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점부 승강을 통한 교량구조물의 구조성능 개선 연구 (II)  :  (An Improvement of Stnlctiral Performance of Bridge Structures by Up-Down of Suppor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247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developed "Adjustable bearing" to control various problems of supporting regions. Oil pressure system are added at typical spherical bearing to control the vertical level of the bearing and to measure the induced reaction. Structural safety is verified by structural analyses and experimental studies for test products. Also, durability performance of the bearing is investigated through the fatigue tests and cyclic load tests. Developed bridge bearings are applied in Sangjeuk bridge. The negative reaction slates are created at some bearings on a abutment of the bridge, and, then, they have caused serious vibration, noise and impact when vehicles passes. To minimize the level difference of joint region adjusted the height of the bearing with measuring the induced load in replacing the bearing.
      번역하기

      We developed "Adjustable bearing" to control various problems of supporting regions. Oil pressure system are added at typical spherical bearing to control the vertical level of the bearing and to measure the induced reaction. Structural safety is veri...

      We developed "Adjustable bearing" to control various problems of supporting regions. Oil pressure system are added at typical spherical bearing to control the vertical level of the bearing and to measure the induced reaction. Structural safety is verified by structural analyses and experimental studies for test products. Also, durability performance of the bearing is investigated through the fatigue tests and cyclic load tests. Developed bridge bearings are applied in Sangjeuk bridge. The negative reaction slates are created at some bearings on a abutment of the bridge, and, then, they have caused serious vibration, noise and impact when vehicles passes. To minimize the level difference of joint region adjusted the height of the bearing with measuring the induced load in replacing the bear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교좌장치의 부반력, 신축이음부의 단차와 같은 지점부의 다양한 문제점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승강식 교좌장치를 개발하였다. 승강식 교좌장치는 기존의 스페리칼 받침에 상승과 하강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유압시스템을 추가하였으며, 유압시스템을 통하여 교좌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을 계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교좌장치는 구조해석과 다양한 구조실험을 통하여 안전성과 재구 성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승강식 교좌장치를 교좌장치가 열화되어 소음과 진동이 유발되고 있는 경부선 상적교에 적용함으로써 시공성을 확인하였다. 상적교의 교좌장치 교체시에는 각각의 교좌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을 균일하게 도입하면서, 신축이음부의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또한 교좌장치 교체 전ㆍ후의 거동을 특정하고, 교좌장치 교체를 통하여 중차량 통과시의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하면서, 내하력을 개선할 수 있었다. 또한 승강식 교좌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정밀시공을 유도하여 교량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지관리시에 발생할 수있는 지점부의 단차, 부등침하 등을 손쉽게 보정할 수 있는 방법과 연속교량의 내부지점부의 상승 및 하강을 통한 바닥판 횡방향 균열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교좌장치의 부반력, 신축이음부의 단차와 같은 지점부의 다양한 문제점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승강식 교좌장치를 개발하였다. 승강식 교좌장치는 기존의 스페리칼 받침에 상승과 하강 기능...

      교좌장치의 부반력, 신축이음부의 단차와 같은 지점부의 다양한 문제점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승강식 교좌장치를 개발하였다. 승강식 교좌장치는 기존의 스페리칼 받침에 상승과 하강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유압시스템을 추가하였으며, 유압시스템을 통하여 교좌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을 계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교좌장치는 구조해석과 다양한 구조실험을 통하여 안전성과 재구 성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승강식 교좌장치를 교좌장치가 열화되어 소음과 진동이 유발되고 있는 경부선 상적교에 적용함으로써 시공성을 확인하였다. 상적교의 교좌장치 교체시에는 각각의 교좌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을 균일하게 도입하면서, 신축이음부의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또한 교좌장치 교체 전ㆍ후의 거동을 특정하고, 교좌장치 교체를 통하여 중차량 통과시의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하면서, 내하력을 개선할 수 있었다. 또한 승강식 교좌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정밀시공을 유도하여 교량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지관리시에 발생할 수있는 지점부의 단차, 부등침하 등을 손쉽게 보정할 수 있는 방법과 연속교량의 내부지점부의 상승 및 하강을 통한 바닥판 횡방향 균열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표목차
      • 그림목차
      • 요약문
      • ABSTRACT
      • 목차
      • 표목차
      • 그림목차
      • 요약문
      • ABSTRACT
      • 제 1 장 서론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2 연구내용 및 방법
      • 제 2 장 교량의 지점부 거동 특성
      • 2.1 교좌장치의 특성
      • 2.2 연속교량의 내부 지점부의 거동 특성
      • 제 3 장 승강식 교좌장치 개발
      • 3.1 개요
      • 3.2 승강식 교좌장치의 현황
      • 3.3 시작품 제작
      • 3.4 교좌장치 안전성실험
      • 3.5 교좌장치의 내구성실험
      • 3.6 시험 결과 분석
      • 제 4 장 승강식교좌장치 특성
      • 4.1 승강식 교좌장치 개념
      • 4.2 승강식 교좌장치의 특징 및 기능
      • 4.3 교좌장치 제작시방서
      • 제 5 장 승강식 교좌장치 시험시공
      • 5.1 교량 현황
      • 5.2 교좌장치 교체 방법
      • 5.3 시험 시공
      • 제 6 장 교좌장치 교체 효과 분석
      • 6.1 교량의 거동 계측
      • 6.2 2차로 주행시험 결과
      • 6.3 3차로 주행시험 결과
      • 6.4 교량의 진동특성
      • 6.5 내하력 평가
      • 제 7 장 지점부 승강을 통한 성능 개선
      • 7.1 개 요
      • 7.2 하중 재분배를 통한 교좌장치 정밀 시공
      • 7.3 유지판리시의 보수 및 보강
      • 7.4 바닥판의 횡방향 균열 제어
      • 제 8 장 결 론
      •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