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인쇄문화 연구는 세계최초의 금속활자에 초점을 맞춰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활자의 탄생이 중요한 이유는, 이 활자를 이용한 인쇄를 통해 값싸고 손쉽게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인쇄문화 연구는 세계최초의 금속활자에 초점을 맞춰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활자의 탄생이 중요한 이유는, 이 활자를 이용한 인쇄를 통해 값싸고 손쉽게 ...
한국의 인쇄문화 연구는 세계최초의 금속활자에 초점을 맞춰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활자의 탄생이 중요한 이유는, 이 활자를 이용한 인쇄를 통해 값싸고 손쉽게 서적을 보급할 수 있기 때문이지, 단지 금속활자를 만들었다는 그 사실에 있는 것은 아니다. 조선시대 상류계층이 아닌 일반 민중에게까지 서적을 보급시킬 수 있었던 계기는, 바로 방각본의 출현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방각본 연구는 김동욱이 선편을 잡은 이래, 고소설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김동욱 이후에 한글방각본의 연구는 어느 정도 성과를 이루고 있으나, 한문방각본은 아직 그 전체 목록도 만들어지지 않았다. 김동욱은 『춘향전』 연구를 위해 방각본을 연구하기 시작한 후, 고소설 일반, 그리고 한문 방각본까지 그 범위를 넓혔다. 이와 같은 김동욱의 방각본 연구를 생각한다면, 현재 한국의 방각본 연구는 김동욱의 연구에 머무르고 있는 것 같은 인상을 지울 수 없다. 과거에 비해 방각본 연구가 늘어났다고 하지만, 좀 더 높은 수준의 방각본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유부현, "「동몽선습」의 서지적 연구" (5ㆍ6) : 1990
2 최영희, "한글소설 방각본 서체의 조형적 특징 연구 -경판본과 완판본을 중심으로-" 한국동양예술학회 (42) : 299-331, 2019
3 김동욱, "한글小說 坊刻本의 成立에 對하여" 서울역사편찬원 (8) : 38-67, 1960
4 류준경, "한국사 시민강좌 37" 일조각 2005
5 김윤수, "태인방각본 <상설고문진보대전>과 <사요취선>" 5-6 : 1990
6 이혜경, "조선조 방각본의 서지학적 연구"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9
7 정병설, "조선시대 소설의 생산과 유통" 서울대출판문화원 2016
8 이윤석, "조선시대 상업출판" 민속원 2016
9 부길만, "조선시대 방각본 출판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3
10 김효경, "조선시대 간찰 서식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5
1 유부현, "「동몽선습」의 서지적 연구" (5ㆍ6) : 1990
2 최영희, "한글소설 방각본 서체의 조형적 특징 연구 -경판본과 완판본을 중심으로-" 한국동양예술학회 (42) : 299-331, 2019
3 김동욱, "한글小說 坊刻本의 成立에 對하여" 서울역사편찬원 (8) : 38-67, 1960
4 류준경, "한국사 시민강좌 37" 일조각 2005
5 김윤수, "태인방각본 <상설고문진보대전>과 <사요취선>" 5-6 : 1990
6 이혜경, "조선조 방각본의 서지학적 연구"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9
7 정병설, "조선시대 소설의 생산과 유통" 서울대출판문화원 2016
8 이윤석, "조선시대 상업출판" 민속원 2016
9 부길만, "조선시대 방각본 출판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3
10 김효경, "조선시대 간찰 서식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5
11 유춘동, "일본 동양문고 소장 세책 고소설의 성격과 의미" 민족문화연구원 (64) : 283-309, 2014
12 이능우, "이야기책(「고대소설」) 板本誌略" 숙명여자대학교 1964
13 이태영, "완판본 인쇄ㆍ출판의 문화사적 연구" 역락 2021
14 류탁일, "완판방각소설의 문헌학적 연구" 학문사 1981
15 김동욱, "영인고소설판각본전집 1-3" 연세대 인문과학연구소 1973
16 김동욱, "영인고소설판각본전집 4-5" 나손서옥 1975
17 이정원, "안성판 방각본의 소설 판본" 한국고전연구학회 (14) : 219-244, 2006
18 최호석, "안성판 방각본 출판의 전개와 특성" 민족어문학회 (54) : 173-193, 2006
19 이창헌, "소설 방각본의 한글 각자체(刻字體)소고" 한국고전번역원 28 : 2005
20 정명기, "세책본소설의 유통양상-동양문고 소장 세책본소설에 나타난 세책장부를 중심으로-" 한국고소설학회 (16) : 3-100, 2003
21 유춘동, "세책(貰冊)과 방각본(坊刻本) : 조선의 독서열풍과 만나다" 국립중앙도서관 2016
22 전상욱, "세책 총 목록에 대한 연구" 열상고전연구회 (30) : 163-183, 2009
23 전상욱, "세책 대출장부 연구 1-세책 대출장부의 유형과 실상-" 열상고전연구회 (27) : 361-396, 2008
24 이민희, "상품 생산 측면에서 본 고소설 세책 및 출판의 의미" 한국문학회 (89) : 195-233, 2021
25 김동욱, "방각본에 대하여" 연세대 동방학연구소 11 : 1970
26 김동욱, "방각본소설 완판ㆍ경판 안성판의 내용 비교연구" 연세대 대학원 10 : 1973
27 안춘근, "방각본논고" 창간호, 한국서지연구회 (창간) : 1968
28 전상욱, "방각본 춘향전의 성립과 변모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29 주형예, "매체와 서사의 연관성으로 본 19세기 대중소설 시장의 성격" 한국고소설학회 (27) : 201-229, 2009
30 김동욱, "경판본 방각본소설에 대하여(Ⅱ)"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33 : 1975
31 李昶憲, "경판방각소설 판본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32 주형예, "강태공전:초역(抄譯) 현상을 통해 본 방각본 소설시장의 일면" 열상고전연구회 (57) : 187-220, 2017
33 옥영정, "非小說 漢文坊刻本 刊行에 대한 書誌的 고찰" 열상고전연구회 (31) : 213-254, 2010
34 류준경, "達板 坊刻本 연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5) : 57-87, 2005
35 최호석(崔皓晳), "大邱 在田堂書鋪의 出版 活動 연구 - 在田堂書鋪의 出版人과 刊行 書籍을 중심으로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229-254, 2006
36 류준경, "坊刻本 簡札敎本 硏究" 한국한문고전학회 18 (18): 257-291, 2009
37 박훈평, "「방약합편」 목판본에 관한 서지적 연구" 한국서지학회 (74) : 163-185, 2018
해방 후 임순득의 ‘여성해방 의식’과 북한의 ‘장르문학’ 창작: 오체르크와 뿌블리찌스찌까에 대하여
나손 김동욱 선생의 기녀사: ‘기녀/기생/창기’ 개념의 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