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좌장치의 부반력, 신축이음부의 단차와 같은 지점부의 다양한 문제점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승강식 교좌장치를 개발하였다. 승강식 교좌장치는 기존의 스페리칼 받침에 상승과 하강 기능...
교좌장치의 부반력, 신축이음부의 단차와 같은 지점부의 다양한 문제점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승강식 교좌장치를 개발하였다. 승강식 교좌장치는 기존의 스페리칼 받침에 상승과 하강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유압시스템을 추가하였으며, 유압시스템을 통하여 교좌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을 계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교좌장치는 구조해석과 다양한 구조실험을 통하여 안전성과 재구 성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승강식 교좌장치를 교좌장치가 열화되어 소음과 진동이 유발되고 있는 경부선 상적교에 적용함으로써 시공성을 확인하였다. 상적교의 교좌장치 교체시에는 각각의 교좌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을 균일하게 도입하면서, 신축이음부의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또한 교좌장치 교체 전ㆍ후의 거동을 특정하고, 교좌장치 교체를 통하여 중차량 통과시의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하면서, 내하력을 개선할 수 있었다. 또한 승강식 교좌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정밀시공을 유도하여 교량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지관리시에 발생할 수있는 지점부의 단차, 부등침하 등을 손쉽게 보정할 수 있는 방법과 연속교량의 내부지점부의 상승 및 하강을 통한 바닥판 횡방향 균열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