Asia-Pacific Region" Routledge 42-60, 2018

      16 Clement J, "Step-wise evolution of mental models of electric circuits: A “learning-aloud” case study" 11 (11): 389-452, 2002

      17 NCTM,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18 Rea-Ramirez MA, "Model of Conceptual Understanding in Human Respiration and Strategies for Instructio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1998

      19 Clement J, "Model construction and criticism cycles in expert reasoning" 1993

      20 Clement J, "Model based learning as a key research area for science education" 22 (22): 1041-1053, 2000

      21 Clement J, "Model Based Learning and Instruction in science" Springer 11-22, 2008

      22 Nunez-Oviedo MC, "Model Based Learning and Instruction in Science" Springer 173-193, 2008

      23 Vygotsky LS,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s" Harvard University Press 79-91, 1978

      24 Vosniadou S, "Mental models of the earth:A study of conceptual change in childhood" 24 (24): 535-585, 1992

      25 Vosniadou S, "Mapping the Mi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2-430, 1994

      26 Gobert JD, "Introduction to model-based teaching and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22 (22): 891-894, 2000

      27 Clement J, "Handbook of Creativity: Assessment, Theory and Research" Plenum 341-381, 1989

      28 Rea-Ramirez MA, "Discrepant questioning as a tool to build complex mental models of respiration" 2002

      29 Franco C, "Developing Models in Science Educa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0

      30 Justi R, "Chemical Education: Towards Research-Based Practice" Springer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신규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28 0.649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