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1950-70년대 식모 경험자의 구술생애 자료를 기초로 하여 그들의 노동이력을 통해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비공식 부문 노동자들이 담당해 온 역할을 재평가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50-70년대 식모 경험자의 구술생애 자료를 기초로 하여 그들의 노동이력을 통해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비공식 부문 노동자들이 담당해 온 역할을 재평가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노...
이 글은 1950-70년대 식모 경험자의 구술생애 자료를 기초로 하여 그들의 노동이력을 통해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비공식 부문 노동자들이 담당해 온 역할을 재평가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노동사에서 누락된 가사서비스업이나 가내수공업, 영세사업장에서의 노동 등 주변부 여성노동을 당대의 사회상 속에서 역사화하며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없었던 기층여성의 언어를 통해 그들이 구성하는 한국의 근대와 노동, 가족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술자들은 교육의 기회로부터 배제되어 10세를 전후하면서부터 일을 시작하여 40-50여 년을 공식 노동과 비공식 노동을 오가며 ‘그림자 노동’, 주변부 노동에 종사해 왔고 결혼과 출산 이후에도 노동의 성격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구술자들은 한국의 가부장제에서 희생되었지만 그들의 서사에서 정작 아버지나 남편은 부재하였으며 “충실한 딸”이자 어머니로 살아왔다. 이 글은 한국의 산업화 과정에서 여성노동이 형성되는 초기 맥락과 현실에서 ‘노동자로 어떻게 살아왔는가’에 주목하여 당대의 사회구조를 드러내는 경험연구로서의 의미도 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reevaluate the role that informal sector workers played in the modernization of South Korea through the oral histories of women who experienced domestic work in the 1950s and 1970s. It seeks to historicize and contextualize margin...
This article aims to reevaluate the role that informal sector workers played in the modernization of South Korea through the oral histories of women who experienced domestic work in the 1950s and 1970s. It seeks to historicize and contextualize marginalized women’s labor, which has until now been omitted from labor history, exploring modernity, family, and labor in South Korea through the voices and language of working class women. The narrators were excluded from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began working from around the age of 10. They continued to engage in ‘shadow work’ and peripheral work,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formal or informal labor sector for 40 to 50 years, and the nature of their work did not change even after marriage and childbirth. Although they were sacrificed in the South Korean patriarchal system, their fathers and husbands were absent from their narratives, thus revealing the fallacy inherent in the ‘male breadwinner’ ideology. This article is also significant as an empirical study, providing insight into the early context of women’s labor during South Korea’s modernization process and how people ‘lived as workers’.
근대화를 향한 지적 비약의 역사 — 홍정완(2021), 『한국 사회과학의 기원』, 역사비평사
민족과 사학의 사이: 식민지 사립전문학교의 존재방식에 대한 탐색 — 정준영 엮음(2023), 『식민지의 사립전문학교, 한국대학의 또 하나의 기원』, 소명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