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에서는 2007,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도덕 교과서에 나타나고 있는 성역할에 대해서 분석하여, 교육과정별 성역할 및 성 형평성을 위하여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지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88362
2023
-
373
KCI등재
학술저널
13-27(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2007,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도덕 교과서에 나타나고 있는 성역할에 대해서 분석하여, 교육과정별 성역할 및 성 형평성을 위하여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지와 ...
목적 본 연구에서는 2007,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도덕 교과서에 나타나고 있는 성역할에 대해서 분석하여, 교육과정별 성역할 및 성 형평성을 위하여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지와 교육과정별로 얼마나 개선되었는지와 향후 어떻게 나아가야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07,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3,6학년 도덕 교과서 7종을 대상으로, 등장인물 삽화 및 그림 그리고 텍스트를 통하여 내용 분석을 하였다.
결과 이를 위하여 2007,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도덕교과서(3학년, 6학년) 7종을 대상으로 성역할 분석 기준에 따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개정 교육과정별 등장인물과 주연인물을 전체 분석하였고, 활동 유형별 등장인물, 주연 인물을 분석하였다. 또한 성인 등장인물의 직업 분포를 분류하여 성 형평성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결론 성 형평성을 위해서 교과서에 등장하는 남녀의 비중을 동등하게는 하였으나, 주연 인물은 여전히 남자가 더 많이 차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직업 분포 또한 대다수의 직종은 남자가 훨씬 많이 등장하였다. 이는 교과서의 성 형평성적인 부분에서 형식상으로만 내용을 구성하고 세부적인 내용은 여전히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ender roles in elementary moral textbooks of the 2007,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much efforts are being made for gender role and gender equity, how much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ender roles in elementary moral textbooks of the 2007,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much efforts are being made for gender role and gender equity, how much has been improved by curriculum, and how to move forward in the future.
Methods To this e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7 types of moral textbooks in the 3rd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2009, and 2015 through character illustrations, drawings, and text.
Results To this e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gender role analysis criteria for seven types of moral textbooks (third grade and sixth grade)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2009, and 2015. Characters and leading characters by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as a whole, and characters and leading characters by activity type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gender equity was examined by classifying the job distribution of adult characters.
Conclusions For gender equity, the proportion of men and women in textbooks was equal, but it was still seen that men accounted for more of the main characters.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jobs was also much more male in the majority of occupa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was composed only in form in the part of gender equity in the textbook, and the detailed content was still different.
목차 (Table of Contents)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 유형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비교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명의식, 긍정심리자본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