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도가적 전통에서 바라 본 '욕망'과 '자아'의 해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917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동양적 담론에서는 욕망의 문제가 철저히 철학적 이론화를 통해서 체계화되지는 않았지만 인성론, 수양론, 실천론 속에서 지니는 고유한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서양과 마찬가지로...

      동양적 담론에서는 욕망의 문제가 철저히 철학적 이론화를 통해서 체계화되지는 않았지만 인성론, 수양론, 실천론 속에서 지니는 고유한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서양과 마찬가지로 동양사회 역시 개체적인 인간의 심리상태에서 차지하는 욕망의 지위와 의미에서부터 사회 내부에서 가해지는 군체적 욕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욕망의 발산과 수렴을 경험하였다. 그런 욕망의 메커니즘을 동양적 전통 가운데서 특히 도가적 전통이라는 프리즘을 통해 밝혀보고자 하는 것이 필자가 기획하고자 하는 바의 의도라고 할 수 있다.
      욕망과 자아의 문제는 동서를 막론하고 우리 인간의 현실적 삶 속에서 부단히 부닥치는 문제 가운데 하나이다. 오늘날 서양철학의 문맥에서 ‘욕망’과 ‘자아’라는 문제가 다양하게 읽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동양의 철학적 전통 속에서도 ‘욕망’과 ‘자아’의 문제는 중요한 전통 가운데 하나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동양 사회의 철학적 전통 가운데 한 축을 형성한 도가철학에서는 ‘욕망’과 ‘자아’의 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런 문제를 일상적인 삶의 테두리에서 어떻게 접근하고 있을까 동양사회 내부에서는 역대로 욕망에 대해 어떤 시각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어떤 담론을 형성하고 있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춰 보는 것은 우리의 정서와 감정에서 읽히는 욕망이라는 코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도가의 경우도 인간의 욕망이 발생하게 되는 계기와 그것을 극복하는 과정 자체를 人性論 내부에서 시작하여 형이상학적 宇宙論의 차원에 까지 끌고 올라가 논의를 펼친다. 인성론의 차원에서 욕망의 문제는 ‘인간의 生來的 자연의 모습인가 아니면 후천적인 파생물인가’라는 논의에서 시작하여, 그것이 자아의 문제와 결부되어진다. 다시 말해 우리의 일상 속에 놓여져 현시된 자아가 진실한 의미에서의 자아를 대표할 수 있을까 그것이 아니라면 우리의 현실 속에서 부단히 부닥치는 자아상은 과연 무엇에 의해 부단히 굴절되고 왜곡된 모습으로 우리에게 현시되는 것일까 도가는 인간적 현실 속에 도사리는 욕망에 의해 인간 본연의 모습이 다양하게 변형되며, 인간 본연의 가치가 타락된 모습으로 나타나게 된다는 것을 지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en a problem of 'desire' is called a problem of 'reason' by Western society, when that I tied up and talked on its correlation occupies the mainstream. The problem by which a problem of desire is the character of the man 'ego' in the Oriental intell...

      When a problem of 'desire' is called a problem of 'reason' by Western society, when that I tied up and talked on its correlation occupies the mainstream. The problem by which a problem of desire is the character of the man 'ego' in the Oriental intellect history. Or it's said that the problem of human desire was proceeded with the essential question to which I say 'What is the original character of the man ' Therefore a problem of human desire isn't the problem that simple individual's character theory ends. Its problem even expands to the dimension of the cosmological theory, and I also proceed with argument in the metaphysics-like are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