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함동철, "천문 단원 모형 구성 수업에서 또래간 상호작용에 의한 중학생의 모형 변화 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2 오현석, "지구계 수업 모듈 중 그리기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인지 특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30 (30): 96-110, 2009
3 김유진, "중학생 소집단의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수업에서 제약조건들의 양상과 영향" 서울대학교 2015
4 김민석, "중학생 소집단의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과정 이해 : 상황 정의와 상호주관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5 신영준, "중학교 과학2" 천재교육 2013
6 유희원,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과학적 모형 구성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 영재들의 모형 생성 및 발달 과정" 한국영재학회 22 (22): 291-315, 2012
7 오현석, "단어와 그림으로 표현된 8학년 학생들의 ‘지구’에 대한 심상에서 나타난 지구계 이해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31 (31): 71-87, 2010
8 최윤성,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수업을 적용한 야외지질학습에서 나타나는 조별 모형 구성과정 이해-제약조건을 중심으로 서울 화강암을 기반으로 하는 산의 형성에 관한 설명 모델" 서울대학교 2016
9 최요한,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과정을 적용한 야외 지질 답사 사례 연구: 모형 구성 과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5
10 유희원,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공동구성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 영재 학생들의 상호작용 역할과 개인의 내적, 관계적 요인 사이의 관련성" 한국영재학회 22 (22): 265-290, 2012
1 함동철, "천문 단원 모형 구성 수업에서 또래간 상호작용에 의한 중학생의 모형 변화 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2 오현석, "지구계 수업 모듈 중 그리기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인지 특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30 (30): 96-110, 2009
3 김유진, "중학생 소집단의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수업에서 제약조건들의 양상과 영향" 서울대학교 2015
4 김민석, "중학생 소집단의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과정 이해 : 상황 정의와 상호주관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5 신영준, "중학교 과학2" 천재교육 2013
6 유희원,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과학적 모형 구성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 영재들의 모형 생성 및 발달 과정" 한국영재학회 22 (22): 291-315, 2012
7 오현석, "단어와 그림으로 표현된 8학년 학생들의 ‘지구’에 대한 심상에서 나타난 지구계 이해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31 (31): 71-87, 2010
8 최윤성,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수업을 적용한 야외지질학습에서 나타나는 조별 모형 구성과정 이해-제약조건을 중심으로 서울 화강암을 기반으로 하는 산의 형성에 관한 설명 모델" 서울대학교 2016
9 최요한,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과정을 적용한 야외 지질 답사 사례 연구: 모형 구성 과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5
10 유희원,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공동구성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 영재 학생들의 상호작용 역할과 개인의 내적, 관계적 요인 사이의 관련성" 한국영재학회 22 (22): 265-290, 2012
11 오필석, "과학 교사 전문성 연구의 방법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47-66, 2008
12 소경희, "’교사 전문성’의 재개념화 방향 탐색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1 (21): 4-96, 2003
13 Kosslyn SM, "When is early visual cortex activated during visual mental imagery?" 129 (129): 723-746, 2003
14 Justi R,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s’ knowledge on models and modelling: Promoting, characterizing, and understanding the process" 27 (27): 549-573, 2005
15 Kim C,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in the Asia-Pacific Region" Routledge 42-60, 2018
16 Clement J, "Step-wise evolution of mental models of electric circuits: A “learning-aloud” case study" 11 (11): 389-452, 2002
17 NCTM,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18 Rea-Ramirez MA, "Model of Conceptual Understanding in Human Respiration and Strategies for Instructio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1998
19 Clement J, "Model construction and criticism cycles in expert reasoning" 1993
20 Clement J, "Model based learning as a key research area for science education" 22 (22): 1041-1053, 2000
21 Clement J, "Model Based Learning and Instruction in science" Springer 11-22, 2008
22 Nunez-Oviedo MC, "Model Based Learning and Instruction in Science" Springer 173-193, 2008
23 Vygotsky LS,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s" Harvard University Press 79-91, 1978
24 Vosniadou S, "Mental models of the earth:A study of conceptual change in childhood" 24 (24): 535-585, 1992
25 Vosniadou S, "Mapping the Mi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2-430, 1994
26 Gobert JD, "Introduction to model-based teaching and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22 (22): 891-894, 2000
27 Clement J, "Handbook of Creativity: Assessment, Theory and Research" Plenum 341-381, 1989
28 Rea-Ramirez MA, "Discrepant questioning as a tool to build complex mental models of respiration" 2002
29 Franco C, "Developing Models in Science Educa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0
30 Justi R, "Chemical Education: Towards Research-Based Practice" Springer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