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심지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가 도시 내 지역 간 경제적 격차에 미치는 영향 = Impacts of Economic Dependency on Intra-urban Economic Disparity: The Relations between Three City Centers and Other Districts i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822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2030 도시기본계획』상 서울 3도심에 해당하는 지역들에 대한 서울 자치구들의 경제적 의존도가 이들 간의 경제적 지역격차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규명하...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2030 도시기본계획』상 서울 3도심에 해당하는 지역들에 대한 서울 자치구들의 경제적 의존도가 이들 간의 경제적 지역격차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규명하고, 둘째, 이러한 영향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리고 지역별(구도심, 강남권 및 영등포권)로 어떻게 바뀌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수로 생활수준(소득수준, 소비수준)과 재정력 격차를 설정하였고, 독립변수로 통근통행량을 측정되는 경제적 의존도를 설정하였으며, 통제변수로 내생적 성장이론과 신고전파성장이론에 의한 경제성장요인들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구도심에 대한 여타 지역의 경제적 의존도는 지역격차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던 반면, 강남ㆍ영등포권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는 지역격차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영향의 정도가 대체로 더 커져왔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서울 구도심뿐만 아니라 강남ㆍ영등포권에 대한 중심지 기능의 강화가 서울시의 3도심 체제로의 개편이 다핵중심도시로의 변화 및 자치구들 간 균형발전이라는 목적이 달성되기 보다는 자치구들 간 경제적 격차를 오히려 심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first, what impacts economic dependency of districts in Seoul on city center areas did on regional economic disparities, and second, how these impact have changed over time and by areas (old city center and 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first, what impacts economic dependency of districts in Seoul on city center areas did on regional economic disparities, and second, how these impact have changed over time and by areas (old city center and new city centers). For this analyses, this study employs living standards (income and consumption) and fiscal capacity as dependent variables, economic dependency measured by commuting ratio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various economic growth factors based on indigenous growth theory and neoclassical growth theory. The results show that economic dependency on old city center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regional disparity, while economic dependency on new city centers did have very strong influence on regional disparity and its influence has been increased. These results imply that transforming to multi city center system in Seoul does not benefit to the balanced growth among districts, rather it could worsen regional economic disparities among distri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논의
      • Ⅲ. 연구 설계
      • Ⅳ. 분석 결과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논의
      • Ⅲ. 연구 설계
      • Ⅳ. 분석 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