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거주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499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하는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이 지각된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ㆍ후 설계로 대상자는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에 등록된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로서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대상자들로 최종 실험군 19명, 대조군 17명이었다.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 시행 전ㆍ후 질문지를 통한 조사방법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전조사는 프로그램 시작 전에 두 군 동시에 일반적 특성 및 지각된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삶의 질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실험군은 8주간 8회기의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 사후조사를 하였고, 대조군도 실험군의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이 끝나는 동일한 시기에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거주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지각된 스트레스를 낮추고, 긍정적인 스트레스 대처행위를 하게 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하는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이 지각된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비동등성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하는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이 지각된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ㆍ후 설계로 대상자는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에 등록된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로서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대상자들로 최종 실험군 19명, 대조군 17명이었다.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 시행 전ㆍ후 질문지를 통한 조사방법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전조사는 프로그램 시작 전에 두 군 동시에 일반적 특성 및 지각된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삶의 질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실험군은 8주간 8회기의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 사후조사를 하였고, 대조군도 실험군의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이 끝나는 동일한 시기에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거주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지각된 스트레스를 낮추고, 긍정적인 스트레스 대처행위를 하게 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perceived stress, cop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in community. This study employ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36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the enrolled members of a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who were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and they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19) and control group (17). Experimental group completed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that consisted of once a week 8 sessions program over 8-weeks period. Outcome indicat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are shown in perceived stress, cop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inally,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have effective on increasing perceived stress, stress coping and quality of life with chronic schizophrenia in community. (Korean J Str Res 2009;17:333∼340)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perceived stress, cop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in community. This study employ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perceived stress, cop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in community. This study employ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36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the enrolled members of a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who were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and they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19) and control group (17). Experimental group completed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that consisted of once a week 8 sessions program over 8-weeks period. Outcome indicat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are shown in perceived stress, cop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inally,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have effective on increasing perceived stress, stress coping and quality of life with chronic schizophrenia in community. (Korean J Str Res 2009;17:333∼340)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 고찰
      • 참고문헌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 고찰
      • 참고문헌
      • 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