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7
2 류영재, "사법의 책무와 독립성을 조화시키기 위한 실천적 과제 제안 : 사법행정 제도개혁을 중심으로" 법과사회이론학회 (60) : 97-118, 2019
3 강일신, "사법의 민주적 정당성" 2020
4 이상덕, "사법부 내에서의 법관의 독립 ― 독일의 사례․제도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34) : 65-106, 2012
5 김봉철, "법관의 사법행정참여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8 (8): 57-83, 2020
6 박경열, "법관에 대한 ‘직무평정’과 ‘평가’ - 독일 사례의 분석과 제언 -" 한국법학원 179 : 46-98, 2020
7 정진수, "법관 근무평정제도에 대한 소고" 우리법연구회 I : 2005
8 정성민, "독일의 합의재판부 구성 및 합의부의 재판방식에 관한 연구" 법원행정처 20 : 2017
9 이종수, "독일의 사법제도에 관한 小考 — 특히 법관인사 등 사법행정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27 (27): 89-117, 2017
10 박경열, "독일의 법관임용제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사법정책연구원 25 : 2019
1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7
2 류영재, "사법의 책무와 독립성을 조화시키기 위한 실천적 과제 제안 : 사법행정 제도개혁을 중심으로" 법과사회이론학회 (60) : 97-118, 2019
3 강일신, "사법의 민주적 정당성" 2020
4 이상덕, "사법부 내에서의 법관의 독립 ― 독일의 사례․제도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34) : 65-106, 2012
5 김봉철, "법관의 사법행정참여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8 (8): 57-83, 2020
6 박경열, "법관에 대한 ‘직무평정’과 ‘평가’ - 독일 사례의 분석과 제언 -" 한국법학원 179 : 46-98, 2020
7 정진수, "법관 근무평정제도에 대한 소고" 우리법연구회 I : 2005
8 정성민, "독일의 합의재판부 구성 및 합의부의 재판방식에 관한 연구" 법원행정처 20 : 2017
9 이종수, "독일의 사법제도에 관한 小考 — 특히 법관인사 등 사법행정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27 (27): 89-117, 2017
10 박경열, "독일의 법관임용제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사법정책연구원 25 : 2019
11 유동균, "독일 판사회의의 형태 및 역할에 관한 연구" 법원행정처 22 : 2018
12 이춘근, "독일 법관의 공정성과 윤리성 제고 방안" 17 : 2015
13 Hoepner, "Was sind Maßnahmen der Dienstaufsicht im Sinne der §§ 26 Abs. 3, 62 Abs. 1 Nr. 4 Buchstabe e des Deutschen Richtergesetzes?" 1964
14 Haberland, "Richterliche Unabhängigkeit und dienstliche Beurteilungen" 2009
15 Kissel, "Gerichtsverfassungsgesetz" C.H.Beck 2018
16 Joeres, "Die sachliche Unabhängigkeit des Richters in der Rechtsprechung des Bundesgerichtshofes" 2005
17 Papier, "Die richterliche Unabhängigkeit und ihre Schranken" 2001
18 Wittreck, "Die Verwaltung der Dritten Gewalt" Mohr Siebeck 2006
19 Schmidt-Räntsch, "Deutsches Richtergesetz" C.H.Beck 2009
20 Staats, "Deutsches Richtergesetz" Nomos 2012
21 Priepke, "Der Umfang der allgemeinen Überwachungs- und Initiativrechte der örtlichen Richterräte" 1989
22 Epping, "BeckOK Grundgesetz" C.H.Beck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